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철(兪成哲, 1917년 10월 ~ 1995년 1월 10일)은 소련의 고려인 출신으로 제88독립저격여단(88여단)에서 김일성 대대의 통역관으로 일하다 해방 후 북한으로 와서 인민군 작전국장 등을 지냈다. 김일성의 소련파 숙청 때 쫓겨나 소련으로 돌아 갔다.

생애

유성철(兪成哲, 1917-1995)은 소련 연해주(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포시예트 항구에서 1917년 10월 빈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우즈베크 공화국 타시켄트시의 니사미 사범대학에서 러시아어 교원 강습을 마치고 얀기율시 중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941년부터 1943년까지 모스크바에서 소련군 정찰학교를 마치고, 하바로프스크 인근 뱌츠코예 마을의 88여단에 배속되어 정찰임무를 수행하였다. 여단내 제1대대장 김일성 아래에서 통역관으로 있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김일성과 함께 소련군함 푸가초프호를 타고 9월 19일 원산항을 통해 입북하였다.

6.25 때는 인민군 작전국장으로 있으면서 소련군이 작성한 작전명령서를 한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1] 친구였던 정상진(鄭尙進, 1918~2013)의 증언에 의하면 6.25 첫 발포 명령을 그가 내렸다고 한다.[2][3] 김일성의 소련파 숙청 당시 1958년 사상검토 때 모든 직책에서 쫓겨나 1959년 소련으로 돌아 갔다.[4][5]

한소 수교 직후인 1990년 10월 방한하여 6.25 남침 등에 대한 여러가지 중요한 증언들을 남겼다.[6][7][8][9]

방한 후 귀국한 유성철은 1991년 6월 재소(在蘇) 교민신문 고려일보에 연재한 회고록 「피바다의 비화」에서 보천보 습격사건의 주역이었던 김일성(金日成)은 당시 전사하고, 그 이후 별다른 항일 공적이 없던 북한 김성주가 김일성 이름을 쓰며 자신이 한 일로 만들어 공을 가로챘다고 하였다.[1][4][10][11] 그는 김일성이 북한의 최고 권력자가 되기 이전에 그의 동료 빨치산들과 같이 근무하면서 김일성의 전력에 대해 솔직한 이야기를 들었을 것이므로 이 증언은 사실로 볼 수 있다. 유성철은 김일성이 입북하면서 동료 빨치산들에게 자신의 전력에 대해 함부로 말하지 못하도록 함구령을 내렸다고 했다.[1]

가족관계

  • 형 : 유성훈(兪成勳) - 전 김일성대 총장[12]
  • 배우자 : 김용옥(金龍玉)[13]

각주

  1. 1.0 1.1 1.2 金日成이 보천보전투 전공 가로채 / 前북한군 작전국장 회고록서 폭로 연합뉴스 1991.06.11 ;
    "金日成(김일성)이 抗日戰功(항일전공) 가로챘다"前(전)북한군 작전국장 蘇(소)서 폭로 경향신문 1991.06.12. 4면 ;
  2. 고려인으로 北문화선정성 차관 지낸 정상진씨 증언 조선일보 2009.06.20
  3. “김일성, 스탈린에 ‘3개월내 통일 가능’ 설득 전쟁 승인” : 정상진씨 증언 dailynk 2008-06-24
  4. 4.0 4.1 유성철(兪成哲, 1917-1995) 전 조선 인민군 총참모부 작전국장겸 부참모장 미의회도서관 Biographies of Soviet Korean Leaders - 숙청된 고려인 가족 80인의 육필수기
  5. 장학봉 외, "북조선을 만든 고려인 이야기", 서울: 경인문화사, 2006.
  6. =전 北韓軍작전국장 兪成哲씨 回顧 ①=" 蘇聯이 6.25남침계획 작성했다" 연합뉴스 1990-11-02
    =전 北韓軍작전국장 兪成哲씨 回顧②=特輯.中共,스탈린의견듣고 贊反속 참전결정 연합뉴스 1990-11-03
  7. =전北韓軍작전국장 兪成哲씨 回顧 ③= 金日成,북한에 오자 傳說的인물부각 안간힘 연합뉴스 1990-11-05
    =전 北韓軍작전국장 兪成哲씨 回顧(完)= 金日成,사상검토라는 이름으로 숙청단행 연합뉴스 1990-11-06
  8. 증언 김일성을 말한다 : 유성철(俞成哲)·이상조(李相朝)가 밝힌 북한정권의 실체, (한국일보 편, 한국일보사, 1991)
  9. 재소 한인 유성철씨 우리나라 방문, 당시 증언 (김현주) MBC 1990/10/31
  10. <美의회도서관, 고려인 80여명 수기집 디지털화 보관> 연합뉴스 2007-02-08
  11. "金日成(김일성)이 抗日戰功(항일전공) 가로챘다"前(전)북한군 작전국장 蘇(소)서 폭로 1991.06.12 경향신문 4면
    횡설수설 1991.06.12 동아일보 1면
  12. 유성훈(兪成勳) 전 김일성대 총장 행장 : 미의회도서관
  13. 고려인들의 입북 후 활동 및 삶의 모습 / 2006년도 수집 구술자료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