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종교개혁을 일으킨 사상가는 마르틴 루터로 마틴 루터 킹 주니어<br> 영어: Martin Luther King, Jr. (1929년 1월 15일 ~ 1968년 4월 4일) =개요= 마...)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종교개혁을 일으킨 사상가는 [[마르틴 루터]]로
{{일반인
|이름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영어명 = Martin Luther King Jr.
|그림 = 이미지없음
|국적 = {{국기나라|미국}}
|출생 = 1929년 1월 15일 <br>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사망 = 1968년 4월 4일 (향년 39년)
|사망지 =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시 로레인모텔
|학력 = 부커 T. 워싱 고등학교 (졸업) (-1944년)<br>
모어하우스 대학교 (사회학 / B.A.) (1944-1948년)<br>
크로저 신학대학교 (신학 / B.Div.) (1948-1951년)<br>
보스턴 대학교 (신학 / Ph.D.) (1954-1955년)
|직업 = [[목사]], [[신학자]], [[시민사회운동가]], [[인권운동가]]
|부모 = {{배지|부}} 마틴 루터킹 시니어(1898년-1984년) <br>
{{배지|모}} 앨버타 윌리엄스 킹(1904년-1974년)<br>
|배우자 = 코리타 스캇 킹 <br>
|자녀 = 2남 2녀
|신체 = 169cm, 70kg
|종교 = [[개신교]]([[침례회]])
}}
종교개혁을 일으킨 사상가는 [[마르틴 루터]]로
마틴 루터 킹 주니어<br>
마틴 루터 킹 주니어<br>
영어: Martin Luther King, Jr.
영어: Martin Luther King, Jr.
8번째 줄: 28번째 줄:
마틴 루터 킹은 미국의 침례교 목사이자 인권 운동가, 흑인 해방 운동가, 권리 신장 운동가, 기독교 평화주의자로, 미국내 흑인의 인권 운동을 이끈 개신교 목사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1964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마틴 루터 킹은 미국의 침례교 목사이자 인권 운동가, 흑인 해방 운동가, 권리 신장 운동가, 기독교 평화주의자로, 미국내 흑인의 인권 운동을 이끈 개신교 목사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1964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분류:크리스천]][[분류:흑인]]
 
=생애=
{{빈문단}}
 
 
=킹 목사의 연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I have a dream)'로 시작되는 연설은 미국의 3대 연설 중 하나이자 흑인 민권운동의 가장 상징적인 글로서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명연설로 기록되고 있다.
{{상세|마틴 루터 킹의 연설}}
 
 
{{분류|크리스천|흑인|인권운동가 |미국의 개신교 신자 |미국 침례교 목사 | }}

2021년 1월 12일 (화) 17:27 판

마틴 루터 킹 주니어
Martin Luther King Jr.
이미지없음
국적미국 국기.jpg 미국
출생1929년 1월 15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사망1968년 4월 4일 (향년 39년)
사망지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시 로레인모텔
직업목사, 신학자, 시민사회운동가, 인권운동가
학력부커 T. 워싱 고등학교 (졸업) (-1944년)

모어하우스 대학교 (사회학 / B.A.) (1944-1948년)
크로저 신학대학교 (신학 / B.Div.) (1948-1951년)

보스턴 대학교 (신학 / Ph.D.) (1954-1955년)
종교개신교(침례회)
신체169cm, 70kg
부모 마틴 루터킹 시니어(1898년-1984년)
앨버타 윌리엄스 킹(1904년-1974년)
배우자코리타 스캇 킹
자녀2남 2녀

종교개혁을 일으킨 사상가는 마르틴 루터로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영어: Martin Luther King, Jr.

(1929년 1월 15일 ~ 1968년 4월 4일)

개요

마틴 루터 킹은 미국의 침례교 목사이자 인권 운동가, 흑인 해방 운동가, 권리 신장 운동가, 기독교 평화주의자로, 미국내 흑인의 인권 운동을 이끈 개신교 목사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1964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생애

편집중 아이콘.png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킹 목사의 연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I have a dream)'로 시작되는 연설은 미국의 3대 연설 중 하나이자 흑인 민권운동의 가장 상징적인 글로서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명연설로 기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