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 (→논란)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홍범도 신분증.jpg| | {{그림|1=[[파일:홍범도 신분증.jpg]]|2=소련 당국이 발급한 빨치산 지도자 홍범도의 신분증.<ref>[https://www.arirang.ru/archive/kore-ilbo/2019/KI.22.02.2019.pdf 러시아의 고려인들이 발간하는 고려일보 2019년 2월 22일자] p.6에 나옴.</ref><br> "Фото удостоверения Командира партизанского отряда Хан Бем До (Photo of the ID of the Commander of the partisan detachment Han Bem Do)"}} | ||
==개요== | |||
'''홍범도'''(洪範圖, Хон Бом До, Хан Бем До, 1868년 10월 12일~1943년 10월 25일)는 1868년에 태어나 1943년에 사망한 일제시대의 독립운동가다. 그는 대한독립군 총사령관과 대한독립군단 부총재 등을 지냈다. | |||
홍범도는 1907년 의병을 일으켜 일본 수비대를 격파하고, 1910년에는 포수단을 조직하여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한다. | |||
1920년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 대부대를 전멸시키고 [[청산리 전투]]에서도 일본군을 크게 격파하는 전과를 올렸다고 기록되었는데 이는 근대화과정에서 독립운동의 사기 진작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부분 과대포장되었다고 본다. | |||
이후 카자흐스탄으로 강제이주되어 고생하다 사망하였다. 2021년 유해가 국내로 들어와 대전 현충원에 묻혀있다 . | |||
==생애== | ==생애== | ||
다른 싸이트의 자료에 의하면 홍범도는 1907년 의병을 일으켜 간도로 건너가 포수단을 조직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했으며 1920년 6월 최진동 등과 함께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을 대파하는 큰승리를 하였다고 서술되어 있다. | |||
또한 같은 해 10월에는 [[청산리 전투]]에도 지휘관으로 참여하여 일본군을 격파했다. 이후 [[러시아]]로 이동했으나 [[자유시 참변]]에 관여되었다. 이에 강규형 교수는 "홍범도는 독립 활동은 했을지 모르나, 자유시 참변 당시 독립군 몰살을 주도했다. 문재인 정부는 [[이동휘]]의 감언이설에 속았다고 주장하는데 당시 홍범도 나이가 만 53세였다"며 "홍범도가 아무리 독립운동을 했다 하더라도 결국 반민족 행위은 변함없다. 국방부 책자에는 “당시 54세의 홍범도는 조선독립군 대장 명의로 레닌을 면담했으며 마우저 권총, 상금 100루블, 소련 적군 모자 그리고 레닌 친필 서명의 조선군 대장 증명서를 선물로 받았다”고 하였다. | |||
1937년 강제 이주된 [[카자흐스탄]]에서 1943년에 서거하였으며, 2021년 유해가 고국으로 송환되어 안장되었다. | |||
* [https://www.mpva.go.kr/hongbeomdo/contents.do?key=1646 장군의 귀환 1868 ~ 1943] - 국가보훈처 | * [https://www.mpva.go.kr/hongbeomdo/contents.do?key=1646 장군의 귀환 1868 ~ 1943] - 국가보훈처 | ||
| 9번째 줄: | 25번째 줄: | ||
* [https://ko.wikipedia.org/wiki/%ED%99%8D%EB%B2%94%EB%8F%84 홍범도] - 위키백과 | * [https://ko.wikipedia.org/wiki/%ED%99%8D%EB%B2%94%EB%8F%84 홍범도] - 위키백과 | ||
== | |||
1922년 1월 21일 ~ 2월 | == 모스크바 극동민족대회 참석 == | ||
아래 자료는 홍범도가 1922년 1월 21일 ~ 2월 2일까지 모스크바 크렘린 궁에서 열린 제1회 극동민족대회 참석한 당시의 영상 자료다. | |||
* [https://www.youtube.com/watch?v=okQXLClEU6s 홍범도 장군 발굴영상 / / KBS 2020.10.24 방송] KBS역사저널 그날 2020. 11. 6. | * [https://www.youtube.com/watch?v=okQXLClEU6s 홍범도 장군 발굴영상 / / KBS 2020.10.24 방송] KBS역사저널 그날 2020. 11. 6. | ||
