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安保不感症 ==개요== 북한 등의 군사적 위협에 국민들이 경각심을 못느끼는 사회적 현상이다. ==군기강 해이 문제== {{인용문|"자유인은 정...)
 
잔글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군보상을 당연시하고 제복에 대한 예우를 제대로하는 당나라 군대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군대가 대표적이며, 군인에 대한 체벌과 군기강이 제대로 선 나라는 [[팔레스타인]], [[ISIS]], [[러시아]], [[중국]]이 대표적이다.
군보상을 당연시하고 제복에 대한 예우를 제대로하는 당나라 군대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군대가 대표적이며, 군인에 대한 체벌과 군기강이 제대로 선 나라는 [[팔레스타인]], [[ISIS]], [[러시아]], [[중국]]이 대표적이다.


[[분류:군대]][[분류:안보]][[분류:밀리터리]]
[[분류:군사]][[분류:안보]][[분류:밀리터리]]

2019년 7월 28일 (일) 14:02 판

安保不感症

개요

북한 등의 군사적 위협에 국민들이 경각심을 못느끼는 사회적 현상이다.

군기강 해이 문제

"자유인은 정부를 수단으로 여길 뿐, 맹목적으로 숭배해야할 주인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 밀튼 프리드먼

안보불감증보단 조선시대부터 대대로 내려온 유교식 봉건제에서 애국심을 못느끼는 경향이 있다. 이스라엘의 경우 군인의 목숨을 무엇보다 우선시하는데 연대 의식이 거기서 나온다
반면 한국은 군인을 가혹하게 체벌하고 굶기면서 목숨을 가볍게 여겨야 군기강이 선다고 미신적인 믿음을 가지는 문제가있다. 또한 제복에 대한 예우라던지 군보상을 논할때 당나라 군대라는 마법의 단어를 꺼내면서 기각한다.
군보상을 당연시하고 제복에 대한 예우를 제대로하는 당나라 군대는 미국이스라엘의 군대가 대표적이며, 군인에 대한 체벌과 군기강이 제대로 선 나라는 팔레스타인, ISIS, 러시아, 중국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