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102번째 줄: 102번째 줄:
|}
|}


==참고 문헌==
==참고 자료==
* [[김일성 가짜설]] : 우남위키
* [[김일성 가짜설]] : 우남위키




'''일본 국회도서관(日本 國會圖書館) 소장 문헌'''
===일본 국회도서관(國會圖書館) 소장 문헌===


아래는 6사장 김일성이 활동할 당시의 기록으로 일본 국회도서관(日本 國會圖書館) 소장 문헌이다. 국내 소장처가 없어 내용의 전모가 알려져 있지는 않으며, 링크는 서지(書誌)로 연결된다. 월간 『철심(鉄心)』은 만주국군 기관지로 만주국 치안부 참모사(満州国 治安部 参謀司) 간행이다.
아래는 6사장 김일성이 활동할 당시의 기록으로 일본 국회도서관(日本 國會圖書館) 소장 문헌이다. 국내 소장처가 없어 내용의 전모가 알려져 있지는 않으며, 링크는 서지(書誌)로 연결된다. 월간 『철심(鉄心)』은 만주국군 기관지로 만주국 치안부 참모사(満州国 治安部 参謀司) 간행이다.

2019년 4월 8일 (월) 08:30 판

동명이인 김일성 보기

김일성(金日成, 1901년 ? ~ 1937년 11월 13일)은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2군 제6사장(師長)으로, 1937년 6월 4일의 보천보사건을 주도하고, 그 직후인 6월 30일 장백현 13도구(長白縣 十三道溝)에서 1군 2사장 조국안(曹國安, 1900 ~ 1937), 2군 4사 1단장 최현과 함께 간삼봉 전투(間三峰 戰鬪)를 지휘했다. 그가 1937년 11월 13일 만주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한 후, 북한 김일성이 그의 이름과 전공을 모두 가로챘기 때문에 오늘날 존재하지 않는 사람으로 되어 있다.

출신 배경

출신지

그의 출신지는 함경남도 갑산군 회린면 석우리(甲山郡 會麟面 石隅里)로[1][2], 북한 김일성의 출신지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 남리(大同郡 古平面 南里)와는 전혀 다르다.

생년

6사장 김일성의 나이는 기록에 따라 들쑥날쑥하여 생년을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대부분 기록에 1912년생인 북한 김일성보다 적게는 2~4세, 많게는 11~14세 연상으로 나온다. 그의 전사를 보도한 1937년 경성일보 기사에 36세라 하였고, 혜산사건 수사책임자였던 이치하라 간이치(시원감일)도 체포된 사람들이 김일성의 나이가 36세라 했다고 증언하므로, 1937년에 36세라 한 것이 비교적 정확할 것으로 추정되며, 생년은 1901년 전후일 것이다.

소련 유학

다수 기록에 그는 소련에 10여년 체류하며, 모스크바 공산대학을 나오고, 군사교육 과정도 이수했다고 한다. 만주사변(1931년) 무렵 동변도(東邊道)로 왔다고 하였다. 그의 전사를 보도한 경성일보 기사에 녹림 유일의 인텔리라 했으므로 상당한 학력의 소유자였을 것이다.

가계

그의 가계에 대해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당시 신문 기사에 김일성이 부친과 함께 무장활동을 했으며, 부친이 수령, 아들은 부하가 되었다고 하였다. 북한 김일성의 부친 김형직은 일찍 죽었을 뿐만 아니라 부자가 함께 무장활동을 한 적도 없다.

혜산사건 판결서에는 6사장이 김일성(金日成) 아닌 본명 김성주(金成柱)로 나온다. 이것은 6사장이 북한 김일성이 맞다는 증거라는 주장도 있지만, 북한 김일성의 본명은 김성주(金成柱) 아닌 김성주(金聖柱)라는 기록과 증언도 있어 논란이 된다. 김일성의 사촌형 김성보(金成甫)를 검거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성(成)자가 항렬자로 보인다. 북한 김일성은 사촌형이 없으며, 그의 형제와 사촌들의 항렬자는 주(柱)이다.