<center><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okQXLClEU6s</youtube></center> | <center><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okQXLClEU6s</youtube></center> | ||
| 17번째 줄: | 35번째 줄: | ||
<center><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SS-vtEsBEAM</youtube></center> | <center><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SS-vtEsBEAM</youtube></center> | ||
[[파일:1922-01 홍범도 최진동.jpg| | {{그림|1=[[파일:1922-01 홍범도 최진동.jpg|1922-01 홍범도 최진동.jpg]] | ||
|2=1922년 1월 모스크바 극동민족대회에 참가한 당시에 찍은 [[봉오동 전투]]의 두 주역 홍범도(洪範圖)와 최진동(崔振東)의 사진. '홍범도 일기'에 따르면 홍범도 장군은 소련 최고지도자 [[레닌]]을 접견하고 권총 1자루와 금화 100루블, [[레닌]]이 친필 서명한 '조선군 대장' 증명서 등을 선물 받았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91229042000371 '봉오동 대첩의 영웅' 최진동 장군 사진 찾았다] 연합뉴스 2019-12-30</ref><ref>[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584374 봉오동 전투의 주역…최진동 장군 사진 '최초 공개'] SBS 뉴스 2019.12.30</ref><ref>[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583277 '봉오동 대첩의 영웅' 최진동 장군 사진 찾았다] SBS 뉴스 2019.12.30</ref>}} | |||
* [https://www.youtube.com/watch?v=pdwfAWJQUew “하늘을 나는 호랑이” 홍범도 장군, 순국 78년 만에 고국 품으로 / KBS] KBS News 2021.08.15. | * [https://www.youtube.com/watch?v=pdwfAWJQUew “하늘을 나는 호랑이” 홍범도 장군, 순국 78년 만에 고국 품으로 / KBS] KBS News 2021.08.15. | ||
| 99번째 줄: | 118번째 줄: | ||
* [[고려인 강제이주]] | * [[고려인 강제이주]] | ||
* [[독립운동의 명암]] | * [[독립운동의 명암]] | ||
==각주== | ==각주== | ||
<references/> | <references/> | ||
{{ㅂ |독립운동가||1868년 출생|1943년 사망|19세기 사람|20세기 사람|독립유공자| 공산주의자|한국독립당|홍씨 ||| }} | |||
2025년 10월 22일 (수) 00:14 기준 최신판
소련 당국이 발급한 빨치산 지도자 홍범도의 신분증.[1]
"Фото удостоверения Командира партизанского отряда Хан Бем До (Photo of the ID of the Commander of the partisan detachment Han Bem Do)" |
1. 개요
홍범도(洪範圖, Хон Бом До, Хан Бем До, 1868년 10월 12일~1943년 10월 25일)는 1868년에 태어나 1943년에 사망한 일제시대의 독립운동가다. 그는 대한독립군 총사령관과 대한독립군단 부총재 등을 지냈다.
홍범도는 1907년 의병을 일으켜 일본 수비대를 격파하고, 1910년에는 포수단을 조직하여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한다.
1920년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 대부대를 전멸시키고 청산리 전투에서도 일본군을 크게 격파하는 전과를 올렸다고 기록되었는데 이는 근대화과정에서 독립운동의 사기 진작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부분 과대포장되었다고 본다.
이후 카자흐스탄으로 강제이주되어 고생하다 사망하였다. 2021년 유해가 국내로 들어와 대전 현충원에 묻혀있다 .
