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영어: Nestorianism<br> 그리스어: Νεστοριανισμός<br> 한자: 景敎 ==개요== 네스토리우스파는 고대 기독교 종파의 하나이다. 한역...)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네스토리우스파는 고대 기독교 종파의 하나이다. 한역한 표현인 '''경교'''(景敎)로도 쓰인다.
네스토리우스파는 고대 기독교 종파의 하나이다. 한역한 표현인 '''경교'''(景敎)로도 쓰인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 네스토리우스에 의해 분파되었다. 그러나 기원후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 의해 이단화되어 배척된다. 이러한 연유로 네스토리우스파 신자들은 [[사산조 페르시아]]로 망명하였고 이후 7세기경 [[중앙아시아]], [[몽골]], [[중국]]([[당나라]]) 등지에 전파되었다. 이후 이라크를 거점으로 아시리아 동방교회 등이 네스토리우스파를 계승하게 된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 [[네스토리우스]]에 의해 분파되었다. 원인은 [[테오토코스]]를 인정하지 않아 [[성모 마리아]]를 신인 [[예수]]의 생모가 아니라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원후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 의해 이단화되어 배척된다. 이러한 연유로 네스토리우스파 신자들은 [[사산조 페르시아]]로 망명하였고 이후 7세기경 [[중앙아시아]], [[몽골]], [[중국]]([[당나라]]) 등지에 전파되었다. 이후 이라크를 거점으로 아시리아 동방교회 등이 네스토리우스파를 계승하게 된다.


[[분류:종파]]
[[분류:종파]]

2022년 9월 1일 (목) 18:52 판

영어: Nestorianism
그리스어: Νεστοριανισμός
한자: 景敎

개요

네스토리우스파는 고대 기독교 종파의 하나이다. 한역한 표현인 경교(景敎)로도 쓰인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 네스토리우스에 의해 분파되었다. 원인은 테오토코스를 인정하지 않아 성모 마리아를 신인 예수의 생모가 아니라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원후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 의해 이단화되어 배척된다. 이러한 연유로 네스토리우스파 신자들은 사산조 페르시아로 망명하였고 이후 7세기경 중앙아시아, 몽골, 중국(당나라) 등지에 전파되었다. 이후 이라크를 거점으로 아시리아 동방교회 등이 네스토리우스파를 계승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