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헌영 외신 인터뷰 사건이란 박헌영(朴憲永, 1900 ~ 1956)이 1946년 1월 5일 내외신 기자회견을 열고 모스크바 3상 회의에서 합의된 조선에 대한 신탁통치 문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혔는데, 국내 언론 보도와는 달리 뒤늦게 전해진 외신보도는 그가 "소련 1개국만의 신탁통치를 원하며, 10~20년 후 조선이 소련 연방의 일원으로 편입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하여 이 때문에 벌어진 논란을 말한다.

사건의 개요

조선공산당 책임비서 박헌영(朴憲永, 1900 ~ 1956)은 1946년 1월 5일 내외신 기자 회견에서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결정된 신탁통치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튿날 국내 신문에 실린 기사[1]에는 박헌영이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하며 반탁진영을 비난했다는 발언 요지가 실렸다. 좌파 진영은 연말의 반탁 입장에서[2] 새해 벽두에 찬탁 입장으로 돌아선 것이 이미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큰 논란은 벌어지지 않았다[3][4]. 그런데, 1월 15일 청취된 샌프란시스코(桑港) 방송[5]에서 뉴욕타임즈에 보도된 존스턴(Richard J. H. Johnston, 1910~1986)[6][7] 기자의 서울발 기사를 인용하여 "박헌영이 인터뷰에서 소련 1개국만의 신탁통치를 원하며, 나아가 10~20년 후 조선이 소련 연방의 일원으로 편입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는 보도를 하여, 이에 격분한 사람들과 정당, 단체들이 박헌영 측에 거세게 항의하고 비난하는 파문이 일어났다.

이에 1월 17일 박헌영과 조선공산당은 기자회견에서 그런 발언을 한 일이 없다며, 명백한 오보이고 사실무근이라는 성명을 발표하였고, 기자 회견에 참석했던 국내기자들도 박헌영이 그런 발언을 한 일이 없다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그래도 박헌영과 조선공산당에 대한 항의와 비난은 그치지 않았으므로, 조선공산당은 1월 26일에 책임비서 박헌영의 명의로 미군정청에 문제의 기사를 쓴 뉴욕타임즈 존스턴 기자를 추방해달라는 공문서를 접수시킨다.

사태를 주시하면서도 민간의 일이라 직접 개입하지는 않고 있던 군정청은 불가피하게 진상 조사를 시작하게 되고, 그 결과 존스턴 기자의 기사가 사실이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2월 18일 발표한다. 공식적으로는 사건은 이로서 종결되었지만, 조선공산당은 한 차례 항의 성명을 발표하고, 한민당 등은 박헌영의 매국적 발언이 사실로 확인되었다며 공격하는 등 한동안 여진이 계속되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일들에 묻히게 된다. 이 사건은 남한에서 박헌영의 입지를 좁히고, 몰락의 단초가 되었다.

그런데 근래의 대다수 연구자들은 찾아낸 일부의 당시 신문 기사와 미군정청 문서를 토대로 존스턴의 기사는 오보이며, 미군정이 오보인 줄 알면서도 은폐하고 조작된 조사 결과를 발표하여 박헌영과 조선공산당을 탄압하는 데 이용했다고 주장한다. 또 학계와 일반에는 이것이 널리 사실로 인정되고 있는 듯하다. 인터넷에 "박헌영 존스턴"으로 검색해 보면 온통 이런 식의 주장만 나오고, 이에 대한 반박 글은 거의 전무하다.

그러나 새로 발굴된 당시의 주요 문헌들을 보면 이런 주장은 성급한 판단으로 잘못된 것이고, 당시 미군정청의 최종 조사 발표가 맞다는 것이 재차 확인된다. 많은 사람들이 주장하는대로 미군정청이 박헌영과 공산당을 탄압하기 위해 이 사건을 조작하여 음모를 꾸몄다는 증거는 하나도 없다.


새로 발굴된 자료들까지 검토하여 사건의 진상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946년 1월 5일의 박헌영 내외신 기자 회견은 내신과 외신 구분하여 따로 열렸으므로[1][8], 국내신문 기사와 기자들의 성명 및 이를 근거로 존스턴의 기사가 오보라고 판단한 미군정청 일부 인사들의 기록이 외신 보도가 실제 오보라는 증거가 될 수 없다.

모든 연구자들이 존스턴 기자의 박헌영 인터뷰 기사는 뉴욕타임즈에 실린 적이 없다고 주장하나, 실제로는 1946년 1월 10일자 기사로 실렸다.[9] (음모론의 근간이 무너짐.)

존스턴 기자의 뉴욕타임즈 기사[5], UP 통신이 타전한 기사[10][11][12], 군정청 홍보장교(PRO) Tucker 대위가 당시에 기록한 메모[13] 등에 나오는 박헌영의 외신회견 발언은 서로 부합하며, 미군정청의 최종 조사 발표문[14][15]에 나오는 것과도 일치한다.

