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한어(和製漢語)란 일본식 한자어란 뜻으로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한자 어휘를 말한다. 일본 메이지 시대 이후 서양문물을 흡수하기 위해 새로운 서양의 단어들에 대응하는 한자 용어를 일본 번역가들이 만들어 낸 번역어를 주로 가리키는데, 이 번역 어휘들은 신한어(新漢語)라는 용어를 써서 메이지 시대 이전의 일본제 한자어와 구별하여 나타내기도 한다.

사실상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근대적 의미의 단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한국은 새로운 개념을 정리하고 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만든 일본의 고심과 노력, 지성에 무임승차한다고 볼 수 있다.

메이지 시대 이전

한자가 일본에 전래된 이래, 일본에서는 일본어표기방식과 같이 고유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을 다시 한자음으로 읽어 명사화하거나,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해서 중국에는 없는 개념이나 사물 등을 나타낼 필요가 있을 때, 새로운 어휘를 만들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화재를 나타내는 火事(화재, かじ)는 일본 고유어인 火の事를 음독한 것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大根(대근), 立腹(입복)등의 단어들이 고유어에서 만들어졌으며, 介錯(가이샤쿠), 芸者(게이샤), 三味線(샤미센) 등은 일본특유의 사물이나 개념 등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단어들이다. 일본은 국외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대부분 중국의 번역서에 의존했는데, 네덜란드에게 독점적으로 교역을 허용함으로써 난학이 발생하고 중국에 의존하지 않는 서양과의 직교를 통한 번역시도는 해체신서가 처음이었다. 난학을 통해 네덜란드어의 음차어인 舍密(샤미, chemistry, 후에 중국에서 들어온 化學(화학)으로 교체됨), 신경(神経), -선(腺) 등의 의학과학 용어가 만들어졌고 오늘날에도 쓰이고 있다.

개요

일본제 한자어는 한자 전래 이래로 중국어에는 없는 일본 고유의 개념이나 제도, 사물을 나타낼 필요성에 따라 줄곧 만들어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 쓰이고 있는 일본제 한자어 대부분은 특히 메이지 시대에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집중적으로 번역되어 만들어졌다. 일본의 경우, 메이지 유신 이전에 네덜란드와의 교류를 통해 네덜란드어와 그 문물을 연구하는 난학(蘭學)이 발달하여, 유럽어 번역의 경험과 역량이 어느 정도 쌓인 상태였다.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어의 번역은 주로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의 번역으로부터 이루어졌다.

일본지식인들의 한학전통에 대한 존중과 낯선 원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 일반인들에게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만들기 위한 노력에 따라 조어력이 빈약한 일본고유어에 견주어 왕성한 조어력을 갖춘 한자와 한자어를 써서 번역하였다.

이러한 작업에는 모리 오가이나 후쿠자와 유키치 등, 당대 일본 학자 및 사상가들의 노력이 있었다. 이른바 한자 문화권 국가들 가운데 일본이 한자를 매개로 하여 서양의 개념을 한자어로 번역하는 데에 먼저 성공함으로써, 일본보다 근대화가 더디었던 한국중국은 한자를 매개로 하여, 과거 중국에서 양국으로 수출되었던 한자어가 도리어 일본에서 양국으로 역수출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또한 현재 한자를 사용하지 않지만,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베트남도 마찬가지로 일본 유학생 등을 통하여 베트남어에 일본제 한자어가 흘러 들어왔다. 메이지 시대에 만들어진 이러한 번역어는 수만 낱말에 이른다는 의견이 있다. 이러한 일본제 한자어는 앞서 쓰여왔던 전통 한자어의 용법으로는 어색하다거나 개별문자의 의미만으로는 단어의 뜻을 알기 어렵다는 비판도 있었으나, 익숙한 한자의 한자음만 자국식으로 바꿔서 받아들일 수 있는 간편함때문에 다른 한자문화권 국가에 폭넓게 수용되었다.

현재에도 ‘-단(團), -력(力), -법(法), -성(性), -적(的), -제(制), -주의(主義), -회(會)’ 등 일본식 한자어의 생산성 있는 조어의 어미에 따라 새로운 한자어가 꾸준히 만들어지고 있다.

일본제 한자어의 조어법에는 개별 한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어휘를 만들어 내는 방법과 원래 있던 낱말에 새로운 뜻을 더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한국에서 쓰이고 있던 전통 한자어의 용법을 몰아내고 완전히 자리잡은 것들이 많다.

