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번째 줄: 11번째 줄:
|  || 기내<br>(畿内) || 근국<br>(近国) || 중국<br>(中国) || 원국<br>(遠国)
|  || 기내<br>(畿内) || 근국<br>(近国) || 중국<br>(中国) || 원국<br>(遠国)
|-
|-
| 대국<br>(大国) || 大和国<br>河内国 || 伊勢国<br>近江国<br>播磨国 || 越前国 || 武蔵国<br>上総国<br>下総国<br>常陸国<br>上野国<br>陸奥国<br>肥後国
| 대국<br>(大国) || [[야마토국]]<br>[[가와치국]] || [[이세국]]<br>[[오미국]]<br>[[하리마국]] || [[에치젠국]] || [[무사시국]]<br>上総国<br>下総国<br>常陸国<br>上野国<br>陸奥国<br>肥後国
|-
|-
| 상국<br>(上国) || 山城国<br>摂津国 || 尾張国<br>三河国<br>美濃国<br>備前国<br>美作国<br>但馬国<br>因幡国<br>丹波国<br>紀伊国 || 遠江国<br>駿河国<br>甲斐国<br>信濃国<br>加賀国<br>越中国<br>伯耆国<br>出雲国<br>備中国<br>備後国<br>阿波国<br>讃岐国 || 相模国<br>下野国<br>出羽国<br>越後国<br>安芸国<br>周防国<br>伊予国<br>筑前国<br>筑後国<br>豊前国<br>豊後国<br>肥前国
| 상국<br>(上国) || 山城国<br>摂津国 || 尾張国<br>三河国<br>美濃国<br>備前国<br>美作国<br>但馬国<br>因幡国<br>丹波国<br>紀伊国 || 遠江国<br>駿河国<br>甲斐国<br>信濃国<br>加賀国<br>越中国<br>伯耆国<br>出雲国<br>備中国<br>備後国<br>阿波国<br>讃岐国 || 相模国<br>下野国<br>出羽国<br>越後国<br>安芸国<br>周防国<br>伊予国<br>筑前国<br>筑後国<br>豊前国<br>豊後国<br>肥前国

2021년 7월 17일 (토) 13:20 판

일본어: 律令国[1]、令制国[2]

개요

영제국 또는 율령국은 일본의 율령제에 근거하여 설치된 일본의 지방 행정 구분이다. 나라시대부터 메이지시대 초기까지 일본의 지리적으로 구분하는 기본 단위였다. 율령국의 행정기관을 국아라 부르며 국아의 소재지나 도시지역을 국부(國府)라고 칭하였다.

다만 현재는 행정구역으로서 기능하지 않고있고 도도부현으로 개편되었다.

행정구역

기내
(畿内)
근국
(近国)
중국
(中国)
원국
(遠国)
대국
(大国)
야마토국
가와치국
이세국
오미국
하리마국
에치젠국 무사시국
上総国
下総国
常陸国
上野国
陸奥国
肥後国
상국
(上国)
山城国
摂津国
尾張国
三河国
美濃国
備前国
美作国
但馬国
因幡国
丹波国
紀伊国
遠江国
駿河国
甲斐国
信濃国
加賀国
越中国
伯耆国
出雲国
備中国
備後国
阿波国
讃岐国
相模国
下野国
出羽国
越後国
安芸国
周防国
伊予国
筑前国
筑後国
豊前国
豊後国
肥前国
중국
(中国)
若狭国
丹後国
能登国 安房国
佐渡国
長門国
石見国
土佐国
日向国
大隅国
薩摩国
하국
(下国)
和泉国 伊賀国
志摩国
淡路国
伊豆国
飛騨国
壱岐国
対馬国
隠岐国

헤이안시대의 연희식(延喜式)에는 각 율령국의 개수가 기재되어있으며, 국력에 따라 대국(大国), 상국(上国), 중국(中国), 하국(下国)으로 분류하고 수도(교토)와의 거리에 따라 기내(畿内), 근국(近国), 중국(中国), 원국(遠国)으로 분류하였다.

각주

  1. りつりょうこく
  2. りょうせいこ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