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번째 줄: 7번째 줄: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
조만식은 평안남도 강서군의 자택에서 8.15 해방을 맞았다. 이후 평양으로 올라와 8월 17일 종로에 있는 오윤선(吳胤善)<ref name="oh">기독교 장로이며 일제하에 조만식과 함께 독립운동을 했다. 월남하여 남한에서 활동한 극작가 [https://ko.wikipedia.org/wiki/오영진 오영진(吳泳鎭, 1916 ~ 1974)]의 부친이다.</ref>의 집 사랑방에서 사람들이 모여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建國準備委員會)를 결성한다.<ref name="ohyj">오영진, ≪소군정하의 북한-하나의 증언≫, (국민사상지도원, 1952), 35∼36쪽 ; 복간본 (국토통일원, 1983) pp.22 ~ 25</ref><ref>[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52_0050_0020_0010_0020 신편 한국사 근대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1) 해방 후 북한 각 지역의 인민위원회 수립과 소련군 주둔 (2) 각 지역 인민위원회의 성립과 개편] 우리역사넷</ref><ref>[http://weekly1.chosun.com/site/data/html_dir/2006/08/25/2006082577002.html <nowiki>[대한민국 건국의 영웅들(3)]</nowiki> 조만식 : 평양서 민족계열인 조선민주당 창당] 주간조선 [1919호] 2006.08.28</ref>  
조만식은 평안남도 강서군의 자택에서 8.15 해방을 맞았다. 이후 평양으로 올라와 8월 17일 종로에 있는 오윤선(吳胤善)<ref name="oh">기독교 장로이며 일제하에 조만식과 함께 독립운동을 했다. 월남하여 남한에서 활동한 극작가 [https://ko.wikipedia.org/wiki/오영진 오영진(吳泳鎭, 1916 ~ 1974)]의 부친이다.</ref>의 집 사랑방에서 사람들이 모여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建國準備委員會)를 결성한다.<ref name="ohyj">[https://ko.wikipedia.org/wiki/오영진 오영진(吳泳鎭, 1916 ~ 1974)], ≪소군정하의 북한-하나의 증언≫, (국민사상지도원, 1952), 35∼36쪽 ; 복간본 (국토통일원, 1983) pp.22 ~ 25</ref><ref>[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52_0050_0020_0010_0020 신편 한국사 근대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1) 해방 후 북한 각 지역의 인민위원회 수립과 소련군 주둔 (2) 각 지역 인민위원회의 성립과 개편] 우리역사넷</ref><ref>[http://weekly1.chosun.com/site/data/html_dir/2006/08/25/2006082577002.html <nowiki>[대한민국 건국의 영웅들(3)]</nowiki> 조만식 : 평양서 민족계열인 조선민주당 창당] 주간조선 [1919호] 2006.08.28</ref>  


[[파일:1945년 8월 조만식.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1945년 8월 26일 평양에 도착한 소련 제 25군 사령관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B0%98_%EC%B9%98%EC%8A%A4%EC%B0%A8%EC%BD%94%ED%94%84 치스차코프]가 일본군 [https://ja.wikipedia.org/wiki/%E5%B9%B3%E5%A3%8C%E5%B8%AB%E7%AE%A1%E5%8C%BA 평양사관구(平壤師管區)] 사령관 [https://ja.wikipedia.org/wiki/%E7%AB%B9%E4%B8%8B%E7%BE%A9%E6%99%B4 다케시타 요시하루(竹下義晴, 1891~1979)] 중장을 숙소 철도호텔로 불러 항복을 받는 모습. 현장에 조선인 대표로 일제하 독립운동 지도자이며 대중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던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B%A7%8C%EC%8B%9D 조만식(曺晩植)]이 입회하였다. 머리에 터번처럼 붕대를 감은 이유는 당시 종기가 나 있었기 때문이다.<ref name="ohyj"/>]]
[[파일:1945년 8월 조만식.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1945년 8월 26일 평양에 도착한 소련 제 25군 사령관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B0%98_%EC%B9%98%EC%8A%A4%EC%B0%A8%EC%BD%94%ED%94%84 치스차코프]가 일본군 [https://ja.wikipedia.org/wiki/%E5%B9%B3%E5%A3%8C%E5%B8%AB%E7%AE%A1%E5%8C%BA 평양사관구(平壤師管區)] 사령관 [https://ja.wikipedia.org/wiki/%E7%AB%B9%E4%B8%8B%E7%BE%A9%E6%99%B4 다케시타 요시하루(竹下義晴, 1891~1979)] 중장을 숙소 철도호텔로 불러 항복을 받는 모습. 현장에 조선인 대표로 일제하 독립운동 지도자이며 대중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던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B%A7%8C%EC%8B%9D 조만식(曺晩植)]이 입회하였다. 머리에 터번처럼 붕대를 감은 이유는 당시 종기가 나 있었기 때문이다.<ref name="ohyj"/>]]

