×
- 이 문서는 사자성어에 대한 문서입니다. 관련된 내용이나 여담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예, 여담 문단에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한자성어 |
| 泣斬馬謖 |
| 울 읍 / 벨 참 / 말 마 / 일어날 속 |
1. 뜻
읍참마속(泣斬馬謖) 또는 휘루참마속(揮淚斬馬謖)은 울며 마속을 베다라는 의미이다.
읍참마속은 인사권자의 입장에서는 실행하기 힘든 일이자 어찌보면 숙명이다.
2. 유래
읍참마속 또는 휘루참마속은 중국 삼국시대에 촉나라의 제갈량이 위나라를 처야했던 상황에서 중용했던 부하 마속이 명을 어기고 위나라에 대패하자 마속을 울며 참형에 처했다.
3. 사용례
- 비위나 실책에 상관없이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서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수족을 쳐내야 할 때가 있다.
- 이재명 정부가 논란이 거센 일부 후보자의 거취에 대해 '읍참마속'해야 한다는 제언이 잇따르고 있다.
4. 연관어
- 일벌백계(一罰百戒)- 한 명을 벌해 모두에게 경계심을 줌.
- 선공후사(先公後私)- 공적인 일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사적인 일은 나중 처리함.
- 공평무사(公平無私)- 개인 감정 없이 공정하게 처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