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절필동(萬折必東)은 ‘황하(黃河)가 만 번 굽이쳐도 결국은 동(東)으로 간다’는 뜻으로, 《순자(荀子)》의 【유좌편(宥坐篇)】에 나오는 말이다. 원래는 뜻이 굳은 사람은 이를 반드시 관철시킨다는 의미로 쓰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에 현실은 청(清)나라를 섬길 수 밖에 없지만, 명(明)나라에 대한 의리를 저버릴 수 없다는 의미로 쓰였다. 임진왜란 때 조선에 파병한 명나라 신종(神宗, 1563 ~1620)을 모신 사당 만동묘(萬東廟)가 만절필동(萬折必東)을 줄인 명칭인 것과 같이 현실의 청나라를 오랑캐로 여기고 망하고 없는 명나라에 대한 사대 의식을 드러내는 말이다.

출전

만절필동(萬折必東)은 《순자(荀子)》의 【유좌편(宥坐篇)】에 나오는 말에서 유래한다.[1][2]

第二十八. 宥坐. 유좌의 교훈.

孔子觀於東流之水. 子貢問於孔子曰, 君子之所以見大水必觀焉者, 是何? 孔子曰, 夫水, 大徧與諸生而無爲也, 似德. 其流也埤下, 裾拘必循其理, 似義. 其洸洸乎不淈盡, 似道. 若有決行之, 其應佚若聲響, 其赴百仞之谷不懼, 似勇. 主量必平, 似法. 盈不求槪, 似正. 淖約微達, 似察. 以出以入, 以就鮮絜, 似善化. 其萬折也必東, 似志. 是故君子見大水必觀焉.

공자가 동쪽으로 흐르는 물을 보고 있었다. 그때 제자 자공(子貢)이 공자께 여쭈었다.

“군자가 큰 물을 볼 때는 반드시 관찰하듯 보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물이란 모든 생물에게 두루 미치면서 아무것도 한 것이 없는 것 같으니, 이것은 마치 덕(德)을 가진 사람과 같다. 흐르는 곳은 낮은 곳으로 향해 가며 옷자락에 잡히듯 도리어 따르니, 이것은 마치 의로운 사람과 같다. 한없이 흘러나오는 것은 마치 도(道)와 같다. 만약 제방이 무너져 물이 흘러가면 그 반응은 메아리처럼 빠르며, 백 길이나 되는 계곡으로 떨어지면서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은 마치 용기 있는 사람과 같다. 작은 곳이라도 가득 채워서 평평하게 한 다음에 흘러가니 이것은 마치 법도를 지키는 사람과 같고, 어느 곳이든 가득 채워서 평미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니 이것은 공정한 사람과 같으며, 물속에 들어갔다 나올 때마다 신선하고 깨끗하게 되어 나오는 것은 마치 잘 교화하는 사람과 같다. 만 번을 꺾어서 반드시 동쪽으로 가는 것은 의지가 굳은 사람과 같다. 이 때문에 군자는 큰 물을 볼 때 반드시 관찰하듯이 보는 것이다.”

당나라 양경(楊倞)의 《순자(荀子)》 주석에는 강물이 여러번 꺽여도 반드시 동쪽으로 가는 것은 뜻이 굳은 사람은 꺾을 수 없는 것과 같다고 했다.

唐楊倞注 : 折,縈曲也。雖東西南北,千萬縈折不常,然而必歸於東,似有志不可奪者。

중국에서 쓰이는 의미

흔히 말하는 "사필귀정(事必歸正)" 등의 의미 보다는 "뜻을 세우면 어떤 난관도 극복하고 반드시 이루어 낸다"는 의미로 많이 쓰는 것 같다.

조선에서 쓰인 의미

조선에서는 명나라가 망한 뒤 현실적으로 청나라를 섬기고 있지만 명나라에 대한 의리는 저버릴 수 없다는 의미로 쓰던 말이었다.

승정원 일기 : 영조 1년 을사(1725) 12월 13일(병자) 맑음  : 한국고전번역원
홍호인이 아뢰기를,

“‘청주 화양동의 만동사우는 누가 주관하는가? 우리나라를 떠도는 황조 사람 중에서 전가 외에 거두어서 쓸 만한 다른 사람이 또 있는지를 물어서 아뢰라.’라고 명을 내리셨습니다. 한 칸의 초옥에서 주 소왕(周昭王)을 제사 지냈던 뜻으로, 선정신(先正臣) 송시열(宋時烈)이 만동사(萬東祠)를 지어 신종황제(神宗皇帝)를 제사 지내고서 ‘중국에 대한 절의는 변함이 없다[萬折必東]’라는 뜻을 붙이려 했으나 실행하지 못하였습니다. 그가 죽음에 임박했을 때에 선정신 권상하(權尙夏)에게 이 일을 부탁하였는데, 갑신년(1704, 숙종30) 연간에 비로소 창설되어 권상하가 그대로 주관하였으며 이후에는 호서(湖西)의 사림들이 서로 돌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황조(皇朝) 사람으로 쓸 만한 자를 두 전조(銓曹)에 물으니 전가 외에 전 현령 이동배(李東培), 전 만호 이면(李葂)이 모두 이여매(李如梅)의 후손이라고 합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洪好人啓曰, 淸州華陽洞萬東祠宇, 誰其主管? 皇朝人流落我國者, 田哥外, 又有他收用者乎? 問啓事, 命下矣。先正臣宋時烈, 以一間茅屋, 祭昭王之義, 欲爲營立萬東祠, 以祀神宗皇帝, 以寓萬折必東之意而未果。臨終時, 屬託於先正臣權尙夏, 甲申年間, 始得創設, 權尙夏仍爲主張, 伊後湖西士林, 相與看護, 而皇朝人收用者, 問於兩銓, 則田哥外, 前縣令李東培·前萬戶李葂, 俱是李如梅之後耶云矣, 敢啓。傳曰, 知道。]

