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고타마 싯다르타를 교조로 삼는 종교이다.
고타마 싯다르타를 교조로 삼는 종교다.


불교의 목표는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다.
붇다는 해탈을 위한 인식과 방법으로 사성제 즉 고집멸도를 설했다. 고는 중생의 일반적인 즐거움이나 생사윤회를 포함하며 일체개고라 말한다. 고의 이유는 집착과 갈애다. 고가 멸한 이유로 도에 이르러 생사에 자유로우며 윤회에서 벗어난 경지(중생을 건지기 위해 다시 태어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를 열반이라 한다, 이를 위한 수행 방법으로 팔정도와 6바라밀이 있다.


불교에서는 일체개고 인생의 모든 것은 고통이라고 이야기 한다. 하물며 우리가 즐거워 하는 무언가 그것조차 일종의 고통으로 본다.
== 논란 ==


인생은 곧 고통이기에 계속 태어나야 하는 윤회도 고통이고 저주이다.
석가모니의 입멸시기는 문화권에 따라 약 500여년의 차이가 난다. 공식적인 불기와는 별개로 유물의 표기 및 고승대덕들의 사용을 포함해 전통적인 한국 불교는 21세기를 불기 3천년 이후로 보며, 남방불기가 불기를 대표하게된 1956년 세계불교대회의 일에 대해서는 한국전쟁이 끝난지 얼마 안되어 경황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세계 불교학계에 영향력이 있던 일본이 자신들의 신도의 역사를 불교의 상위에 올려 놓기 위한 의도가 작용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 윤회의 저주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것 다시 태어나지 않는 것 이것을 열반 해탈 등등이라고 말한다.
통불교를 자처하는 대한민국을 포함 현대 주류 불교학계에서는 특정 문화권에 전래되는 석가모니의 일부의 친설만을 발굴하려는 태도나 그것을 고집하는 것에 대해 협소한 관점으로 인식한다. 화엄경을 붇다가 설한 최초이자 완전한 가르침으로, 그 이후 45년간의 붇다의 가르침은 초보자에서 상급자를 위한 단계적 버젼으로 인식하는 대승불교에서는 아함경을 비롯한 이른바 원시불교, 초기 경전에 대해 그것에도 이미 대부분의 공, 중관 등 대승불교의 논의가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붇다는 최후의 가르침으로 자기 스스로와 법에 의지하라고 했으며, 불법에서의 불(佛)은 언어 이전의 진리를, 법(法)은 그것의 인식을 말한다. 때문에 붇다 이후 수행자들이 연구하고 집대성한 주요한 경율론이 모두 팔만대장경에 수록되어 있다.


고집멸도라고도 하는데
서양 일부 학자는 싯다르타가 실존인물이 아니라는 학설을 펴기도 했다. 한편 석가모니의 후대인 아쇼카왕 시대에 이 지역은 부처님이 태어난 곳이기에 세금혜택을 주겠다고 하는 내용의 사리탑이 발견되었다.


인생이 고통스러운 이유를 불교에서는 집착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불교 교리에는 별로 관심이 없고, 복을 빌고 소원성취를 바라는 신도들의 풍토가 많아 흔히들 기복불교라는 자조적인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기도 또한 참선과 같은 불교 수행방편 중의 하나이며 수행법의 고하를 막론하지 않는 신심이 중요하다는 관점이 있기도 하다.
 
편하게 있고 싶고, 부자가 되고 싶고, 예쁜 여자랑 있고 싶고 등등 따위이다.
 
이런 집착 때문에 인생은 필연적으로 고통스럽다. 그래서 집착의 굴레에서 벗어나면 윤회의 굴레 고통의 굴레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그 방법을 상좌부불교에서 8가지 바른 길 팔정도라고 하고 대승에서는 6바라밀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이런 교리에는 별로 관심이 없고, 그냥 절에 가서 복을 빌고 소원성취를 바라는 신도들의 풍토가 많아 흔히들 기복불교라는 자조적인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일본에서는 단가제도로 인해 불교가 장례를 도맡아하게 되고, 불교=장례처럼 인식이 되서 장례불교라고 하는 것과 비슷하게 말이다.
 
고타마 싯다르타가 살아 있을 때 지금처럼 동영상이나 녹음기 같은 게 없었기 때문에 어디까지가 그가 직접 한 말이고 아닌 지는 추측만 할 뿐 정확히는 알 수가 없다.
 
이건 사실 예수, 공자, 소크라테스 등등 마찬가지다.
 
인도는 기록문화도 아니었고 구전문화 였기에 싯다르타가 언제 죽었는지 즉 입멸시기도 학자에 따라 학설에 따라 몇 백년씩 차이가 난다.
 
서양 일부 학자는 싯다르타가 실존인물이 아니라는 학설을 펴기도 했는데 아쇼카왕의 사리탑(이 지역은 부처님이 태어난 곳이기에 세금혜택을 주겠다고 하는 탑)이 발견 되면서 어느정도는 실존여부에 대한 논란이 불식되었다.
(그렇다고 완전히 불식된 것은 아니다 아쇼카왕 시기도 싯다르타 살아생전 완전한 당대까지는 아니기 때문에)
 
그래서 입멸후 최소 몇백년 후에 뿅하고 기존 상좌부 불교에 반해서 나온 대승경전은 싸그리 싯다르타가 한 이야기가 아는 라는 대승비불설이라는 학설은 사실 불교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초창기 불경인 아함경이나 팔리어 경전 등도 어디까지가 싯다르타의 친설인지도 추측만 할 뿐 현재로서는 정확히는 알 수 없다.
 
