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51번째 줄: 51번째 줄:
}}
}}
{{글숨김 끝}}
{{글숨김 끝}}
==저서==
다수의 일본어 저서가 있다.
* 고준석 저, 유영구 역, 『비운의 혁명가 [[박헌영]]』 (도서출판 글, 1992)<ref>[https://news.joins.com/article/2691546 박헌영에 관한 첫 연구서] [중앙일보  1992.03.01  종합 9면</ref>


==각주==
==각주==

2021년 8월 10일 (화) 04:37 판

고준석(高峻石, 1910.11.15[1] ~ 1994)


  빈농의 아들로 항일운동…‘어느 혁명가의 수기’ 등 집필 : 제주일보 2018.08.06

고준석, 日서 ‘혁명사의 증언’ 등 저술.

일본 도쿄에서 와세다<早稻田>대학 사회사정연구회의 항일 활동.

고준석의 가명은 고영민. 구좌읍 행원리<어등-개>에서 태어났다.

그는 빈농의 아버지와 해녀의 장남으로 태어나 1925년 여름부터 오사카 등지에서 8년 간 노동 생활로 야간에 학업을 이었다.

서울로 돌아와서 선만경제연구소鮮滿經濟硏究所의 기자와 경성일보사 정경부의 기자로 근무했다.

앞서 1937년 교포 학생들이 와세다대학에서 ‘우리 동창회’를 조직했는데 민족주의 계열인 이상돈李相敦(전북 출신·훗날 국회의원)에 의해 주도되고 있었다.

이에 대학 정경학부 2학년 고준석을 중심으로 하는 공산주의 계열은 세력을 확대, 동년 11월 회장에 취임하고 새로 선출된 위원 권중돈權仲敦(경북 출신·훗날 국회의원) 외 11명의 위원을 소개했다.

다음 회장의 안내로 회원 55명을 인솔해 도쿄의 일일日日신문과 전기장려관 및 조일朝日신문사를 견학했다.

1938년 1월 마르크스주의의 연구 실천과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기도하던 중 1938년 8월 15일 도쿄경시청東京警視廳에 체포됐다.

1939년 10월 30일 도쿄형사지방재판소에서 징역 2년에 집행 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학업은 중단되고 오도리<小鳥>경제연구소, 노다<野田>경제연구소의 직원으로 잠시 활동 후 도쿄에서 중외中外상업신문(일본 경제신문의 전신)의 정치부 기자로 언론계에 투신했다.

고향 친구 임해任海와 항일 운동에 투신하기로 맹세, 일본인으로 귀화했다.

1944년 5월 서울로 들어와 경성京城일보 정경부 기자로 활동하던 중 조국광복이 되었다.

1945년 9월 이관술(李觀述:울산), 강문석姜文錫(제주)의 보증으로 조선공산당에 입당, 당 규약의 초안 작성을 의뢰받았다. 제주도 출신 공산주의자는 강창보姜昌輔, 김문준金文準, 김시용金時容 등 세 사람 정도였다.

강문석의 사위인 김달삼金達三에게 바톤을 넘기니 제주 4·3사건의 주모자로 이어졌다.

고준석은 1947년 5월 서울에서 북로당北勞黨을 지지해 ‘우리 신문’ 주필 겸 정치부장이 되어 북로당의 대변을 한 관계로 투옥되고 신문은 1948년 5월 26일 폐간 당했다.

1948년 4월 남북 협상 취재 차 월북, 남조선 노동당원이면서 북조선 노동당에 가입, 북로당 노선에 동조했다. 평양에 가서 고향 친구 임해任海의 부부를 만나게 됐는데, 임해는 북로당 간부로 있다가 북조선인민위원회 기획 부장으로 옮겨 있었다.

임해를 통해 북한의 실상과 북한의 지도상 군상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그는 일본 도쿄에서 집필 활동에 몰두해 ‘조선(1945~1950) 혁명사의 증언’(1972), ‘해방 정국의 증언-어느 혁명가의 수기’(1987) 등 많은 저서를 내놓았으며, 공산주의의 증언적 체험기로 일관되게 서술했다.

※필자의 변 : 고준석의 부인 김사임金師任(1923~1951)은 항일운동가다. 본관은 광산이며 강원도 이천군의 갑부 김영석金永石의 딸로 일찍이 일본으로 유학, 도쿄의 니홍<日本>여자대학 재학 중 1940년에 결혼했다. 1945년 11월 공산당에 입당, 김철수金綴洙 의 당 세포에 소속됐다. 고준석과 함께 1950년 조선노동당 남조선 정치공작위원 사건으로 구속됐으나 출산을 위해 보석됐다. 당시 3남 1녀의 어머니인데 6·25로 전화戰禍를 입어 2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제주일보 2018.08.06

저서

다수의 일본어 저서가 있다.

  • 고준석 저, 유영구 역, 『비운의 혁명가 박헌영』 (도서출판 글, 1992)[2]

각주

  1. 고준석(高峻石, 1910 ~ 1994) : 동경형사지방재판소 수형인명부 - 국가기록원
  2. 박헌영에 관한 첫 연구서 [중앙일보 1992.03.01 종합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