만절필동(萬折必東)’은 황하(黃河)가 굽이굽이 흘러서 결국은 동쪽 황해(黃海)로 흘러든다는 뜻인데, 명(明)나라가 망한 뒤에 조선에서 현실적으로 청(靑)나라를 섬기고는 있지만 명나라에 대한 의리는 저버릴 수 없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었다.

네이버 국어사전에는 "황하는 아무리 굽이가 많아도 반드시 동쪽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충신의 절개는 꺾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였다.


가평군 조종암(朝宗巖)의 "만절필동(萬折必東)" 각자(刻字)

만절필동 재조번방(萬折必東 再造蕃邦) : 가평 조종암의 각자

조선 숙종 10년(1684) 당시 경기도 가평군수 이제두(李齊杜, 1626~1687)가 숭명배청(崇明排淸)의 취지로 새겼다. 만절필동(萬折必東)은 '황하는 아무리 굽이가 많아도 반드시 동쪽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충신의 절개는 꺾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이나 의미가 확대되어 천자를 향한 제후들의 충성을 말한다. 재조번방(再造蕃邦)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구원병을 보내 조선(蕃邦)을 구해냈다(再造)는 의미이다.[3]

조종암(朝宗巖)에는 이외에도 명나라 숭정제(崇禎帝) 의종(毅宗)의 글씨 '사무사(思無邪)', 효종의 글을 송시열이 쓴 '일모도원 지통재심(日暮途遠 至痛在心), 낭선군 이우(李俁, 1637-1693)가 쓴 '조종암(朝宗巖)'이란 글이 암벽에 새겨져 있다.

화양동 계곡의 만동묘(萬東廟)처럼 조종암에도 대통묘(大統廟)가 있고, 명나라 태조(太祖), 신종(神宗), 의종(毅宗)과 김상헌(金尙憲) 등 조선 문무(文武) 9현 및 왕미승(王美承) 등 명나라 9의사(義士)에 대한 제향을 올리고 있다.[4]

화양동 계곡 만절필동 각자와 만동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華陽洞) 계곡

만절필동은 가평 조종암의 선조 글씨를 모사해와 옮겨 쓴 것이다.

화양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조선에 파병한 명나라 신종(神宗, 1563 ~1620)을 모신 사당 만동묘(萬東廟)의 만동(萬東)은 만절필동(萬折必東)을 줄인 말이다.

1689년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 죽자 제자들은 이곳에 그를 기리는 서원을 세우고 '화양서원(華陽書院)'이라고 이름했다. '화양(華陽)'은 중국 문화가 햇빛처럼 빛난다는 뜻도 된다.[5]


근래의 논란

노영민 주중대사의 경우

중국 천자에 충성 약속하는 의미의 ‘만절필동’(萬折必東) 글귀 논란
노영민 주중국 대사는 지난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신임장 제정식에서 자신의 신임장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전달하고 방명록에 ‘만절필동 공창미래’(萬折必東 共創未來)라고 적었다고 한다. ‘공창미래’라는 말은 “함께 미래를 만들어 나가자”라는 뜻으로 좋은 말인데, 앞의 만절필동이 문제였다.

웬만큼 한자를 공부해도 ‘만절필동’의 뜻을 이해하기 힘들다. 그 의미를 최진석 교수가 찾아낸 것이다.

이에 바른정당 하태경 의원이 이 글이 부적절하다며 노영민 대사의 경질을 요구하고 나섰다.
노영민 주중대사의 만절필동 공창미래(万折必东 共创未来 : 萬折必東 共創未來) 서명.

문희상 국회의장의 경우

문희상 의장의 경우는 좀 더 문제이다. 본인은 “북한의 비핵화 협상이 우여곡절은 겪겠지만 결국은 잘 풀리지 않겠느냐는 염원을 담은 글이다”고 설명했다고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명나라에 대한 사대의식을 표현하던 말이므로, 미중 갈등에서 미국 아닌 중국편을 들겠다는 뜻이 될 수도 있다. 한자 뜻 그대로 해석하자면 우리나라나 미국도 아닌 중국의 지형을 나타낸 표현이므로 이런 글귀를 왜 미국 하원의장에게 선물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Pelosi 의장 이름 앞에 아무 타이틀도 붙이지 않은 것도 결례로 보인다.

노영민 대사가 쓴 글 때문에 이미 한번 문제가 되었는데도 몰랐다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른다는 고백이고, 알고도 그랬다면 고의로 미국을 물먹이겠다는 뜻이다. 저런 걸 사전에 체크하지 못한 보좌진은 모두 물갈이해야 된다.


낸시 펠로시 미하원의장에게 만절필동 서예작품을 선물하는 문희상 국회의장.


문의장의 경우는 만절필동(萬折必東)이란 말을 아무 곳에서나 남발하고 있는데, 이 말이 쓰이던 역사적인 맥락도 전혀 모르는 것 같다.

참고 자료

누가 대한민국을 ”후조선”으로 만들었나?

함께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