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가명인 두상에 일봉 (假明人 頭上에 一棒)」은 ‘가짜 명(明)나라 사람 머리에 몽둥이 한 대’라는 의미로 명나라를 숭배하는 조선후기 유신들과 사림을 비판한 권덕규(權悳奎, 1890~1950)<ref name="kwon">[http://nlcollection.nl.go.kr/front/detail/detail.do?rec_key=CO0000003902&category_id=CA0000000056&chkApp= 한글보급에 앞장선 한글학자이자 민족의식을 일깨운 역사학자, 권덕규(權悳奎)] 국립중앙도서관 > 역사 > 한국의위대한인물</ref><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870 권덕규(權悳奎, 1890~195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의 논설인데 1920년 5월 8일과 9일 동아일보 1면에 실렸다.
「가명인 두상에 일봉 (假明人 頭上에 一棒)」은 ‘가짜 명(明)나라 사람 머리에 몽둥이 한 대’라는 의미로 명나라를 숭배하는 조선후기 유신들과 사림을 비판한 권덕규(權悳奎, 1890~1950)<ref name="kwon">[http://nlcollection.nl.go.kr/front/detail/detail.do?rec_key=CO0000003902&category_id=CA0000000056&chkApp= 한글보급에 앞장선 한글학자이자 민족의식을 일깨운 역사학자, 권덕규(權悳奎)] 국립중앙도서관 > 역사 > 한국의위대한인물</ref><ref name="kwon1">[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870 권덕규(權悳奎, 1890~195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의 논설인데 1920년 5월 8일과 9일 동아일보 1면에 실렸다.


==개요==
==개요==
권덕규(權悳奎, 1890~1950)<ref name="kwon">는 1920년 「가명인 두상에 일봉(假明人 頭上에 一棒)」이라는 동아일보에 기고한 논설을 통해, 명나라 황제의 제사를 지내고 그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의 연호를 고집하던 당시의 유학자들을 가리켜
권덕규(權悳奎, 1890~1950)<ref name="kwon"/><ref name="kwon1"/>는 1920년 「가명인 두상에 일봉(假明人 頭上에 一棒)」이라는 동아일보에 기고한 논설을 통해, 명나라 황제의 제사를 지내고 그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의 연호를 고집하던 당시의 유학자들을 가리켜
<blockquote>"심장도 창자도 없는 지나사상의 노예"</blockquote>
<blockquote>"심장도 창자도 없는 지나사상의 노예"</blockquote>
라 표현하며
라 표현하며
10번째 줄: 10번째 줄:


==기사 원문 이미지==
==기사 원문 이미지==
아래는 권덕규(權悳奎, 1890~1950)의 논설 「가명인 두상에 일봉(假明人 頭上에 一棒)」기사 2회분 원문 이미지이다.


[[파일:가명인 두상에 일봉 (1).jpg|800픽셀|섬네일|가운데|한별(桓民),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0050800209201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0-05-08&officeId=00020&pageNo=1&printNo=36&publishType=00020 「假明人 頭上(가명인 두상)에 一棒(일봉) (一)」] 동아일보 1920-05-08 1면]]
[[파일:가명인 두상에 일봉 (1).jpg|800픽셀|섬네일|가운데|한별(桓民),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0050800209201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0-05-08&officeId=00020&pageNo=1&printNo=36&publishType=00020 「假明人 頭上(가명인 두상)에 一棒(일봉) (一)」] 동아일보 1920-05-08 1면]]


[[파일:가명인 두상에 일봉 (2).jpg|800픽셀|섬네일|가운데|한별(桓民),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0050900209201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0-05-09&officeId=00020&pageNo=1&printNo=37&publishType=00020 「假明人 頭上(가명인 두상)에 一棒(일봉) (二)」] 동아일보 1920-05-09 1면]]
[[파일:가명인 두상에 일봉 (2).jpg|800픽셀|섬네일|가운데|한별(桓民),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0050900209201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0-05-09&officeId=00020&pageNo=1&printNo=37&publishType=00020 「假明人 頭上(가명인 두상)에 一棒(일봉) (二)」] 동아일보 1920-05-09 1면]]

2019년 5월 23일 (목) 19:15 판

「가명인 두상에 일봉 (假明人 頭上에 一棒)」은 ‘가짜 명(明)나라 사람 머리에 몽둥이 한 대’라는 의미로 명나라를 숭배하는 조선후기 유신들과 사림을 비판한 권덕규(權悳奎, 1890~1950)[1][2]의 논설인데 1920년 5월 8일과 9일 동아일보 1면에 실렸다.

