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9월 9일에 북한 (소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이 공식 출범하고 내각 명단도 발표하였다.

북한 초대 내각 구성원 명단

1948년 9월 9일 공식 출범한 북한 정권 초대 내각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1][2][3][4][5]

스티코프 일기 1945년 8월 30일자에 벌써 내각 및 주요 요직에 대한 명단이 나오고, 최종 발표와 큰 차이가 없다.[6] 주요직책 인선에 소련이 깊숙히 개입하고 있었다는 증거이다.

남한의 정부 수립으로 북한도 할 수 없이 따로 정부를 수립한 것이 아니라, 9월 9일의 북한 정권 수립 공식 발표는 이전의 북조선인민위원회의 간판을 바꾸어 달고 약간 정비한 수준이다. 공식 발표만 남한보다 늦게하여 분단의 책임을 남한에 뒤집어씌우겠다는 술책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내각에 해방 후 남한에서 정치활동을 하다 여의치 않아 월북한 인사들을 많이 집어넣은 것도 북한 정권이 남북한 모두를 대표한다는 선전을 하기 위한 포석으로 볼 수 있다.

직책 성명 소속당 전력 비고
수상(首相) 김일성(金日成, 1912~1994) 북로당 소련군 대위, 만주 빨치산 고령 사망
부수상(副首相) 박헌영(朴憲英, 1900~1956?) 남로당 일제하 공산주의 운동 숙청 처형
부수상(副首相) 홍명희(洪命熹, 1888~1968) 前민주독립당 항일, 친일 고령 사망
부수상(副首相) 김책(金策, 1903~1951) 북로당 소련군, 만주 빨치산 의문사
국가기획위원회장(國家企劃委員會長) 정준택(鄭準澤, 1911~1973) 북로당 친일 전력 고령 사망
민족보위상(民族保衛相) 최용건(崔庸健, 1900~1976) 민주당 소련군, 만주 빨치산 고령 사망
국가검열상(國家檢閱相 국방상(國防相)) 김원봉(金元鳳, 1898~1958) 前인민공화당 중국서 항일 운동 숙청 처형
내상(內相) 박일우(朴一禹)[7] 북로당 독립동맹 간부 ....
외상 겸임(外相 兼任) 박헌영(朴憲英, 1900~1956?) 남로당 일제하 공산주의 운동 숙청 처형
산업상 겸임(産業相 兼任) 김책(金策, 1903~1951) 북로당 소련군, 만주 빨치산 의문사
농림상(農林相) 박문규(朴文圭, 1906~?) 남로당 .... ....
상상(商相) 장시우(張時雨, 1891~1953) 북로당 .... 숙청 처형
교통상(交通相) 주영하(朱寧河, 1908~?) 북로당 .... 숙청
재정상(財政相) 최창익(崔昌益, 1896~1957) 북로당 중국서 항일투쟁 숙청 처형
교육상(敎育相) 백남운(白南雲, 1894~1979) 前근로인민당 .... 고령 사망
체신상(遞信相) 김정주[8] 청우당 .... 숙청[9]
사법상(司法相) 이승엽(李承燁, 1905~1954) 남로당 .... 숙청 처형
문화선전상(文化宣傳相) 허정숙(許貞淑, 1902~1991) 북로당 .... 고령 사망
노동상(勞動相) 허성택(許成澤, 1908~?) 남로당 .... ....
보건상(保健相) 이병남(李炳南, 1903~?) 남로당 .... ....
도시경영상(都市經營相) 이용(李鏞, 1888~1954) 前신한민족당 .... ....
무임소상(無任所相) 이극로(李克魯, 1893~1978) 어학회장 .... 고령 사망
  • 체신상은 당시 남한 신문에는 김정규(金정규)로 나오나[2][3], 김정주로 기록한 곳이 많다.[5][10] 일제하 여성 공산주의 운동가로 일명 김정주(金貞柱)로 불렸던 고명자(高明子, 1904~?)와 동일 인물이라고 한 곳도 있으나 사실로 보기 어렵다. 탈북자가 올린 글에 그는 분명히 남자로 나오고, 이름도 김정규라 하였다.[9]
  • 도시경영상은 당시 남한 신문에는 이영(李英)으로 나오나[2][3], 이용(李鏞, 1888~1954)으로 기록한 곳이 많고, 이것이 맞다.[5][11] 이영(李英, 1889~1960)은 아니다.
  • 민주독립당(民主獨立黨), 인민공화당, 근로인민당신한민족당은 해방 직후 남한에 있던 정당이다. 위에 나오는 이런 정당 소속자와 박헌영 등 남로당 소속자는 해방 직후 남한에서 정치 활동을 하다 여의치 않자 월북하였다.


기타 요직

직책 성명 소속당 전력 비고
최고인민회의(最高人民會議) 상임위원장[1][12] 김두봉(金枓奉, 1891~1961?) 북로당 중국서 항일투쟁 숙청
최고재판소 소장[4][5] 김익선(金翊善, 1899~?)[13] 북로당 .... ....
최고 검사총장[6] 장해우(張海友, 1901~?)[14][15] 북로당 .... ....
... ... ... ... ...


레베데프의 평정서

북조선 주재 소련민정국장 니콜라이 레베데프(Н. Лебедев)는 1948년 12월 25일자로 북한의 각료 및 최고인민회의 요인들에 대한 인물 평정서를 작성하여 본국에 보고하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의 연구사업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의 성과물로 올라 있다.


함께 보기



각주

  1. 1.0 1.1 北韓人民共和國(북한인민공화국) 首相(수상)에 金日成氏(김일성씨) 동아일보 1948-09-10 1면
  2. 2.0 2.1 2.2 北韓組閣完了(북한조각완료) 동아일보 1948-09-11 1면
  3. 3.0 3.1 3.2 金日成內閣(김일성내각) 組閣(조각)을完了(완료) 경향신문 1948-09-11 1면
  4. 4.0 4.1 북한 연표 : 1948년 09월 0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5. 5.0 5.1 5.2 5.3 신편 한국사 52 대한민국의 성립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5) 헌법 제정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2) 북한에서의 분단정부 수립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6. 6.0 6.1 해외사료총서 10권 쉬띄꼬프일기 > 쉬띄꼬프 일기(번역) > 쉬띄꼬프 일기 Ⅳ부 > 1948년 8월 30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7. 1947년 9월 16일자 38도선 경비에 대한 내무국장 박일우의 지시 러시아연방 국방성중앙문서보관소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체신상 겸 북조선청우당 부위원장 김정주 평정서 레베데프 / 1948년 12월 25일
  9. 9.0 9.1 "3대 망하는 묏자리"라고? 풍수에 빠진 북한
  10. 1949 The Korean Government Delegation's Visit to Moscow (Korean Version)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11. 신진당(新進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2. 國史館論叢 第96輯 > 북한 최고인민회의 연구(이주철) > Ⅲ. 상임위원회(상설회의) 분석 > 1. 상임위원회 위원장단(상설회의 의장단) 국사편찬위원회 2001-06-30
  1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재판소장 김익선 평정서 발신자 레베데프, 발신일: 1948.12.25
  1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검사총장 장해우 평정서 발신자 레베데프, 1948.12.25
  15. 신편 한국사 52 대한민국의 성립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1) 해방 후 북한 각 지역의 인민위원회 수립과 소련군 주둔 > (2) 각 지역 인민위원회의 성립과 개편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