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Nihongo.svg | |
사용 국가 | ![]() |
---|---|
사용 지역 | 일본 열도 |
사용 민족 | 일본인 |
언어 인구 | 약 1억 3000만 명[2] |
순위 | 9위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형용사-명사 후치사 사용 |
문자 | 가나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
언어 계통 | 일본어족 일본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
표준 | 없음 |
언어 부호 | |
ISO 639-1 | JA
|
ISO 639-2 |
|
ISO 639-3 | JPN
|
일본어의 세계 분포현황 |
개요
일본어(日本語、にほんご)란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일본어족에 속한다
특징
일본어의 가장 큰 특징은 'ㄴ' 또는 선행 문자에 따라 'ㅇ'발음이 나는 ん과 한국어의 연음을 역순으로 나게 해주는 촉음 っ를 제외하면 받침이 없다는게 가장 큰 특징이다. 일본어는 아あ, 에え, 이い, 오お, 우う의 5가지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ㅇあ, ㅋか, ㅅさ, ㅌた, ㄴな, ㅎは, ㅁま, ㄹら의 8개의 자음과 반모음 j인 や행 그리고 와わ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일본어에선 や도 자음처럼 취급된다. 또한 일본어는 과거의 한글처럼 한문과 병행해서 사용되며, 외래어나 의성어를 표기할땐 가타가나를 사용한다. 또한 일본어는 か、さ、た、は행 문자 위에 탁점을 찍어 한국어의 거센소리에 해당하는 음들을 예사소리, 즉 탁음으로 바꿀수 있고, は행 위엔 작은 원을 하나 그려 반탁음인 ㅍ 발음을 낼수 있다. 일본어는 체계가 매우 단순해 우수한 언어이며, 제 2 외국어로 선택하기 매우 좋은 언어이다. 또한 일본이 한국어를 백제와의 교류가 잦았으며, 조선과도 교류하거나 전쟁하며 계속 접촉이 있었는데다 일본제국이 아예 조선을 합병하는등 한반도와 영향을 엄청나게 주고받은 국가이기에 일본어의 어순부터 한국어와 동일해 영어보다 번역 및 일본어화가 쉬워 한국인이 가장 배우기 쉽다. 또한 일본어의 어감은 중국어보다 훨씬 듣기 좋기 때문에 일본어를 배우는 사람에 대한 인식은 반일광기 시대를 제외하면 중국어 전공자보다 좋았다. 일본어를 한국인이 주로 접하게 되는 경로는 게임, 애니메이션, 만화책, 야동, 일본 영화등이 있다.
역사
고전 일본어(古文) 참고.
원래 헤이안(이후에 교토)을 중심으로한 방언으로 표준어를 정립하고 고전 일본어를 사용했으나 가면 갈수록 방언이 분화되고 입말과 글말이 통하지 않게되었다. 이것은 근대화 이후 메이지 시대에 언문일치가 일어나기 이전까지 지속되었다. 메이지 시대때 비로소 도쿄를 중심으로 구어를 바탕으로 공통어를 공식화했으나 공문서는 여전히 문어체로 쓰였다. 2차대전 패전 이후 비로소 공문서도 입말로 쓸 수 있게 되었으다.
문자
히라가나(ひらがな、平仮名)
あ段 | い段 | う段 | え段 | お段 | |
---|---|---|---|---|---|
あ行 | あ | い | う | え | お |
か行 | か | き | く | け | こ |
さ行 | さ | し | す | せ | そ |
た行 | た | ち | つ | て | と |
な行 | な | に | ぬ | ね | の |
は行 | は | ひ | ふ | へ | ほ |
ま行 | ま | み | む | め | も |
や行 | や | ゆ | よ | ||
ら行 | ら | り | る | れ | ろ |
わ行 | わ | を | |||
ん |
카타카나(カタカナ、片仮名)
あ段 | い段 | う段 | え段 | お段 | |
---|---|---|---|---|---|
あ行 | ア | イ | ウ | エ | オ |
か行 | カ | キ | ク | ケ | コ |
さ行 | サ | シ | ス | セ | ソ |
た行 | タ | チ | ツ | テ | ト |
な行 | ナ | ニ | ヌ | ネ | ノ |
は行 | ハ | ヒ | フ | ヘ | ホ |
ま行 | マ | ミ | ム | メ | モ |
や行 | ヤ | ユ | ヨ | ||
ら行 | ラ | リ | ル | レ | ロ |
わ行 | ワ | ヲ | |||
ン |
v | ヴァ | ヴィ | ヴ | ヴェ | ヴォ |
t、d | ティ | トゥ | ディ | ドゥ |
한자(漢字、かんじ)
문법
주어(S)+목적어(O)+동사(V)의 어순을 가진다. 주어는 생략할 수 있다.
품사
명사
사물이나 사람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人、時計、文明、坂本龍馬
대명사
사람, 사물, 방향등을 대신 가리키는 단어
1인칭 대명사 私、僕、俺
2인칭 대명사 あなた、君、お前
3인칭 대명사 彼、彼女
부정칭 대명사 誰、どなた
동사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 등을 나타내는 말
1그룹 동사 : 기본형이 る이외의 う단으로 끝나는 동사
買う、話す、飲む
2그룹 동사 : 기본형의 어미가 る로 끝나고 る앞이 い단인 동사
起きる、かりる、足りる
3그룹 동사(불규칙
来る、する
い형용사(형용사)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
な형용사(형용동사)
활용을하는 자립어로 문장 속에서 명사를 수식하거나 단독으로 술어가 된다.
수사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명사
조동사
접속사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한다.
조사
단독으로 쓸 수 없으며 활용되지 않는다. 자립어나 자립어를 포함한 어구에 붙어서 문법적 관계나 의미를 나타낸다
は - "은/는"에 해당하는 주격조사
が - "이/가"에 해당하는 주격조사
を - "을/를"에 해당하는 목적격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