2. 생애
다른 싸이트의 자료에 의하면 홍범도는 1907년 의병을 일으켜 간도로 건너가 포수단을 조직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했으며 1920년 6월 최진동 등과 함께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을 대파하는 큰승리를 하였다고 서술되어 있다.
또한 같은 해 10월에는 청산리 전투에도 지휘관으로 참여하여 일본군을 격파했다. 이후 러시아로 이동했으나 자유시 참변에 관여되었다. 이에 강규형 교수는 "홍범도는 독립 활동은 했을지 모르나, 자유시 참변 당시 독립군 몰살을 주도했다. 문재인 정부는 이동휘의 감언이설에 속았다고 주장하는데 당시 홍범도 나이가 만 53세였다"며 "홍범도가 아무리 독립운동을 했다 하더라도 결국 반민족 행위은 변함없다. 국방부 책자에는 “당시 54세의 홍범도는 조선독립군 대장 명의로 레닌을 면담했으며 마우저 권총, 상금 100루블, 소련 적군 모자 그리고 레닌 친필 서명의 조선군 대장 증명서를 선물로 받았다”고 하였다.
1937년 강제 이주된 카자흐스탄에서 1943년에 서거하였으며, 2021년 유해가 고국으로 송환되어 안장되었다.
- 장군의 귀환 1868 ~ 1943 - 국가보훈처
- 홍범도(洪範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 홍범도 - 위키백과
3. 모스크바 극동민족대회 참석
아래 자료는 홍범도가 1922년 1월 21일 ~ 2월 2일까지 모스크바 크렘린 궁에서 열린 제1회 극동민족대회 참석한 당시의 영상 자료다.
- 홍범도 장군 발굴영상 / / KBS 2020.10.24 방송 KBS역사저널 그날 2020. 11. 6.
- '늠름한 기상' 홍범도 장군의 생전 모습 영상 첫 공개 / 연합뉴스 (Yonhapnews) 연합뉴스 Yonhapnews 2021. 8. 17
|
- “하늘을 나는 호랑이” 홍범도 장군, 순국 78년 만에 고국 품으로 / KBS KBS News 2021.08.15.
- [더뉴스-더인터뷰] '봉오동 영웅' 생전 영상 첫 공개...경위와 의미는? / YTN YTN news 2021. 8. 18.
- 모스코바 공산당 대회 참석…홍범도 장군 5분 생전 영상 | 뉴스A 채널A 뉴스 2021. 8. 17.
- 홍범도장군 생전모습 담은 영상 첫 공개…사진 등 자료 15점도 2021-08-17
-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 개막식 참석한 장군의 생생한 모습…반병률 한국외대 교수가 기증
- 독립기념관, 장군 유해 봉환 기념 '홍범도 일지' 등 소장 자료와 함께 소개
- 홍범도장군 생전모습 담은 영상 첫 공개…사진 등 자료 15점도 매일경제 2021.08.17
-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 개막식 참석한 장군의 생생한 모습…반병률 한국외대 교수가 기증
- 독립기념관, 장군 유해 봉환 기념 '홍범도 일지' 등 소장 자료와 함께 소개
- '늠름한 홍범도 장군의 기상' 생전 모습 담은 영상 첫 공개(종합2보) 매일경제 2021.08.17
- 김규식·여운형 등 독립운동가들과 함께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 개막식 참석…반병률 한국외대 교수가 발굴, 기증
- 독립기념관, 장군 유해 봉환 기념 '홍범도 일지' 등 소장 자료 15점도 소개, 전시
4. 유해 봉환과 건국훈장 추서
- 文대통령 “대한민국장 추서…홍범도 장군 정신 지키겠다는 다짐” 뉴스1 2021-08-17
-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 78년 만에 고국 품으로 - 유해 봉환 행사 SBS 뉴스 2021. 8. 15
- 파란눈 박노자 "이게 민주주의?" 홍범도 유해 봉환에 쓴소리 중앙일보 2021.08.16
이어 “이게 민주주의가 맞나. 아니면 대한민국의 국민만을 위한 민주주의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5. 논란
- [송평인 칼럼] 홍범도가 본 홍범도 동아일보 2023. 9. 6.