  • 발명(發明):‘죄인이 스스로의 결백 등을 밝히다, 변명하다’라는 뜻에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다’라는 뜻으로 바뀜.
  • 방송(放送): 본디 ‘죄인 등을 놓아 주다’라는 뜻에서 ‘전파에 의한 매스커뮤니케이션’이라는 뜻으로 바뀜.
  • 생산(生産):‘자식을 낳다’라는 뜻이었으나, 이 의미로 쓰는 것은 예스러운 것으로 제한되고 ‘제품을 대량으로 만들어내다’라는 뜻으로 바뀜.
  • 실내(室內):‘타인의 부인을 점잖이 일컫는 말’이었으나, ‘방이나 건물 따위의 안’이라는 뜻으로 바뀜.
  • 중심(中心):‘마음 속’이라는 뜻이었으나 ‘사물 한가운데’라는 뜻으로 바뀜.
  • 공원(公園): '관리 집의 뜰'이란 뜻이나, 'public park, 공공장소에 꾸민 정원'의 뜻으로 바뀜.
  • 기관(機關): 한문에서는 계책, 계략 등의 뜻이었으나, 특정 기능을 맡는 조직체를 가리키는 뜻으로 바뀜.
  • 물질(物質): 한문에서는 사물의 꼴, 형체의 뜻이나 substance의 대역어로 쓰이게 됨.
  • 사진(寫眞): 고려시대에는 "초상화"라는 뜻으로 쓰였다.

조어 유형

번역 차용

번역차용은 번역의 출발어에 있는 단어를 잘라서 도착어에서 그에 맞는 조어요소로 바꿔 줌으로써 만들어진다. 낱말에 따라 그 개개 한자형태소 뜻을 합친 의미가 잘 이해가 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 Airport→空港(공항, Air를 空으로, port를 港으로 대응시켰다)
  • Homework→宿題(숙제, Home을 宿, work를 題에 대응시켰다)
  • Cold war→冷戰(냉전, Cold를 冷, war를 戰에 대응시켰다)
  • Hämophilie→血友病(혈우병, Hämo를 血,philie을 友에 대응시키고, 그 의미를 한정시키기 위해 病을 덧붙였는데, 개별 한자의 뜻으로는 "피가 멈추지 않는 병"이란 뜻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 Automobile→自動車(자동차, Auto에 自, mobile에 動을 대응시키고 의미 한정때문에 車를 덧붙였다)
  • Railroad→ 鐵道(철도, Rail에 鐵, road에 道를 대응시켰다. 중국에서는 道대신 路를 대응시켰는데, 이 때문에 철도와 철로란 용어에 담긴 뜻이 두 언어에서 서로 달라지게 되었다)
  • Zuurstof→酸素(산소, Zuur:酸, stof:素)
  • Waterstof→水素(수소, Water:水, stof:素)

조어

조어는 반드시 원어의 구조에 얽매이지 않고 그 뜻을 잘 드러낸다고 생각하는 한자어 형태소를 골라 옮긴 것이다.

  • Philosophy→希哲學(희철학)→哲學(철학)
  • Education→敎育(교육)

기존 단어에 새 뜻 담기

  • 文化(문화): 文治敎化(문치교화)의 준말로서 culture에 대응시켰다.
  • 經濟(경제): 경세제민(經世濟民) 또는 經國濟民(경국제민)의 준말로서 economy에 대응시켰다.
  • 自由(자유): 한문(고전 중국어)에서는 스스로 그러하다란 뜻이었으나, liberty 및 freedom을 두루 일컫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 社會(사회): 고대 중국어에서는 "종교 의례"에 가까운 뜻으로 드물게 쓰였으나, society의 대역어가 되었다.
  • 大學(대학): 이 용어는 중국 고문헌에 여러가지 뜻으로 예부터 등장하나 유럽의 university에 대응하는 말로 쓰인 것은 일본이 처음이다. 중국에서는 京*師學堂(경사학당)이 베이징 대학으로 개칭하면서 근대 교육기관으로 탈바꿈하고 그 전까지 고등교육기관의 이름이었던 학당이란 한자어는 옛 교육기관이란 뉘앙스를 띄게 되었다.

