崇儒抑佛

개요

숭유억불조선에서 실시한 불교 억압 정책으로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제한다."라는 의미이다. 억불 정책, 배불 정책 또는 숭유배불으로도 표기한다.

숭유억불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고려말기에서 조선초기에 활동한 정도전의 《불씨잡변》이 있다.

왕이 좀 불교적인 뭐를 할라 치면, 유생들이 반대상소를 엄청 냈다.

유생들이 절에 가서 불을 지르는 경우도 많았다. 이성계의 사실상 행궁 비슷했던 회암사도 유생들의 오랫 타겟이었는데, 이곳도 결국에는 아마 유생들이 불질러서 없애 버린 것으로 추정된다.

승려들은 궁궐 공사 등에 동원 됐고, 사대부들이 유랑을 가면 그 산에 속한 승려들이 나와서 사대부의 가마를 들어주기도 했다.

여기서 예외적이었던 경우가 불교를 좋아했던 세조와 명종 때 문경왕후 정도(승려시험은 승과를 부활 시키기도 했다.)가 있다.

참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