동북항일연군 시기

국내 신문에 항일연군 김일성과 관련한 기사가 자주 나오던 시기는 1936년 9월 ~ 1937년말 기간과, 1939년초~1940년 여름 기간이다. 앞의 기간에는 6사장 김일성의 활동에 대한 보도이고, 뒤의 기간에는 제2방면 군장 김일성에 대한 보도이다. 6사장 김일성 전사에 대한 보도가 있은 후 1938년 1년간은 김일성의 활동에 대한 보도가 거의 없다. 다시 나타난 제2방면 군장 김일성이 북한 김일성이다.

신문에 보도된 김일성 부대의 활동은 대부분 양민에 대한 약탈, 납치 등의 사건이 대다수이다.

항일 유격대 투신 시기

지주 김정부(金鼎富) 등 납치 사건

시인 파인(巴人) 김동환(金東煥, 1901 ~ 1958)이 간행하던 잡지 《삼천리(三千里)》에는 6사장 김일성과 관련된 기사가 2건 나온다.

국경의 비적수괴 김일성 회견기 (國境의 匪賊首魁 金日成 會見記) 《삼천리(三千里) 제9권 제5호》 (1937년 10월 01일)
귀순한 여당원과 김일성 (歸順한 女黨員과 金日成), 그의 운명(運命)은 장차 엇더케 될가 《삼천리(三千里) 제10권 제11호》 (1938년 11월 01일)

이 기사의 김정부(金鼎富)는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5권 제13장 6절 "애국지주 김정부"에 나오는 사람으로, 빨치산들에 협조적이었다며 칭찬하는 사람이다. 김일성 회고록에는 삼천리의 이 기사도 거론하지만 1936년 가을에 김정부를 납치한 사람은 6사장 김일성으로 북한 김일성이 아니다. 김정부는 만인(滿人) 유력자 천성보(千成寶) 등과 함께 1936년 8월 31일 십구도상관방자(十九道上官房子)에서 김일성 부대에 납치 당했는데, 이듬해 3월 3일 일만(日滿) 혼성 토벌대가 이십도(二十道) 오지(奧地)의 김일성 부대 산채를 급습할 때 구출 되었다.[3] 김일성 회고록의 김정부 이야기는 지어낸 것으로 보인다. 기사에 나오는 정도익(鄭道益)은 1936년 11월 6일 김일성 부대에 납치되었다가[4], 이듬해 3월 김정부와 같이 구출되었다.

경성일보 1936년 9월 11일자는 김일성이 납치해간 김정부의 인질대금으로 1만원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보천보 습격사건

1937년 6월 4일 동북항일연군 2군 6사 100여명을 이끌고 함경남도 갑산군 보천보를 습격하였다.

간삼봉 전투

1937년 6월 30일 함남 신갈파 대안 장백현 13도구에서 벌인 전투이다. 북한과 중국 측은 항일연군이 대승을 거두었다고 주장하나, 당시 신문 보도와 일본측 기록에는 일본군 피해는 5명 전사, 5명 중상, 7명 경상인 반면에 항일연군 측 전사자는 50 ~ 60여명으로 일본군이 대승한 것으로 나온다.

전사

1937년 11월 13일 만주군 보병 제7단(步兵 第七團)과의 전투중에 사살 당하였다.

6사장 김일성의 신원 및 전사 관련 기록

현재까지 발굴된 보천보사건 주역 동북항일연군 2군 6사장 김일성에 대한 1938년 이전의 신원 기록이나 피살 기록은 아래와 같다. 20여건이 넘는 기록 중에 북한 김일성으로 볼만한 것은 한 건도 없다. 수록처를 클릭하면 자료원문 이미지를 볼 수 있으나, 만주국군(滿洲國軍) 기관지 월간 『철심(鉄心)』의 기사 2 건만은 국내 소장처가 없어, 원본 소장처인 일본국회도서관의 서지(書誌)로 연결된다.

