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기.png 유엔 공식 언어
영국 국기.jpg 프랑스 국기.jpg 스페인 국기.jpg 러시아 국기.jpg 중국 국기.jpg 아랍연맹 국기.png
English
영어
français
프랑스어
español
스페인어
Русский
러시아어
中文
중국어
العربية
아랍어
아랍어
اللغة العربية
العربية
사용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이라크, 모로코, 알제리
사용 지역 이슬람 문화권
사용 민족 아랍인
언어 인구 2억 9000만여 명(모든 방언의 모국어 사용자 - 에스놀로그의 2010년 추산.)
순위 5위.
어순
문자 아랍 문자
언어 계통 아프로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남서셈어
     아랍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이집트 국기.jpg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국기.jpg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국기.jpg 아랍에미리트, 예멘 국기.jpg 예멘, 시리아 국기.jpg 시리아, 이라크 국기.jpg 이라크, 요르단 국기.jpg 요르단, 팔레스타인 국기.png 팔레스타인, 쿠웨이트 국기.jpg 쿠웨이트, 오만 국기.jpg 오만, 바레인 국기.jpg 바레인, 카타르 국기.jpg 카타르, 레바논 국기.jpg 레바논, 알제리 국기.jpg 알제리, 튀니지 국기.jpg 튀니지, 리비아 국기.jpg 리비아, 모로코 국기.jpg 모로코, 수단 국기.jpg 수단, 모리타니 국기.jpg 모리타니, 에리트레아 국기.jpg 에리트레아, 지부티 국기.jpg 지부티, 르완다 국기.jpg 르완다, 코모로 국기.jpg 코모로, 서사하라 국기.png 서사하라, 잔지바르 국기.png 잔지바르 (탄자니아 국기.jpg 탄자니아), 차드 국기.jpg 차드
아랍연맹 국기.png 아랍 연맹
유엔 기.png 유엔

국가 언어로 정한 나라: 말리 국기.jpg 말리, 세네갈 국기.jpg 세네갈, 카메룬 국기.jpg 카메룬(하사니야어, Ḥassānīya).

표준 이집트: Academy of the Arabic Language
언어 부호
ISO 639-1 ar
ISO 639-2

ara

ISO 639-3 다수:
ara — 아랍어 (일반)
aao — 사하라 아랍어
arq — 알제리 아랍어
bbz — 바발리아 아랍어
abv — 바레인 아랍어
shu — 차드 아랍어
acy — 키프로스 아랍어
adf — 도파리 아랍어
avl — 이집트 베두인 아랍어
arz — 이집트 아랍어
afb — 페르시아만 아랍어
ayh — 하드라미 아랍어
acw — 히자지 아랍어
ayl — 리비아 아랍어
acm — 메소포타미아 아랍어
ary — 모로코 아랍어
ars — 나즈디 아랍어
apc — 북레반트 아랍어
ayp — 북메소포타미아 아랍어
acx — 오만 아랍어
aec — 사이디 아랍어
ayn — 사이아니 아랍어
ssh — 사히 아랍어
ajp — 남레반트 아랍어
arb — 현대 표준 아랍어
pga — 수단 크레올 아랍어
apd — 수단 아랍어
acq — 타이지아데니 아랍어
abh — 타지키스탄 아랍어
aeb — 튀니지 아랍어

아랍어: اللغة العربية


개요

아랍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셈어파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로, 주로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의 아랍권에서 사용된다. 이슬람과 밀접한 언어이며 신앙과 관련이 깊다.

아랍어는 아프리카, 아라비아 반도 등의 아랍 세계에서 약 3억 명이 사용하는 세계5위권의 언어로서 유엔 공식 언어이다.


아랍어로 된 코란만이 진짜 코란으로 친다. 외국어로 번역된 것은 진정한 코란이 아니다. 코란을 암송 할 때도 아랍어로 해야한다. 진정한 코란은 아랍어로 된 거기 때문에.

이슬람에서 제대로 된 기도는 아랍어로 해야 한다.

무하마드가 아랍어로 기도했기 때문이다.

지하드 성전으로 비무슬림 이교도를 죽일 때 이교도를 향해 외치는 알라는 위대하다도 아랍어로 해야한다.

중동국가나 이슬람국가라고 다 아랍어를 쓰는 건 당연히 아니다.

대표적으로 시아파 종주국이라고 할 수 있는 이란은 페르시아계이기에 종교적인 것 외에 평소 실생활에 아랍어를 쓰지 않는다. 중동국가는 아니지만 튀르키예도 마찬가지.

아랍 언어권에 속하는 지역


아랍 문자

28개의 기본 문자 외에, 특수 기호가 존재하며, 아랍어 외의 언어에서만 사용되는 변형된 문자가 있다. 알파벳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거나 읽지 않고,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고 읽는다.

기본 문자

아랍어에서는 기본 28자의 자음 문자에, 함자 기호가 사용된다.