 
불교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면
 
 
 
고타마 싯다르타는 "나에게 의지하지 말고 스스로와 불법을 의지하라 " 뭐 이런 유언을 하고 죽었다.
 
제자들이 슬퍼하고 있는데 제자인 누군가가 " 슬퍼 할 게 아니다 이제 우리한테 뭐하지 마라 이런 이야기를 할 사람이 없어지지 않았나"
 
이런 소리를 하는 걸 싯다르타의 제자 중 하나인 마하가섭이 듣고 이러다가는 부처님이 설하기 법이 사라지고 무엇이 부처님께서 설하신 것이지 알 수 없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어서
 
1차 결집이 이루어진다.
 
부처님 제자 중 아난이 부처님의 비서 였기에 항상 부처님 옆에 붙어 다녔고, 기억력 짱이었기에
 
아난이 먼저 제가 들은 바로는 부처님께서 어디에 계실 때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렇게 썰을 풀고 거기에 모인 부처님 제자 중에 이의가 없을 때 아 그건 부처님께서 하신 가르침 계율이 맞다 하고
 
서로 각자 부분 마다 암기 암송하게 했다.
 
이게 1차 결집이다.
 
거의 모든 불경에서 여시야문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부처님이 어디 계실 때 이렇게 시작하는 건 이런 연유에 의해서다.


흔히 일본에 한국과 같은 불교문화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데 현대의 일본은 불교가 장례를 도맡아하게 되어, 불교=장례처럼 인식이 되어 장례불교라고도 불린다. 이와 함께 한국 불교계는 일본은 불교학이 발달했을 뿐 불교의 핵심인 일반대중의 실천 및 그 인식과는 상관이 없다고 본다. 일례로 구한말 구체화된 민족주의적 선가(仙家)사상을 계승한 것으로 알려진 현대의 고승 탄허의 경우 그의 저술에서 일본의 경전 해석을 철저히 배제하고 전혀 참고하지 않기도 했다.





2021년 3월 23일 (화) 09:43 판

고타마 싯다르타를 교조로 삼는 종교다.

붇다는 해탈을 위한 인식과 방법으로 사성제 즉 고집멸도를 설했다. 고는 중생의 일반적인 즐거움이나 생사윤회를 포함하며 일체개고라 말한다. 고의 이유는 집착과 갈애다. 고가 멸한 이유로 도에 이르러 생사에 자유로우며 윤회에서 벗어난 경지(중생을 건지기 위해 다시 태어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를 열반이라 한다, 이를 위한 수행 방법으로 팔정도와 6바라밀이 있다.

논란

석가모니의 입멸시기는 문화권에 따라 약 500여년의 차이가 난다. 공식적인 불기와는 별개로 유물의 표기 및 고승대덕들의 사용을 포함해 전통적인 한국 불교는 21세기를 불기 3천년 이후로 보며, 남방불기가 불기를 대표하게된 1956년 세계불교대회의 일에 대해서는 한국전쟁이 끝난지 얼마 안되어 경황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세계 불교학계에 영향력이 있던 일본이 자신들의 신도의 역사를 불교의 상위에 올려 놓기 위한 의도가 작용한 것으로 추정한다.

통불교를 자처하는 대한민국을 포함 현대 주류 불교학계에서는 특정 문화권에 전래되는 석가모니의 일부의 친설만을 발굴하려는 태도나 그것을 고집하는 것에 대해 협소한 관점으로 인식한다. 화엄경을 붇다가 설한 최초이자 완전한 가르침으로, 그 이후 45년간의 붇다의 가르침은 초보자에서 상급자를 위한 단계적 버젼으로 인식하는 대승불교에서는 아함경을 비롯한 이른바 원시불교, 초기 경전에 대해 그것에도 이미 대부분의 공, 중관 등 대승불교의 논의가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붇다는 최후의 가르침으로 자기 스스로와 법에 의지하라고 했으며, 불법에서의 불(佛)은 언어 이전의 진리를, 법(法)은 그것의 인식을 말한다. 때문에 붇다 이후 수행자들이 연구하고 집대성한 주요한 경율론이 모두 팔만대장경에 수록되어 있다.

서양 일부 학자는 싯다르타가 실존인물이 아니라는 학설을 펴기도 했다. 한편 석가모니의 후대인 아쇼카왕 시대에 이 지역은 부처님이 태어난 곳이기에 세금혜택을 주겠다고 하는 내용의 사리탑이 발견되었다.

한국에서는 불교 교리에는 별로 관심이 없고, 복을 빌고 소원성취를 바라는 신도들의 풍토가 많아 흔히들 기복불교라는 자조적인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기도 또한 참선과 같은 불교 수행방편 중의 하나이며 수행법의 고하를 막론하지 않는 신심이 중요하다는 관점이 있기도 하다.

흔히 일본에 한국과 같은 불교문화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데 현대의 일본은 불교가 장례를 도맡아하게 되어, 불교=장례처럼 인식이 되어 장례불교라고도 불린다. 이와 함께 한국 불교계는 일본은 불교학이 발달했을 뿐 불교의 핵심인 일반대중의 실천 및 그 인식과는 상관이 없다고 본다. 일례로 구한말 구체화된 민족주의적 선가(仙家)사상을 계승한 것으로 알려진 현대의 고승 탄허의 경우 그의 저술에서 일본의 경전 해석을 철저히 배제하고 전혀 참고하지 않기도 했다.


함께보기

  1. 천주교계 이단
  2. 기독교계 신흥 종교는 개신교 교단에서 이단 지정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단 목록은 교단의 정체성에 따라 지정되 수 있으므로 일부 다른부분이 있을 수 있다.-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 주요 결의(2018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