수록처 기사 제목 김일성(金日成)에 대한 기록 내용
1 간도총영사(間島総領事) 보고 1932년 7月 18日 中国共産党延吉縣委及所屬機關ノ組織狀況ニ關スル件 연길현 의란구(依蘭溝) 유격대원 김일선(金一善), 30세, 주소 왕청현(汪淸縣); 노두구(老頭溝) 유격대원 왕덕태(王德泰).
2 경성일보 1936년 9월 11일 조간 5면 同胞六名を拉致 巨額の身代金その他要求 김일성이 함경남도 갑산군 회린면 석양리(甲山郡 會隣面 石陽里) 출신으로 나이 28세라고 함. [石陽里는 석우리(石隅里)의 착오로 보임.]
3 매일신보 1936년 11월 27일 (11월 26일 석간) 3면 공비 김일성파 내막(共匪金日成派內幕) 김일성은 함남 혜산진(惠山鎭) 출신. 키 5척 8촌(176 cm). 카이젤 수염. 37~8세. 블라디보스톡에서 공산당 지령을 받아 북만주로 옴.
4 간도총영사(間島総領事) 보고 1936년 12월 12일 管內鮮人ノ匪害及保護ニ關スル狀況其他送付ノ件 동북항일연군 2군 군장 왕덕태(王德泰) - 노두구 유격대원.
2군 제3사장(師長) 金日成(金一善) - 의란구 유격대원 김일선(金一善).
5 월간 『철심(鉄心)』 1937年 5月 15日號 pp.98~114 동변도토비행(東邊道討匪行) 김일성은 모스크바 공산대학 출신이며, 나이는 30세 미만이라 함.
6 오카모토 고이치(岡本吾市), 「満洲に於ける中国共産党と共産匪」, 1937년 5월 "現在 活動中の 主要匪首及 其身元" 김일성은 농부 출신으로 “농업을 경영하다가 공비의 선전에 의해 비화(匪化)된 인물"로 가족관계는 “불상(不詳)"이고 나이는 30세라 함.
7 경성일보 1937年 6月 6日 (6月 5日 夕刊) 2面 김일성은 27세의 청년(金は廿七歲の靑年) 김일성은 평양 출신, 27세 청년. 15세에 모스크바 군사훈련 전문학교 수학. 22세(1932년)에 동변도(東邊道)로 돌아옴. 부친이 한일병합 후 만주로 가서 마적 두목이 됨.
8 조선일보 1937년 6월 6일 석간2의 2면 김일성의 내력(金日成 來歷) 평양 출신, 나이 27세. 부친 때부터 만주로 가서 그 방면(共産系 兵匪)에 참여하고 있는 자. [경성일보 기사에서 일부 누락]
9 나가오카 토모타로(永丘智太郞), 『極東の計劃と民族』, 1937년 10월 초순 만주(滿洲)의 비적적화공작(匪賊赤化工作)과 조선인 보천보 사건 주역 김일성(金日成)은 함남 갑산군 회린면(咸南 甲山郡 會麟面) 출신(出身)이며, 그 지방에서 무척 인기가 있다고 하였다.
10 월간 『철심(鉄心)』 1937年 11月 15日號 pp.70~75 「김일성비 토벌 상보(金日成匪討伐詳報)」 김일성을 사살한 만주군 측의 토벌상보
11 경성일보 1937年 11月 18日 (17日 夕刊) 2面 金日成殺さる 김일성비(金日成匪)가 13일 만주군의 토벌에 격전 5시간 끝에 섬멸됨. 수급(首級)을 취해 옴.
12 동아일보 1937년 11월 18일 조간 2면 김일성피살(金日成被殺)? 김일성이 피살되었다는 보도.
13 조선일보 1937년 11월 18일 조간 2면 김일성 피착 참수(金日成被捉斬首) 김일성이 사살되어 참수(斬首)되었다는 보도
14 매일신보 1937년 11월 18일 3면 共匪 金日成 被殺 - 十三日 滿洲國 討伐軍에 김일성 피살보도. 19세에 모스크바로 가서 10년 체류. 공산대학 졸업 후 적위군(赤衛軍) 입대. 만주사변 때 돌아옴. 부자(父子) 2대가 비적이됨 (아버지는 수령, 아들은 부하).
15 경성일보 1937년 11월 18일 조간 7면 鮮滿國境住民の 苦惱 今ゃ 解消 / 共産匪 金日成の 死 김일성 피살보도. 함남 출신. 19세에 모스크바로 가서 10년 체류. 공산대학 졸업. 만주사변 때 돌아옴. 녹림 유일의 인텔리. 부자(父子) 2대가 비적이됨 (아버지는 수령, 아들은 부하).
16 治安狀況(昭和 12年) 제38보 1937년 11월 19일 鮮外情報 - 共匪 金日成 射殺의 件 김일성을 사살하고 목을 베어와 신원 확인중.
17 일본 외무성 동아국 업무보고서 1937년 12월 1일 第七章 支那及満州ニ於ケル共産運動 : p.49 김일성을 사살.
18 매일신보 1937년 12월 19일 2면 국경 경비진을 강화(國境警備陣을 强化) 왕봉각(王鳳閣, 1897-1937)에 이어 김일성(金日成)도 사망(死亡)
19 경성일보 1937年 12月 19日 조간(朝刊) 7面 國境 冬の陣 强化 왕봉각(王鳳閣), 김일성(金日成)이 차례로 죽음(斃).
20 매일신보 1938年 2月 23日 (22日 夕刊) 2면 공비 최현 일당 궤멸(共匪 崔賢一黨 潰滅) 최현이 사살 되었다는 기사[5][6] 김일성도 작년 가을 총살됨.
21 오사카 마이니치 신문(大阪毎日新聞) 1938.2.25 匪賊九千に激減 / 満洲国治安完成へ 일만군(日満軍)이 작년 전투에서 비수를 죽인 것은 김일성 등 59명(匪首を仆すこと金日成以下五十九), 체포한 비수는 왕봉각 등 28명.
22 일본 외무성 동아국 업무보고서 1938년 6월 支那及満州ニ於ケル共産運動 김일성을 사살. (1937년 12월 1일자 동아국 업무보고서와 같은 내용)
23 국민신보(國民新報) 1939년 11월 12일 7면 アリナレ河畔, 世紀の轉換 : 警備彌增す平安北道. 김일성(金日成)은 효수(梟首)되었음.