2020년 6월 10일 (수) 16:38 판

조만식(曺晩植, 1883.02.01 ~ 1950.10.18)은 호가 고당(古堂)이며, 일제하 독립운동 지도자였다. 해방 후 북한 지역에서 주민들의 가장 큰 지지를 받는 지도자로 평양에서 정치활동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소련이 미는 김일성을 지도자로 만드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었기 때문에 신탁통치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소련군은 그를 1946년 1월 5일 고려호텔에 연금하였다. 이후 계속 연금상태에 있었으며, 6.25 당시 1950년 10월 북진한 국군과 UN군이 평양을 점령하기 직전에 김일성 일당이 그와 함께 반공 인사들 수백명을 총살한 후 암매장하고 도주했다.

생애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

조만식은 평안남도 강서군의 자택에서 8.15 해방을 맞았다. 이후 평양으로 올라와 8월 17일 종로에 있는 오윤선(吳胤善)[1]의 집 사랑방에서 사람들이 모여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建國準備委員會)를 결성한다.[2][3][4]

1945년 8월 26일 평양에 도착한 소련 제 25군 사령관 치스차코프가 일본군 평양사관구(平壤師管區) 사령관 다케시타 요시하루(竹下義晴, 1891~1979) 중장을 숙소 철도호텔로 불러 항복을 받는 모습. 현장에 조선인 대표로 일제하 독립운동 지도자이며 대중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던 조만식(曺晩植)이 입회하였다. 머리에 터번처럼 붕대를 감은 이유는 당시 종기가 나 있었기 때문이다.[2]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建國準備委員會)

위원장 : 조만식(曺晩植)
부위원장 : 오윤선(吳胤善)[1]
총무부장 : 이주연(李周淵)
치안부장 : 최능진(崔能鎭)[5]
선전부장 : 한재덕(韓載德)
교육부장 : 홍기주(洪箕疇)[6]
산업부장 : 홍정모(洪貞模)
재정부장 : 박승환(朴承煥)
생활부장 : 이종현(李宗鉉)[7]
지방부장 : 이윤영(李允榮)
외교부장 : 정기수(鄭基秀)

무임소위원 : 김병연(金炳淵), 법조계 한근조(韓根祖), 김익진(金翼鎭), 종교계 김주교(金主敎), 유림 지창규(池昌奎), 여성계 박현숙(朴賢淑), 의료계(刀圭界) 김병서(金秉瑞), 민족주의운동계 김동원(金東元)[8] 등.

김병연(金炳淵)과 이주연(李周淵)은 조만식의 수제자격으로 김(金)은 민족주의자로, 이(李)는 사회주의운동으로 오래 감옥살이를 했다고 한다. 후에 이(李)는 조만식을 배반하고 북로당원이 되었다고 한다.[2]

당시는 남북 분단이 되리라고는 예상할 수 없는 시기이고, 평남건준은 정부를 만든다기 보다는 치안유지가 주목적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9]

그러나 소련군이 평양에 들어오고 8월 26일 평양에 도착한 소련 제25군 사령관 치스차코프는 조만식과 만나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 대신 공산주의자들도 동수로 참석하는 조직을 만들도록 요구한다. 이에따라 평남건준은 8월 27일 민족계열 16명, 공산주의자 16명으로 구성된 평안남도인민정치위원회로 개편된다. 위원장은 조만식이 맡고, 부위원장은 우파의 오윤선, 공산주의자 현준혁 두 사람이 맡는다.