예시

영어 한자 한글 영어 한자 한글 영어 한자 한글
1 rolling 圧延 압연 16 music 音楽 음악 31 mask 仮面 가면
2 hint 暗示 암시 17 class struggle 階級闘争 계급투쟁 32 environment 環境 환경
3 medicine 医学 의학 18 accounts 会計 회계 33 sensibility 感性 감성
4 will 意志 의지 19 company 会社 회사 34 Parliament 議会 의회
5 meaning 意義 의의 20 sea bathing 海水浴 해수욕 35 machine 機械 기계
6 heredity 遺伝 유전 21 concept 概念 개념 36 engine 機関 기관
7 printing 印刷 인쇄 22 conference 会談 회담 37 engineering 工学 공학
8 impression 印象 인상 23 release 解放 해방 38 rule 規則 규칙
9 right wing 左翼 우익 24 science 科学 과학 39 duty 義務 의무
10 momentum 運動 운동 25 student 学生 학생 40 object 客体 객체
11 destiny 運命 운명 26 revolution 革命 혁명 41 education 教育 교육
12 cinematograph 映画 영화 27 fossil 化石 화석 42 textbook 教科書 교과서
13 sanitation 衛生 위생 28 school 学校 학교 43 communism 共産主義 공산주의
14 induction 帰納 귀납 29 possibility 可能性 가능성 44 game 競技 경기
15 pencil 鉛筆 연필 30 stock 株式 주식 45 professor 教授 교수
영어 한자 한글 영어 한자 한글 영어 한자 한글
46 administration 行政 행정 61 nihilism 虚無主義 허무주의 76 air 空気 공기
47 concerto 協奏曲 협주곡 62 air current 気流 기류 77 refraction 屈折 굴절
48 cooperation 共同 공동 63 bank 銀行 은행 78 militarism 軍国主義 군국주의
49 cultivation 教養 교양 64 modern time 近代 근대 79 management 経営 경영
50 republic 共和国 공화국 65 contemporary time 現代 현대 80 plan 計画 계획
51 macroscopic 巨視的 거시적 66 finance 金融 금융 81 economic times 景気 경기
52 panic 恐慌 공황 67 experience 経験 경험 82 economy 経済 경제
53 police 警察 경찰 68 art 芸術 예술 83 metaphysics 形而上学 형이상학
54 cosmetics 化粧品 화장품 69 blood 血液 혈액 84 resolution 決議 결의
55 authority 権威 권위 70 language 言語 언어 85 cash 現金 현금
56 health 健康 건강 71 atom 原子 원자 86 oxygen 酸素 산소
57 reality 現実 현실 72 building 建築 건축 87 constitution 憲法 헌법
58 exchange 交換 교환 73 protest 抗議 항의 88 industry 産業 산업
59 symphony orchestra 交響楽 교향곡 74 advertisement 広告 광고 89 traffic 交通 교통
60 citizen 公民 공민 75 reasonable 合理的 합리적 90 international 国際 국제

한자문화권의 수용

한국어

한국어의 경우 개화기, 일제강점기를 겪고 또 현대까지도 일본의 서적들을 접하며 화제한어를 대거 수입하여 그대로 쓰고있다. 북한도 이는 마찬가지이다. 또한 한국어는 일본어에서 더이상 쓰이지 않는 화제한어를 보존하고있는 경우도 있으며 굴착이나 통사론 등이 그 예이다.

다만 근대 이전까지 존재했던 중국계 어휘가 있고 현대에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증강현실과 같은 중국계 어휘가 사용되기도한다.

중국어

중국어 또한 백년국치를 겪으며 서양의 용어를 화제한어를 통해 수입했다. 중국의 공식 국호인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중화를 제외한 인민과 공화국은 화제한어이다.

다만 중국어의 한자어는 한국어와 달리 화제한자도 있으나 독자적으로 만든 단어들도 많다. 일본의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로웠고 스스로 만든 단어로는 화학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또한 주기율표의 화학원소를 표기하기 위해 새로 한자를 만들기도했다.

신문을 보지(報紙), 가상을 증강이라 하는 등 중국어는 화제한자와 다른 용어들도 많은 편이다. 대체적으로 양안관계에서 중국은 주로 독자적인 용어를, 대만은 일부 일본제 한자어를 쓰고있다.

베트남어

베트남어는 중국어에서 많은 단어를 수입했고 일본어의 영향을 받은 중국어이기에 화제한어도 이를 통해 수입됐다. 다만 베트남어는 근대 이전에 썼던 용어를 근대 용어로 뜻을 확장하거나 좁혀서 쓰기도한다. 예컨대 대학생을 생원(生員, sinh viên)이라 부르고 이는 과거 유교사회에서 유학자를 일컫는 단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