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Voice of America | |
국가 |
|
한국명 |
미국의 소리 |
구분 |
국영 |
형태 |
국제방송 |
개국 |
1942년 2월 24일 |
자매 방송국 |
자유아시아방송 AM SW 미국의 소리 AM SW |
웹사이트 |
미 연방정부가 운영하는 언론사 Voice of America (미국의 소리) 방송을 말한다.[1][2] 1942년에 첫 방송을 시작했으며 한국어 방송은 극동방송에서 재송출하고 있다
VOA 한국어 방송의 역사
일제말기 이승만 전 대통령이 단파방송으로 조국 독립에 대한 것을 말했으며 경성방송국에서 단파방송으로 이 전 대통령의 방송을 들었다는 것을 알고 총독부가 난리가 났었다.[3]
![]() 샌프란시스코에서 송출하는 미국의 소리(VOA) 한국어 방송을 서울중앙방속국이 1945년 12월 1일부터 매일 아침 7시 5분에 중계방송한다는 영남일보(嶺南日報) 1945년 12월 2일자 기사[4] : 상항(桑港)으로부터 국어방송(國語放送) 중계(中繼)]]
|
- 이승만이 1942년 워싱턴에서 VOA 방송을 통해 고국의 동포들에게 보낸 메시지 듣기 1942년 6월 13일
- 항일 단파방송 사건 (1942년 6월 13일) : 방송내용 텍스트
일제하에서 이 방송을 듣다 검거된 사례가 더러 있다.
- 開城送信所 직원 宋珍根. 朴龍信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발신되는 '美國 의 소리' 단파방송 청취혐의로 피검됨. [5]
- 김규식의 비서였던 송남헌(宋南憲, 1914~2001)도 1943년 "단파방송청취사건"으로 구속, 징역형을 살았다. : [인터뷰] 독립운동가 <송남헌 옹>..내가 만나본 김일성 인상 [6]
- 단파 방송 밀청 사건 [7]
해방 직후 1945년 8월 18일에는 미국의 소리 방송이 국내에 중계되었는데, 잡음이 심했지만 알아들을 수는 있었다고 한다.[8][9]
미군정 시기에는 1945년 12월 1일부터 샌프란시스코(桑港)에서 송출하는 VOA 한국어 방송을 서울중앙방송국이 매일 아침 7시 5분에 시작하여 30분간 국내에 중계방송하기도 했다.[4] 저녁에도 6:30 부터 7:00 까지 30분간 방송하였다.[10]
냉전 종식이후 구 공산권 언어로 하던 방송은 끝났지만 한국어 방송은 현재도 제공하고 있다.[11]
근래에는 인터넷 뉴스 서비스도 하고 있다.[12]
트럼프 정권 2기에 들어서 voa가 직원들을 단체로 휴가로 보내고 임시휴업 상태에 들어가는 바람에 (폐업 가능성도 있다.) voa 한국어 방송도 몇주전에 영상이 업로드 된 이후로
영상 업로드가 되지 않고 있다.
언론의 자유는 중요합니다. VOA가 있습니다.
- 언론의 자유는 중요합니다. VOA가 있습니다[13]
이 앱의 특징은 해당 지역에서 인터넷이 자유롭지 않은 경우 우회해서 VOA 뉴스에 접근 토록 해주는 특징이 있다.
우회기능 때문인지 앱이 원할치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앱 외에도 일반적인 VOA, 시청할 수 있는 앱들이 있다.
VOA의 친중화
백악관의 일일보고서는 미 의회가 지원하는 매년 2억 달러의 자금으로 운영되는 VOA가 중국편을 들고 있다고 비난했다. 중국 사망자가 3000명선이라는 중국관영매체의 주장을 그대로 인용하는가 하면 우한봉쇄해제를 기념하는 중국측 사진을 그대로 게재했다. 미국 정부입장을 대변해야 할 VOA가 언젠가부터 미묘한 변화를 보였다. 2016년부터 VOA방송국장이 된 아만다 베넷(Amanda Bennett)은 중국 정관계 인사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인사로 그녀의 남편 Donald Graham도 상당한 미디어의 거물이다.
- WHO에 이어 UN 기구도 손보나?/ 백악관 VOA에 분노/사업장 방화 파괴/러시아 접경의 인간사냥 박상후의 문명개화 2020. 4. 17.
VOA의 친중화에 제동 걸릴 듯
- “중국 편향” 미국 VOA 방송위 이사장에 보수인사 유력…임명안 2년만에 통과 에포크타임스 2020년 5월 24일
참고 자료
- 1942년의 라디오 수신기 보급 현황[14]
각주
- ↑ Voice of America - Wikipedia
- ↑ 미국의 소리 위키백과
- ↑ 관련기사(출처:펜엔드마이크)
- ↑ 4.0 4.1 상항(桑港, 샌프란시스코)으로부터 국어방송(國語放送) 중계(中繼) 1945-12-02 영남일보(嶺南日報) 2면
- ↑ 1942년 12월 24일
- ↑ 한국경제 1994.07.11
- ↑ 위키백과
- ↑ 동진공화국 조각명단#『신천지(新天地)』 1948년 8월호
- ↑ [이치백의 一日一史] 광복군 국내 정진대 입국좌절 전북일보 2005.08.18
- ↑ 라디오 신조선보[新朝鮮報] 1946년 01월 16일 2면8단
- ↑ VOA 한국어
- ↑ VOA News
- ↑ 언론의 자유가 없는 곳에 VOA가 있다는 말은 한국에 언론의 자유가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국에 언론의 자유가 있는 날이 될때 VOA가 폐간할지는?
- ↑ [광복 70주년 특집] 신문으로 보는 1945년 해방 前後의 한국 : 70년 전 8월 15일, 만세 환호는 없었다! 월간조선 2015년 8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