(평남 건준은 여운형이 주도한 서울의 조선건국준비위원회와는 별 관계가 없다. 여운형도 조만식과 아는 사이였지만, 평양을 들락거리며 김일성이나 소련군정 관계자들과 접촉하면서도 연금된 조만식의 석방을 위해 노력한 흔적은 전혀 없다.)

조만식을 친일파로 몰아 고려호텔에 연금

북한의 친일파 청산이 권력자의 자의로 진행되고 정적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이용된 단적인 예가 일제하 독립운동 지도자 조만식(曺晩植, 1883~1950)을 친일파로 몰아 1946년 1월 5일 고려호텔에 연금한 것이다.

해방 직후 평양에 진주했던 소련군 25군의 정치사령부 정치담당관이었던 그리고리 메클레르(1909~2006) 중좌는 당시 '평양은 조만식의 판이었다.'라고 증언했다.[10][11][12] 이러한 조만식을 무시할 수 없어 소련 25군 사령관 치스차코프가 8월 26일 평양에 도착해서 일본군 평양사관구(平壤師管區) 사령관 다케시타 요시하루(竹下義晴, 1891~1979) 중장을 불러 항복을 받는 자리에 조선인 대표로 조만식도 입회하도록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소련에 협력을 거부하는 조만식을 결국 정치적으로 제거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당시 소련군 소좌로 제25군 특별정치선전공작대인 '제7부'의 부책임자로 있었던 레오니드 바신(Leonid Vasin, 1915~2006)의 후일 증언에 의하면 북한주재 내무인민위원회(NKVD) 총책 아노힌 (Nikolai Anokhin, 1898~1974) 소장이 협력을 거부하는 조만식에게 '일제가 항복 직전 그를 석방한 것은 일본 첩자였기 때문'이라는 누명을 씌우고, 신문과 방송이 이를 보도하게 한 후에 연금했다고 하였다.[13][14][15] 미군이 기록한 1948년 5월 남북협상차 방북후 귀환한 "김구, 김규식이 발표한 공동성명(Kim Koo and Kim Kiusic issue joint statement: 1948-05-06)"[16]에도 "두 사람 모두 조만식을 만나지 못했는데, 그를 친일 반역자로 낙인찍어 재판에 회부할 서류들을 마련중으로 보였다 (Both reported that they did not see Cho Man Sick, against whom dossier is apparently being compiled, for possible trial, as died in wool pro-Japanese traitor.)"고 하였다.

이때 연금된 조만식은 다시는 자유의 몸이 되지 못하고, 6.25 때 국군과 UN군이 평양으로 진격해 들어갈 시기에 도망 직전의 김일성 일당에게 다른 민족진영 지도자들 다수와 함께 총살 당했다.

북한의 역사서 「조선전사」의 현대편(23권) 「민주건설사 1」은 『평안남도 인민정치위원회 조만식(曺晩植)과 그 일당을 비롯하여 지방정권기관의 일부 책임적 지위에 기어들었던 불순분자들은 사업을 고의적으로 태공(사보타주)하면서 인민정권 기관의 위신을 떨어뜨리고 민주주의 민족통일전선을 파괴하기 위하여 음으로 양으로 날뛰었다』고 기록했다.[17]

북조선 소련민정국장 대리 이그나티예프 대좌가 1947년 7월 스티코프 상장에게 올린 "정당 및 사회단체 중앙위원회들의 합동총회 결과에 관한 조회보고"에도 아래와 같은 말이 나온다.

민주당 중앙위원회 총회에서 부당수 홍기주는 민주당의 전(前)지도자인 반동분자 조만식의 정체를 폭로하는 연설을 하였습니다. 조만식이 미국 사절단장 브라운과 대화한 내용 및 조만식이 남녘, 특히 여운형과 연락관계를 갖고 있음을 지적한 다음 홍기주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조만식 – 이 자는 친일파입니다. 1945년 8월 15일 아침 9시 일본이 항복한 후에 일본 [도]지사는 평양에서 조만식을 자신에게 불러서 그에게 평양에 남아 인민위원회를 수립하고 일본의 노선을 실행하라고 부탁하였습니다. 조만식은 기꺼이 동의했으며 자신의 지지자들을 선발하여 배치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바로 이 때 서울에서는 아베 일본총독이 자신의 인장을 여운형에게 넘겨주었습니다. 여운형과 조만식은 비밀리에 자기들끼리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습니다. 지금 여운형은 어중간한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그의 입장은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닙니다.’ 이것 역시 반동적 정책입니다. 우리 당원들 중에서도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그런 입장을 갖고 있는 자들이 있습니다. 그런 분자들과는 단호하게 투쟁해야 하며 경각심을 높여야 합니다.”

