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DF 파일의 JPG 형식의 미리보기 크기: 423 × 599 픽셀. |
원본 파일 (1,239 × 1,754 픽셀, 파일 크기: 1.06 MB, MIME 형식: application/pdf, 8쪽)
파일의 설명
1939년 5월 22일 ~ 7월 1일 기간 김일성 부대의 양민 약탈 및 납치 일지. 함경북도 무산군(茂山郡) 일대와 두만강 대안 만주 안도현(安圖縣), 화룡현(和龍縣) 지역에서 40일간에 무려 38회나 약탈과 납치를 자행했다. 당시 신문에 보도된 것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만주쪽 피해자도 대부분 이주한 조선인들이었다.
- 출처 : 「笠間史料 昭和14年度第一次警備行軍部隊行動詳報」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13021441100、笠間史料 昭和14年度第一次警備行軍部隊行動詳報(防衛省防衛研究所)」
- 標題:3 行軍地方一般の状況
- p.4 ~ p.11: 5월 22일부터 7월 1일까지 일자별 비적 침습(侵襲) 상황 : 김일성 부대의 약탈 일지.
- 카사마(笠間) 보고서 전체 내용을 text로 입력한 pdf 파일
김일성 부대가 약탈을 자행한 지역은 아래 지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무산군 삼장면 지역과 두만강에 인접한 만주 쪽 지명만 나옴.)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근대지리정보 국사편찬위원회 (선택한 지역 확대 가능)
- 백두산 바로 동편이 함경북도 무산군(茂山郡) 삼장면(三長面)이며, 삼장면의 동편 끝 두만강에 접한 지점인 삼상동(三上洞)에 삼장면사무소와 경찰서가 있다. 이곳에서 두만강을 동에서 서로 거슬러 올라가며 홍기하(紅旗河, 중국쪽)[1], 소홍단수(小紅湍水, 북한쪽), 농사동(農事洞)[2], 홍암동(紅岩洞)[3] 등이 나온다. 두만강의 북한 쪽 지류 소홍단수(小紅湍水)를 상류로 거슬러 오르면 소홍단(小紅湍)을 지나 신개척(新開拓)이 나오고, 좀 더 상류에 구암(篝岩)이 있다. 구암 북편에 소로은산(小蘆隱山), 서편에 대로은산(大蘆隱山)[4]이 나온다.(지도의 芦는 蘆의 일본식 약자임). 대로은산 서북방향에 증산(甑山)이 있다. 중국쪽으로는 홍기하(紅旗河)의 두만강과 합수 지점 북쪽에 노전동(蘆田洞)이 있고, 그 동북동(ENE) 방향으로 약간 떨어져 소옥석동(小玉石洞)이 보이는데, 김일성 부대에 약탈당한 마을들이다.
각주
- ↑ Hongqi River (红旗河) : 延边朝鲜族自治州和龙市 구글지도
- ↑ 농사동(農事洞) - 북한지역정보넷
- ↑ 농사동에서 두만강을 따라 상류로 거슬러 올라간 지점. 좌표 [128.7552, 42.0439]
- ↑ 대로은산(大老隱山) 북한지역정보넷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 | 크기 | 사용자 | 설명 | |
---|---|---|---|---|
현재 | 2022년 3월 24일 (목) 03:50 | 1,239 × 1,754, 8쪽 (1.06 MB) | JohnDoe (토론 | 기여) | 1939년 김일성 부대의 양민 약탈 및 납치 일지. |
이 파일을 덮어쓸 수 없습니다.
이 파일을 사용하는 문서
다음 문서 3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