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김국후(金局厚)는 중앙일보 기자로 재직 시절 한소수교 직후인  1991년 봄부터 1992년말까지 구소련(舊蘇聯) 전역을 수차례 장기 출장하여 소련군정 및 북한 고위직을 지낸 소련 고려인들을 만나 북한 초기 역사 관련 증언들을 청취하고 여러 관련 도서를 출간했다.
김국후(金局厚)는 중앙일보 기자로 재직 시절 한소수교 직후인  1991년 봄부터 1992년말까지 구소련(舊蘇聯) 전역을 수차례 장기 출장하여 당시 생존해 있던 북한 소련군정 인사들과 및 북한 고위직을 지낸 소련 고려인들을 만나 북한 초기 역사 관련 증언들을 청취하고 여러 관련 도서를 출간했다.


==약력==
==약력==

2020년 5월 9일 (토) 07:45 판

김국후(金局厚)는 중앙일보 기자로 재직 시절 한소수교 직후인 1991년 봄부터 1992년말까지 구소련(舊蘇聯) 전역을 수차례 장기 출장하여 당시 생존해 있던 북한 소련군정 인사들과 및 북한 고위직을 지낸 소련 고려인들을 만나 북한 초기 역사 관련 증언들을 청취하고 여러 관련 도서를 출간했다.

약력

김국후(金局厚) 중앙일보 기자는 공산주의 종주국 구소련(舊蘇聯)이 붕괴되기 직전인 1991년 봄부터 1992년말까지 舊蘇聯 전역을 수차례 장기 출장, 해방후 북한정권을 창출한 前평양주둔 軍政 고위 정치장교, KGB간부, 외교관, 舊소련망명 前 軍·政고위인사 등 1백여 명을 만나 북한 정권 수립 배경과 그 과정의 생생한 증언·사료 · 사진 등을 발굴해 중앙일보에 장기 연재(비록 조 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 특별 취재반 하고 이를 상·하 두권의 책으로 펴냈다. 특히 김기자는 역사의 뒤안길에 묻혀있던 '비운의 혁명가 박 헌영의 딸을 모스크바에서 찾아내 박헌영 사상과 혁명 발자취를 재조 명하고, 金日成 북한 지도자 선택과정과 배경, 40여 년 동안 생사불명 이었던 민족지도자 古堂 曺晩植선생과 春園 李光洙를 비롯 월북 인사 들의 최후 등을 중앙일보에 단독 보도한 바 있다.

  • 1946-全南 高興産
  • 1971년 朝鮮大 法大 졸업
  • 1973년 中央日報 사회부 기자
  • 1987년 同 사회부 차장
  • 1990년 同 북한부 차장
  • 1992년 同 통일부 차장
  • 1993년 同 신경영 연구팀 부장
  • 1994년 同 사장실 부장 겸 통일문제연구소 연구위원
  • 1991년 관훈클럽 언론상, <한국 언론학회 언론상> (중앙일보 특별 취재반 공동) 수상
  • 1993년 한국기자협회 <기자대상> (중앙일보 특별 취재반 공동) 수상


김국후[1] 조선대학교·대학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정치외교학 석사), 중앙일보 편집국 기자, 중앙일보 편집국 사회·북한·통일부 차장, 중앙일보 사장실 부장, 편집국 기획취재부장, 편집국 부국장 등을 지냈다. 중앙일보 북한·통일부 차장으로 있을 때, 공산주의 종주국 구소련이 붕괴되기 직전인 1991년 봄부터 1993년 가을까지 구소련 전역을 장기 출장, 해방 후 북한정권을 창출한 전(前) 평양주둔 소련군정 고위 정치장교, 정보기관 간부, 외교관, 구소련 망명 북한 군·정 고위 인사 등 100여 명을 만나 북한정권 수립 배경과 과정이 담긴 생생한 증언·사료·사진 등을 발굴해 「중앙일보」에 장기 연재했다. 이는 『(秘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상·하』(1992)『평양의 카레이스키 엘리트들』로 출간됐다. 취재과정에서 역사의 뒤안길에 묻혀 있던 스탈린의 북한 지도자 선택과 그 배경, 40여 년 동안 생사불명이었던 민족지도자 고당 조만식 선생과 춘원 이광수를 비롯한 월북 인사들의 최후, ‘비운의 혁명가’ 박헌영의 딸을 모스크바에서 찾아내 알게 된 박헌영의 혁명 발자취 등을 ≪중앙일보≫에 단독 보도하기도 했다. 이 공로로 ‘1991년 관훈클럽 언론상’, ‘1992년 한국언론학회 언론상’, ‘1993년 한국기자협회 한국기자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저서

함께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