뉴욕타임즈 기사를 인용한 샌프란시스코 방송은 서울중앙방송국이 "미국의 소리" 한국어 방송을 국내에 중계하여 청취된 것이며[16], 이는 당시 매일 해 오던 프로그램 진행 방식이었으므로[17] 미군정의 음모가 개입되었을 여지는 없다.

박헌영측은 그가 외신회견에서 문제의 발언을 하지 않았다는 증거로 외신 기자들의 기사나 증언이 아니라 관계없는 국내 신문 기사와 기자들의 성명을 제시하여 사람들을 속이려 하였다.[18][19][20][21][22]

결론 : 존스턴은 기사를 조작하지 않았고, 미군정청이 이를 공산당 탄압에 악용할 음모를 꾸민 적도 없으며, 진상조사 발표문을 조작하지도 않았다. 박헌영은 외신회견에서 실제로 "소련 1개국만의 신탁통치를 원하며, 10~20년 후 조선이 소련 연방의 일원으로 편입되기를 희망한다"는 문제의 발언을 하였다.


박헌영이 발언할 때마다 민주주의라는 말을 남용하는 것에 대해 미군정청 기록들도 꼬집고 있다.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는 정반대의 대척점에 있는데 박헌영은 입만열면 다른 사람들은 반동으로 몰고, 공산주의자들만 민주주의자인 것처럼 주장하는 것을 얄팍한 사탕발림이라고 하고 있다.[23] 해방 당시에도 공산주의식 용어혼란 전술이 만연해 있었고, 박헌영은 그런 방식을 가장 애용하는 선동가였다. 박헌영식의 논리라면 그가 추종하는 스탈린이 가장 민주적인 지도자가 되고, 미국은 파시스트 반동국가가 되는 듯하다.

  1. 1.0 1.1 국제적 민주조선 수립, 통일전선은 4정당 교섭으로 : 공산당 朴憲永씨 내외기자단과 회견 자유신문 1946년 01월 06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자료대한민국사 제1권 > 1945년 12월 29일 > 조선공산당의 鄭泰植, 개인자격으로 탁치반대를 표명 서울신문 1945년 12월 29일
  3. 자료대한민국사 제1권 > 1946년 01월 02일 > 조공, 3상회담 결의에 지지 표명 중앙신문 1946년 01월 03일
    反託보다 먼저 戰線 統一, 朝鮮共産黨中央委員會 態度 表明. 중앙신문, 1946.01.03
  4. 託治(탁치)는 國際協力(국제협력) 朝共(조공)의 態度表明(태도표명) : 1월 2일 동아일보 1946-01-05 1면
  5. 5.0 5.1 朝鮮(조선)을 蘇聯屬國(소련속국)으로, 桑港放送(상항방송)이 傳(전)하는 朝共 朴憲永氏 希望(조공 박헌영씨 희망) 동아일보 1946-01-16 1면
  6. 부음 기사(Obituary) : RICHARD JOHNSTON IS DEAD AT AGE 76 New York Times December 25, 1986
  7. 존스톤씨 25일 離韓 자유신문 1949년 10월 19일
  8. UN의 한국문제처리에 관한 미국무부문서 5(대한민국사자료집) > 박헌영 발언관련 정보 (Information about Pak Hun Yung statement) 1948년 12월 2일 무초(Muccio) 초대 주한 미대사가 국무장관에게 보낸 보고서 : 외신 회견은 한국 기자들과 분리해서 이루어짐.
  9. Richard J. H. Johnston, Communist leader favors Russian control over Korea New York Times 1946.01.10,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방문 열람만 가능) : 이 기사는 뉴욕타임즈 과거 기사 검색에도 잡히지 않아 일부 한정된 판에만 실렸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승만 건국 대통령의 정치 고문이었던 Robert T. Oliver (1909 – 2000) 박사의 한국 관련 기사 스크랩 철에 들어 있다.
  10. 유·피가 傳(전)한 問題(문제)의 電文(전문) 동아일보 1946-01-17 1면
  11. UP 記者의 報道 조선일보 1946년 1월 17일자 1면 최하단 우측
  12. 蘇聯 一箇國의 托治 反對치 안는다, UP가 報導한 朴憲永氏談 / UP 記者의 報道 공업신문 1946년 1월 18일
  13. 朴憲永 失言 事件 絶對로 辯明 못할 實事 : 臨席하엿든 美將校談 대동신문 1946-01-23
  1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draft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5. 美國記者(미국기자)와 朴憲永氏(박헌영씨)의 問答(문답) 正確 동아일보 1946-02-19 1면
  16.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jaib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7.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yung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8.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im011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9.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hosun011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0.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hogong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im0220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s0220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3. G-2 Periodic Reports, 2 January 1946 - 7 March 1946 p.102 박헌영의 민주주의관에 대한 코멘트, WS #6 (1945.10.30, p.6) ; p.182 박헌영이 말하는 공산당의 민주주의가 미국 민주주의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설명이 나옴, WS #12 (1945.12.11, p.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