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의 행군(苦難의 行軍)은 1994년 김일성 사망 후 나라의 경제사정이 극히 어려워지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주민들의 희생을 강요하며 김정일이 내놓은 당적 구호로서, 1996년 신년공동사설을 통해 제시되었다.[1] 이 기간에 대규모의 아사자가 발생했다.

개요

고난의 행군은 북한에서 1994년 7월 김일성 사망 직후부터 2000년 무렵까지 사이에 일어난 최악의 식량난으로 약 33만 명의 북한 주민들이 아사한 사건이다. 소련과 동구 공산권 붕괴로 인하여 이들 국가의 대북원조 중단되어 발생한 경제난[2], 자연재해와 정책 실패가 주된 원인이며, 김정일이 적대계층을 말살하기 위해 고의로 방치했다는 주장도 있다. 또 그동안 배급체제에 익숙해져 자생능력이 없던 주민들이 갑자기 배급이 끊어지자 독자적으로 식량을 확보할 방법을 몰랐던 것도 사태를 악화시켰다.

2010년 11월 22일 대한민국 통계청이 유엔의 인구센서스를 바탕으로 발표한 북한 인구 추계에 따르면, '고난의 행군(1996~2000년)' 시기 실제에 근접한 아사자 수는 33만여 명이다.[3][4]

그러나 일본 공산당 기관지 '아카하타(赤旗)'의 평양 특파원을 지낸 하기와라 료(萩原遼, 1937~2017)[5]는 《김정일의 숨겨진 전쟁》(2004년)[6][7]이란 책에서 아사자 수는 300만명이며, 김정일이 고의적으로 굶어 죽게했다고 주장한다.[8]

고난의 행군은 슬로건이기도한데 1938년 말 ~ 1939년 초 김일성이 이끄는 유격대가 만주에서 혹한과 굶주림을 겪으며 100여 일간 행군한 데서 유래했다.[1]

고난의 행군에서 정작 지도자는 고난의 행군을 하지 않았고 독재치하의 북한국민이 받았다. 독재사회의 잔혹함을 보여주는 셈.

함께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