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국내의 좌파 매체로는 한겨레, 경향신문, 오마이뉴스로 대표되는 한경오가 있다. 이들 매체는 대한민국 내에서 대표적인 강성 언론사다.


국내 좌파 매체


해외

해외에서도 좌파매체의 영향력이 있는 매체들이 장악하고 있다. 다음은 국제적 영향력을 가진 좌파 매체로 평가되고 있는 매체이다.

미국

  • 뉴욕타임스- 미국 대표 일간지, 좌파 성향
  • 워싱턴포스트' 진보적 시각이 강하며 민주당에 우호적임
  • CNN - 민주당 편향 보도로 자주 비판받는 대표 방송사
  • MSNBC - 진보·좌파 논조가 가장 강한 방송사 중 하나
  • 로스앤젤레스타임스 (Los Angeles Times)
  • 디애틀랜틱 (The Atlantic)
  • 허핑턴포스트 (HuffPost) - 인턴넷 매체
  • 버즈피드뉴스 (BuzzFeed News)
  • 폴리티코 (Politico)
  • 복스 (Vox)


영국

  • BBC - 공영방송임에도 불구하고 좌파 성향이 뚜렷함 (한국의 MBC)
  • 가디언 (The Guardian)- 영국의 대표적인 진보 성향 신문
    • 옵서버 (The Observer)- 가디언 자매지, 일요판 중심으로 좌파 논조
  • 인디펜던트 (The Independent)- 대표적인 진보 성향 인터넷 매체
  • 파이낸셜타임스 (Financial Times)
  • 채널4 뉴스 (Channel 4 News)
  • 스카이뉴스 (Sky News)
  • 데일리미러 (Daily Mirror)- 영국 노동당과 가까운 전통적인 좌파 성향 배중
  • 뉴스테이츠맨 (The New Statesman)
  • ITV 뉴스 - 상업방송으로 보도 부문에서 진보 성향 강함(한국의 JTBC)


프랑스

  • 르몽드 (Le Monde) - 프랑스를 대표하는 일간지, 사회민주주의적 중도좌파 성향
  • 리베라시옹 (Libération) - 전통적 진보·좌파 논조, 혁신적이고 급진적 시각이 강함
  • 메디아파르 (Mediapart)–인터넷 매체, 좌파적 탐사보도에 집중
  • 렙스 (L’Obs) – 진보 지식인 중심의 논조, 좌파적 여론 반영
  • 프랑스 앵테르 (France Inter)- 프랑스 국영 라디오 방송, 좌파적 시각이 뚜렷함
  • 리베라시옹 (Libération)
  • 프랑스24 (France 24)
  • 르피가로 (Le Figaro)[4]
  • 르파리지앵 (Le Parisien)
  • 프랑스 앵테르 (France Inter)
  • 유럽1 (Europe 1)
  • 텔레라마 (Télérama)


독일

  • 슈피겔 (Der Spiegel) – 독일을 대표하는 주간지, 진보·좌파 논조가 강함
  • 쥐트도이체 차이퉁 (Süddeutsche Zeitung) – 남독일 기반 일간지, 사회민주주의적 성향
  • 디 차이트 (Die Zeit) – 진보 지식인층 중심 주간지, 좌파 논조
  • 프랑크푸르터 룬트샤우 (Frankfurter Rundschau) – 명확한 좌파·진보 성향의 신문
  • 타츠 (taz, Die Tageszeitung) – 급진 좌파 논조, 녹색당·좌파당 지지 기반
  • ARD
  • ZDF
  • 도이체벨레 (Deutsche Welle, DW)
  • 슈테른 (Stern)
  • 포쿠스 (Focus)


일본

  • 아사히신문 (朝日新聞)
  • 마이니치신문 (毎日新聞)
  • NHK (일본방송협회)
  • 도쿄신문 (東京新聞)
  • 니혼게이자이신문 (니케이)
  • TV 아사히 (テレビ朝日)
  • TBS (도쿄방송)
  • 교도통신 (共同通信)
  • 오키나와타임스 (沖縄タイムス)
  • 류큐신보 (琉球新報)


스페인

  • 엘 파이스 (El País) – 스페인 최대 일간지, 사회민주주의, 중도좌파 성향
  • 엘 디아리오 (eldiario.es) – 온라인 진보 언론
  • 퍼블리코 (Público) – 급진 좌파 논조가 뚜렷한 매체
  • 라 섹스타 (La Sexta) – 좌파 성향의 텔레비전 방송사
  • 카데나 세르 (Cadena SER) – 스페인 최대 라디오 방송사, 친 사회당



그외

카타르의 알자지라


함께 보기



각주

  1.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임에도 불구하고 문재인정권에 부역하다 정권이 바뀌자 윤석열 정권 퇴진에 압장서고 있는 최우선으로 척결대상의 방송매체들이다.
  2. 2023년 현재 국· 공영방송국이 15개나 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언론들이 민주노총의 입김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다.
  3. [현장] KBS‧MBC‧YTN‧연합뉴스 노조 “文정권 부역자 사퇴하라”
    - 공영언론 노조 협의체, 20일 국회 앞 기자회견
    - "주요 간부들 민노총 언론노조 일색"
    - "5년 전 사장들 강제축출···지금은 자리 지켜"
  4. 일부 중도우파 성향 혼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