문자 문자명 음가
단독형 어두형 어중형 어말형
ا ‍ﺎ 알리프 (Alif) 무음 혹은 /aː/ (※)
(Bāʾ) /b/
(Tāʾ) /t/
(Thā) /θ/
(Jīm) /ʤ/
ح (Ḥā) /ħ/
خ (Khā) /x/
د (Dāl) /d/
ذ (Dhāl) /ð/
ر (Rā) /r/
ز 자이 (Zāy) /z/
(Sīn) /s/
ش (Shīn) /ʃ/
ص 사드 (Ṣād) /sˤ/
ض ﺿ 다드 (Ḍād) /dˁ/
ط (Ṭāʾ) /tˁ/
ظ (Ẓāʾ) /ðˁ/
ع 아인 (ʿAyn) /ʕ/
غ 가인 (Ġayn) /ɣ/
ف (Fāʾ) /f/
ق 까프 (Qāf) /q/
ك 카프 (Kāf) /k/
ل (Lām) /l/
م (Mīm) /m/
ن (Nūn) /n/
ه (Hā) /h/
و 와우 (Wāw) /w/
ي (Yā) /j/
ء 함자 (Hamza) /ʔ/

※ ا(알리프)는 고유의 음가를 갖지 않으며, 다음 형태로 사용된다.

  1. 어두에서 /a/ /i/ /u/ 중 하나의 발음을 표시 (이때 ء(함자, /ʔ/) 가 붙는 경우도 있음)
  2. 어중, 어말에서 다른 자음 문자의 뒤에 붙어 장음 /aː/를 표시
  3. 어중, 어말에서 /a/의 음가 표시용 함자와 함께 쓰임

변형 문자

다음 문자들은 기본 문자에 포함되지 않고, 기본 문자의 변형으로 취급한다.

문자 문자명 로마자표기 음가 설명
단독형 어두형 어중형 어말형
ــة 타 마르부타(tāʾ marbūṭa) h / t / ʰ / ẗ [a], [at] ت의 변형. 명사, 형용사 뒤에 붙어 여성형을 만듦.
ى ىــ ــىــ ــى 알리프 마끄수라(ʾalif maqṣūra) ā / ỳ [aː] 알리프(ا)의 변형. 특정 어휘의 어미에만 붙음.
لا ــلا 람 알리프(lām ʾalif) [laː](※) 람(ل)과 알리프(ا)의 합자 (※)

※ 알리프(ا) 로 시작하는 어휘 앞에 정관사 ال(알) 이 붙을 경우 등에 나타난다. 이와 같이 /(ʔ)a/ /(ʔ)i/ /(ʔ)u/ 음가를 갖는 어두 ا의 바로 앞에 람(ل)이 와 'لا'가 될 경우, 음가는 /laː/ 가 아니라, /l(ʔ)a/ /l(ʔ)i/ /l(ʔ)u/ 중 하나가 된다. (예: إسلام (Islām) + ال (al) → الإسلام (al-Islām))

- 람(ل)의 뒤에 함자가 있는 알리프(إ ,أ)가 붙을 경우 لإ ,لأ과 같이 لا의 위아래에 함자가 붙는 형태가 된다.

문법

아랍어 표준이나 쿠란하디스에서는 VSO(동사-주어-목적어)규칙이 극소수 문장을 제외하고는 철저히 지켜지지만 명사가 술어인 경우 SV(주어-술어)로도 쓰이며 암미야의 경우 표준어와 달리 SVO(주어-동사-목적어)가 지배적이다.

공용어로 쓰는 나라/기구

· 이집트 국기.jpg 이집트
· 사우디아라비아 국기.jpg 사우디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국기.jpg 아랍에미리트
· 예멘 국기.jpg 예멘
· 시리아 국기.jpg 시리아
· 이라크 국기.jpg 이라크
· 요르단 국기.jpg 요르단
· 팔레스타인 국기.png 팔레스타인
· 쿠웨이트 국기.jpg 쿠웨이트
· 오만 국기.jpg 오만
· 바레인 국기.jpg 바레인
· 카타르 국기.jpg 카타르
· 레바논 국기.jpg 레바논
· 알제리 국기.jpg 알제리
· 튀니지 국기.jpg 튀니지
· 리비아 국기.jpg 리비아
· 모로코 국기.jpg 모로코
· 수단 국기.jpg 수단
· 모리타니 국기.jpg 모리타니
· 에리트레아 국기.jpg 에리트레아
· 지부티 국기.jpg 지부티
· 르완다 국기.jpg 르완다
· 코모로 국기.jpg 코모로
· 서사하라 국기.png 서사하라
· 잔지바르 국기.png 잔지바르 (탄자니아 국기.jpg 탄자니아)

국가 언어로 정한 나라

· 말리 국기.jpg 말리
· 세네갈 국기.jpg 세네갈
· 카메룬 국기.jpg 카메룬(하사니야어)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