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орывник правды, справедливости и человеческого достоинства.
русский язык
露語(노어)[1]
언어 : 인도유럽어족, 동슬라브어군, 슬라브어파
러시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동슬라브어군에 속한 언어이며 슬라브어파의 언어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이자, 러시아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키릴 문자로 기록하며, 33개 정도의 알파벳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어는 유럽에서 가장 모어화자가 많은 언어이며, 모어 화자수에서는 세계에서 8번째로 많고, 제2언어화자수도 포함하면 세계에서 4번째로 많다. 러시아의 음역어인 노서아(露西亞)를 차용한 노어(露語)라는 이름도 있다. 냉전 당시에는 영어만큼 큰 지위를 누렸던 국제어 이기도 하며, 또한, 이 언어는 지구상에서 약 20분의 1이 쓴다고 해도 무방한것이다. 이 언어는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 및 벨라루스어와 비슷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와도 약간의 단어가 유사하며, 동부 러시아어는 카자흐어나 몽골어의 영향도 소수로 받은 편이다. 역사적으로는 그리스어, 라틴어, 폴란드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핀우고르어족, 투르크어족, 페르시아어, 아랍어에서도 차용어를 들여왔다. 러시아어는 문법적으로는 굴절어에 속한다. 유엔에서 정한 6개 공용어 중 하나이며 독립국가연합에 속한 나라들이 주로 사용한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몽골, 동유럽과 중앙유럽(폴란드,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에서는 상용어로 사용되며, 나머지 사용자는 제2언어로 사용한다. 방언은 북부(러시아 북부에서 시베리아), 중부(러시아 중앙부), 남부(캅카스와 러시아 남서부)로 나뉘며, 표준어는 모스크바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모스크바 방언은 원래 남부 방언에 속했으나 북부방언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중부 방언으로 탄생했다. 일본 홋카이도 지역[2]에서도 일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터키에서도 소수가 쓰는 편이며, 그리스, 독일, 오스트리아, 핀란드에서도 약간의 사용자가 있다. 그 밖에도 민족마다 러시아어 억양이 다르다. 이를테면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억양의 러시아어, 주로 서부지역과 오데사에서 많이 사용), 캅카스의 러시아어 (캅카스 억양의 러시아어, 러시아의 북캅카스 지방의 여러 민족과 코카서스 3국에서 사용), 중앙아시아의 러시아어(터키 억양의 러시아어, 중앙아시아 5개 공화국에서 많이 사용) 등이 있다.
알파벳의 일종인 키릴 문자를 쓴다.키릴 문자(러시아어 문자)를 쓴다.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