개요

권덕규(權悳奎, 1890~1950)[1][2]는 1920년 「가명인 두상에 일봉(假明人 頭上에 一棒)」이라는 동아일보에 기고한 논설을 통해, 명나라 황제의 제사를 지내고 그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의 연호를 고집하던 당시의 유학자들을 가리켜

"심장도 창자도 없는 지나사상의 노예"

라 표현하며

"충효의 가르침을 제 땅과 제 민족을 위해 쓰지 아니하고 자기와 아무 관계없는 다른 놈에게 들이 바치니, 그 더러운 소갈머리야 참으로 개도 아니 먹겠다"

고 일갈하였다.


기사 원문 이미지

아래는 권덕규(權悳奎, 1890~1950)의 논설 「가명인 두상에 일봉(假明人 頭上에 一棒)」기사 2회분 원문 이미지이다.

한별(桓民), 「假明人 頭上(가명인 두상)에 一棒(일봉) (一)」 동아일보 1920-05-08 1면


한별(桓民), 「假明人 頭上(가명인 두상)에 一棒(일봉) (二)」 동아일보 1920-05-09 1면

논란

송산 김명식(松山 金明植 · 1890~1943) 기자가 쓴 ‘조선부로(朝鮮父老)에게 고함’(1920년 5월 4일자부터 9일자까지 6회 연속 게재)에서 낡은 인습을 타파하자는 주장을 편 것에 [3]

[4][5]

함께 보기

각주

  1. 1.0 1.1 한글보급에 앞장선 한글학자이자 민족의식을 일깨운 역사학자, 권덕규(權悳奎) 국립중앙도서관 > 역사 > 한국의위대한인물
  2. 2.0 2.1 권덕규(權悳奎, 1890~195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朝鮮父老(조선부로)에게 告(고)함 (一) 동아일보 1920-05-04 1면
    朝鮮父老(조선부로)에게 告(고)함 (二) 동아일보 1920-05-05 1면
    朝鮮父老(조선부로)에게 告(고)함 (三) 동아일보 1920-05-06 1면
    朝鮮父老(조선부로)에게 告(고)함 (四) 동아일보 1920-05-07 1면
    朝鮮父老(조선부로)에게 告(고)함 (五) 동아일보 1920-05-08 1면
    朝鮮父老(조선부로)에게 告(고)함 (六) 동아일보 1920-05-09 1면
  4. 권덕규의 이 논설과, 이보다 앞서 송산 김명식(松山 金明植 · 1890~1943) 기자가 쓴 ‘조선부로(朝鮮父老)에게 고함’(1920년 5월 4일자부터 9일자까지 6회 연속 게재)에서 낡은 인습을 타파하자는 주장을 편 것에 대한 유림의 거센 항의로 동아일보 초대사장 박영효(朴泳孝)가 창간 2개월만에 사퇴하게 된다 : 초대 사장 박영효(朴泳孝) 동네 - 동아미디어그룹 공식 블로그
  5. 동아일보는 권덕규 논설에 대해 사과문을 내지 않는 대신에 반론을 실었다.
    漢陽過客, 讀東亞日報(독동아일보) 동아일보 1920-05-13 1면
    漢陽過客, 讀東亞日報(독동아일보) (續) 동아일보 1920-05-14 1면
    『假明人頭上(가명인두상)에 一棒(일봉)』과 儒敎(유교)의 眞髓(진수) (一(일)) 동아일보 1920-05-17 1면
    『假明人頭上(가명인두상)에 一棒(일봉)』과 儒敎(유교)의 眞髓(진수) (二(이)) 동아일보 1920-05-18 1면
    『假明人頭上(가명인두상)에 一棒(일봉)』과 儒敎(유교)의 眞髓(진수) (三(삼)) 동아일보 1920-05-19 1면
    『假明人頭上(가명인두상)에 一棒(일봉)』과 儒敎(유교)의 眞髓(진수) (四(사)) 동아일보 1920-05-20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