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절필동(萬折必東)은 ‘황하(黃河)가 만 번 굽이쳐도 결국은 동(東)으로 간다’는 뜻으로, 《순자(荀子)》의 【유좌편(宥坐篇)】에 나오는 말이다. 원래는 뜻이 굳은 사람은 이를 반드시 관철시킨다는 의미로 쓰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에 현실은 청나라를 섬길 수 밖에 없지만,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저버릴 수 없다는 의미로 쓰였다.

출전

{{인용문|

춘추전국시대 순자(荀子)에 나오는 ‘황하(黃河)가 만 번 굽이쳐도 결국은 동(東)으로 간다’는 뜻(荀子·宥坐 以出以入,以就鮮絜,似善化。其萬折也必東,似志。是故見大水必觀焉。)이다.[1] 본래 중국에서는 변하지 않는 충신의 절개를 빗댄 용어로 쓰여 졌다.[2]

조선에서는 명나라가 망한 뒤 현실적으로 청나라를 섬기고 있지만 명나라에 대한 의리는 저버릴 수 없다는 의미로 쓰던 말이었다.
승정원 일기 : 영조 1년 을사(1725) 12월 13일(병자) 맑음  : 한국고전번역원
홍호인이 아뢰기를,

“‘청주 화양동의 만동사우는 누가 주관하는가? 우리나라를 떠도는 황조 사람 중에서 전가 외에 거두어서 쓸 만한 다른 사람이 또 있는지를 물어서 아뢰라.’라고 명을 내리셨습니다. 한 칸의 초옥에서 주 소왕(周昭王)을 제사 지냈던 뜻으로, 선정신(先正臣) 송시열(宋時烈)이 만동사(萬東祠)를 지어 신종황제(神宗皇帝)를 제사 지내고서 ‘중국에 대한 절의는 변함이 없다[萬折必東]’라는 뜻을 붙이려 했으나 실행하지 못하였습니다. 그가 죽음에 임박했을 때에 선정신 권상하(權尙夏)에게 이 일을 부탁하였는데, 갑신년(1704, 숙종30) 연간에 비로소 창설되어 권상하가 그대로 주관하였으며 이후에는 호서(湖西)의 사림들이 서로 돌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황조(皇朝) 사람으로 쓸 만한 자를 두 전조(銓曹)에 물으니 전가 외에 전 현령 이동배(李東培), 전 만호 이면(李葂)이 모두 이여매(李如梅)의 후손이라고 합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洪好人啓曰, 淸州華陽洞萬東祠宇, 誰其主管? 皇朝人流落我國者, 田哥外, 又有他收用者乎? 問啓事, 命下矣。先正臣宋時烈, 以一間茅屋, 祭昭王之義, 欲爲營立萬東祠, 以祀神宗皇帝, 以寓萬折必東之意而未果。臨終時, 屬託於先正臣權尙夏, 甲申年間, 始得創設, 權尙夏仍爲主張, 伊後湖西士林, 相與看護, 而皇朝人收用者, 問於兩銓, 則田哥外, 前縣令李東培·前萬戶李葂, 俱是李如梅之後耶云矣, 敢啓。傳曰, 知道。]

만절필동(萬折必東)’은 황하(黃河)가 굽이굽이 흘러서 결국은 동쪽 황해(黃海)로 흘러든다는 뜻인데, 명(明)나라가 망한 뒤에 조선에서 현실적으로 청(靑)나라를 섬기고는 있지만 명나라에 대한 의리는 저버릴 수 없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었다.
[만물상] 萬折必東(만절필동) 조선일보 2017.12.18
[e글중심] 만절필동(萬折必東), 진짜 뜻은? 중앙일보 2017.12.18

만절필동 재조번방(萬折必東 再造蕃邦)

조선 숙종 10년(1684) 당시 경기도 가평군수 이제두(李齊杜, 1626~1687)가 숭명배청(崇明排淸)의 취지로 새겼다. 만절필동(萬折必東)은 '황하는 아무리 굽이가 많아도 반드시 동쪽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충신의 절개는 꺾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이나 의미가 확대되어 천자를 향한 제후들의 충성을 말한다. 재조번방(再造蕃邦)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구원병을 보내 조선(蕃邦)을 구해냈다(再造)는 의미이다.[3]

논란

중국 천자에 충성 약속하는 의미의 ‘만절필동’(萬折必東) 글귀 논란
노영민 주중국 대사는 지난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신임장 제정식에서 자신의 신임장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전달하고 방명록에 ‘만절필동 공창미래’(萬折必東 共創未來)라고 적었다고 한다. ‘공창미래’라는 말은 “함께 미래를 만들어 나가자”라는 뜻으로 좋은 말인데, 앞의 만절필동이 문제였다.

웬만큼 한자를 공부해도 ‘만절필동’의 뜻을 이해하기 힘들다. 그 의미를 최진석 교수가 찾아낸 것이다.

이에 바른정당 하태경 의원이 이 글이 부적절하다며 노영민 대사의 경질을 요구하고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