- 소련서 나온 자료 보기 전까지 홍범도 아는 체 말아야 / 그의 自意識은 소련을 새 조국으로 삼은 빨치산
- 한인 무장해제에 가담했고 강제이주에도 불만 없어 / 문재인이 한 도발 바로잡는 걸 도발이라 해선 안 돼
- [송평인 칼럼] 볼셰비키 홍범도에게 바친 최고 예우 동아일보 2021. 8. 25
- 자유시서 무장해제하고 협조한 뒤 레닌에게 불려가 상 받은 행적
- 만주서 독립군 功 상쇄하고 남아 / 최고 훈장 수여 가당치 않았다
- "홍범도, 독립군 전멸시킨 '자유시 참변' 가담의혹…객관적 재평가 필요" 뉴데일리 2021-08-16
- '자유시 참변' 이듬해 모스크바 초청돼 레닌과 면담…금화와 자신 이름 새겨진 권총 선물 받아
그는 "3·1운동 기미독립선언문을 작성한 최남선이나 임시정부 발행지 '독립신문'의 사장 겸 편집국장이었던 이광수 등 당초 독립운동가였던 사람들에게 말년의 행보로 '반민족주의자'라는 '딱지'를 붙이는데, 그럼 홍범도를 비롯해 공산주의자들은 왜 '반민족 행위'라고 안 하나. 이 모순은 어떻게 설명한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 [긴급점검] 자유시참변에서 한국 독립군 몰살 가담한 홍범도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pennmike 2021.08.13
- [김용삼 칼럼] 연해주·만주에서 벌어졌다는 항일무장투쟁의 뒷모습을 살펴보니… pennmike 2020.11.18
- [단독] 국방부가 만든 홍범도 책자에 소련 공산당 활동까지 나와 조선일보 2021.10.05
- 홍범도 장군 책자 1400부 전군에 뿌려
- 소련을 위해 살다 간 홍범도의 실체... '맨얼굴의 독립운동사' 진명행 작가 뉴데일리TV 2025. 9. 18
- 진명행: 홍범도, 마약재배, 무장독립운동, 봉오동-청산리 전투, 독립운동사, 역사왜곡처벌법 노태정 팟캐스트 #54 (2025. 9. 22)
6. 참고 자료
- 홍범도 일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
- 홍범도(洪範圖; 1869~1943) 자신이 출생에서부터 의병 참가 및 청산리전투 경험과 1937년 스탈린에 의해 중앙아시아 지방으로 집단 이주할 때까지의 활동과 경력을 쓴 일지로 이함덕이 필사하여 쓴 것이다.
- 장세윤. 〈洪範圖 日誌〉를 통해 본 홍범도의 생애와 항일무장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5집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1.12) pp.233 - 272.
- "비밀 뱉을까 혀 끊어냈다"···홍범도 장군 가족에 건국훈장 중앙일보 2021.02.25
- '봉오동 대첩의 영웅' 최진동 장군 사진 찾았다 연합뉴스 2019-12-30
- 봉오동 전투의 주역…최진동 장군 사진 '최초 공개' SBS 뉴스 2019.12.30
- '봉오동 대첩의 영웅' 최진동 장군 사진 찾았다 SBS 뉴스 2019.12.30
7. 함께 보기
8. 각주
- ↑ 러시아의 고려인들이 발간하는 고려일보 2019년 2월 22일자 p.6에 나옴.
- ↑ '봉오동 대첩의 영웅' 최진동 장군 사진 찾았다 연합뉴스 2019-12-30
- ↑ 봉오동 전투의 주역…최진동 장군 사진 '최초 공개' SBS 뉴스 2019.12.30
- ↑ '봉오동 대첩의 영웅' 최진동 장군 사진 찾았다 SBS 뉴스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