민주당은 조만식이 1945년 11월 창당한 조선민주당을 말한다. 소련과 김일성은 조만식에 제동을 걸기 위해 소련군 88여단 빨치산 출신 최용건(崔庸健, 1900~1976)을 조만식의 제자라는 핑계로 민주당에 들여보내 부당수로 만든 후, 1946년 1월 5일 조만식을 연금하고, 최용건이 당수가 되어 당을 완전히 접수하게 했다. 조만식을 친일파라 공격한 부당수 홍기주(洪箕疇)는 기독교 목사로 해방 직후 조만식이 위원장이던 "평안남도건국준비위원회"의 교육부장이었으나[18],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위원, 북조선인민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내다, 1948년 9월 북한 정권 공식 출범 당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었다.[19]

참고 자료

함께 보기

각주

  1. 1.0 1.1 기독교 장로이며 일제하에 조만식과 함께 독립운동을 했다. 월남하여 남한에서 활동한 극작가 오영진(吳泳鎭, 1916 ~ 1974)의 부친이다.
  2. 2.0 2.1 2.2 오영진(吳泳鎭, 1916 ~ 1974), ≪소군정하의 북한-하나의 증언≫, (국민사상지도원, 1952), 35∼36쪽 ; 복간본 (국토통일원, 1983) pp.22 ~ 25
  3. 신편 한국사 근대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1) 해방 후 북한 각 지역의 인민위원회 수립과 소련군 주둔 (2) 각 지역 인민위원회의 성립과 개편 우리역사넷
  4. [대한민국 건국의 영웅들(3)] 조만식 : 평양서 민족계열인 조선민주당 창당 주간조선 [1919호] 2006.08.28
  5. 최능진(崔能鎭, 1899 ~ 1951) - 위키백과
  6. 홍기주(洪箕疇) 한국민족문화대백과
  7. 이종현(李宗鉉, 1904~195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김동원(金東元, 1884년 ~ 1951년) - 위키백과
  9. 國史館論叢 第54輯 > 해방직후 북한우익의 노선과 활동(이승현) > Ⅱ. 해방과 우익세력의 조직화 > 2. 해방직후 자치조직의 결성
  10. 秘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중앙일보 특별취재반, 중앙일보사, 1992) 상권 p.49
  11. <대한민국 건국의 영웅들(3)> 조만식- 위클리 조선 2011년 11월 21일
  12. 레오니드 바신, "[해방후 평양 첫 진주한 전소련군 장교의 폭로] '날조된 영웅' 김일성," 『신동아』, 1992년 11월호, pp. 486–501
  13. Jasper Becker, Rogue Regime: Kim Jong Il and the Looming Threat of North Korea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p.50
  14. 「날조된 英雄(영웅)」金日成(김일성) / 바신, 레오니드 新東亞(신동아) 398호 (1992.11) pp.486-501
  15. 曺晩植(조만식) 제거 - 金日成(김일성) 등장 증언요지 (1) 연합뉴스 1992-10-01
    曺晩植(조만식) 제거 - 金日成(김일성) 등장 증언요지 (2) 연합뉴스 1992-10-01
    曺晩植(조만식) 제거 - 金日成(김일성) 등장 증언요지 (3) <完(완)> 연합뉴스 1992-10-01
  16. Kim Koo and Kim Kiusic issue joint statement (김구와 김규식의 공동성명) 문서번호 501.BB-Korea/5-648, 발신 JACOBS, 수신 국무장관, 날짜 1948-05-06.
  17. 청소년을 위한 현대사 강좌 (3) 북한의 親日派 청산 : 金日成, 공산당 협력자는 과거 묻지 않고 수용…親日派 인텔리의 국가건설 기여 높이 평가 월간조선 2006년 2월호
  18. 신편 한국사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1) 해방 후 북한 각 지역의 인민위원회 수립과 소련군 주둔 / (2) 각 지역 인민위원회의 성립과 개편 우리역사넷
  1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홍기주 평정서 :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