참고 자료


일본 국회도서관(國會圖書館) 소장 문헌

아래는 6사장 김일성이 활동할 당시의 기록으로 일본 국회도서관(日本 國會圖書館) 소장 문헌이다. 국내 소장처가 없어 내용의 전모가 알려져 있지는 않으며, 링크는 서지(書誌)로 연결된다. 월간 『철심(鉄心)』은 만주국군 기관지로 만주국 치안부 참모사(満州国 治安部 参謀司) 간행이다.

6사장 김일성이 모스크바 공산대학 출신이며, 나이는 30세 미만이라 함.
金日成匪奇襲戰に就て / 石澤龜司 / p133~140
만주군 측의 6사장 김일성 사살에 관한 기록.


각주

  1. 김일성 가짜설#6사장 김일성의 출신지
  2. 갑산군 회린면 석우리(甲山郡 會獜面 石隅里) 매일신보(每日申報) 1934-12-19일자 (18일 석간) 5면 5단 기사
  3. 강덕상(姜徳相) 편, 『現代史資料 (30) 朝鮮 (6) 共産主義 運動 (2)』(東京 みすず書房, 1976) p.348.
  4. 長白荒しの 不敵な强盜 共匪金日成一味の 廻し者の嫌疑濃厚 경성일보(京城日報) 1936년 11월 27일 (26일 석간) 4면 기사
  5. 共匪 崔賢一黨 潰滅, 對岸治安 明朗化 매일신보(每日申報) 1938/02/23, 2면
    撫松縣(무송현)에 반거 共匪(공비)두목 崔賢 사망설 만주국군의 일파 궤멸 조선일보 1938.02.23 석간 2 면
    匪首崔賢의 末路 경성일보(京城日報) 1938年 2月 23日 (22日 夕刊) 2面
  6. 최현(崔賢)도 전사했다는 보도가 다수 있고, 북한의 최현(1907~1982)과는 다른 사람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명영(李命英, 1928-2000), 진위 김일성 열전 (39) 6사장 김일성의 죽음(하) 중앙일보 1974.07.10 종합 3면
    이명영(李命英, 1928-2000), 『김일성 열전(金日成 列傳)』(新文化社, 1974) p.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