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천보사건(普天堡事件)은 1937년 6월 4일 밤 10시 만주 동북항일연군 산하의 김일성(金日成)과 최현(崔賢) 등이 인솔한 100여명의 부대가 함경남도 갑산군 보천면 보전리(북한 행정구역으로 현 량강도 보천군 보천읍)를 습격하여 면사무소, 학교 등에 공공시설에 방화하고, 2세 여아 포함 일본인 민간인 2명을 살해한 후 퇴각한 사건을 말한다.

사건의 경과

보천보 마을의 사정

당시 보천보에는 일본인 26호에 50명, 조선인이 280호에 1천 323명, 중국인이 2호에 10명 등 총 308호에 1천 383명이 거주하고 있었고 무장인원으로는 5명의 경찰관이 주재소에 상주하고 있었다.

6월 4일 밤 상황 (북한 용어 : 보천보 전투)

사전에 현지답사를 통해 지형 정찰까지했던 소위 김일성 부대는 1937년 6월 4일 밤 10시에 우선 전화선을 절단한 후 경찰주재소부터 공격했다. 먼 거리에서부터 기관총 사격을 하며 들어가는 바람에 총소리에 놀란 경찰관들은 모두 피신하고 주재소에 없었다.

경찰주재소 습격약탈사건으로 전과(戰果)로 따지면 일본 경찰관(순사)의 두 살 난 딸과 일본인 음식점 주인 등 2명이 총탄에 맞아 사망했을 정도로 미미한 사건이다. 일본 경찰주재소를 습격하고 조선인 상가를 약탈한 사건을 대형 전투로 치켜세우고 김일성을 영웅으로 만든 것은 당시 동아일보 보도였다. 북한에서도 김일성이 보천보전투를 지휘했다는 근거자료로 동아일보 보도를 인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6월 5일의 추격전 (북한 용어 : 구시산 전투)

김일성부대는 퇴각하는 과정에서 6월 5일 일본경찰추격대와 충돌해 25명이 사망하고 30명이 부상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고, 일본측 경찰은 7명이 전사했다. 북한은 이 추격전에서 큰 승리를 거둔 것처럼 말하나, 실제로는 김일성 부대쪽이 일본 쪽보다 훨씬 더 큰 인명 피해를 입었다.

보천보 습격의 목적

일본군 부대도 없고, 경찰관도 5명 밖에 없어 대단한 전투가 벌어질 가능성도 없는 조그만 국경 마을을 기습적으로 습격한 것은 항일투쟁의 일환이라기보다 보급투쟁(식량 등 약탈)의 목적이다.

습격 사건의 파장

사건 직후 연루된 지하조직이 적발되어 1938년까지 일대 검거 선풍이 불어 총 739명이 검거되고, 이중 188명이 기소되었다. 이를 혜산사건(惠山事件)이라 한다.

또 이 사건을 계기로 동북항일연군에 대한 일만군의 토벌이 강화되어 항일연군 세력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약화되고, 잔존세력이 소련으로 도주하게 된다.

보천보 사건 당시 신문 기사

북한의 보천보 사건 침소봉대

북한이 보잘것 없는 보천보 사건을 김일성의 가장 중요한 항일업적으로 미화 선전하는 이유는 조선 땅과 직접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공산당을 위해 투쟁한 것을 감추고, 조선독립운동을 했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나아가 학생들과 주민들을 동원하여 현지답사를 시키므로서 김일성을 항일영웅으로 우상화하는데 이용하기 용이한 것도 있을 것이다. 자신은 주로 만주에서 활동했지만 만주에 있는 지역은 국민들을 동원하여 현지답사하도록 하기는 힘든 것도 작용했을 것이다.

북한 전문가 이현웅도 이런 점을 비판한다.[1]

항일무장투쟁은 1940년에서 1945년 해방되기 전 5년 간의 활동이 매우 중요한데 김일성은 이 기간에 소련으로 도망쳐 극동군사령부 소속 ‘88여단’에서 만주 등 국경지역 침투 및 정보수집을 위한 간첩교육을 받았을 뿐 이렇다 할 업적이 없다. 이런 약점들을 덮기 위해 ‘보천보전투’를 신화적 수준으로 날조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남한 학계의 김일성 미화 부화뇌동

한국의 학계나 언론계는 보천보 사건과 관련한 북한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여 김일성 미화에 열심이다.

  • 한국의 일부 지역이 일제로부터 일시적으로 해방되었다는 의미가 있다.
  • 독립군의 최초의 국내진공이다.
  • 무장투쟁이 끊어진 줄 아는 국민들에게 독립의 희망을 주었다.
  • 동아일보의 보천보 사건 호외가 김일성 이름을 전국에 알렸다.
동아일보사는 김일성(金一成)이라는 이름이 나오는 사건 당시 호외의 금판을 떠서 김정일에게 선물하였다.

실체적 진실

  • 사건의 주역 동북항일연군 2군 6사장 김일성(金日成)은 1937년 11월 13일 만주군 토벌대에 의해 사살되었고, 북한 김일성과 다른 인물이다.
  • 보천보 습격 사건보다는 1935년 2월 13일 동북인민혁명군 1군 제1사장 이홍광(李紅光, 1910~1935)이 이끄는 부대가 경찰관 47명이 상주하는 경찰서가 있는 평안북도 후창군 동흥읍을 습격한 동흥습격사건(東興襲擊事件)이 일본에 준 타격이 훨씬 더 크다. 그러나 오늘날 보천보 사건은 김일성이 지휘했다는 이유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홍광이나 동흥사건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 북한의 과대한 미화 선전과, 이를 그대로 따르는 종북화된 남한 학계의 부화뇌동이 아니었더라면 보천보 사건도 동흥습격사건처럼 오늘날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이 잊혀졌을 사건에 불과했다. 잊혀졌을 사건이 김일성 미화를 위한 북한의 대대적 선전을 통해 엄청나게 중요한 사건으로 둔갑해 있다.
  • 1930년대에 만주의 각종 무장집단이 국경너머 조선으로 침입해온 크고 작은 사건은 일일이 셀 수도 없이 많았는데, 그 중 가장 큰 것이 동흥습격사건, 두번째가 보천보 사건이다. 그러나 보천보 사건도 수많은 침입 사건중의 하나였을 뿐 동흥사건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기억에 오래 남을만큼 대단히 중요한 사건은 아니었다.

보천보 사건 관련 김일성 우상화물

보천보에 있는 김일성 동상.[2]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