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봉
金枓奉 / Kim Tu-bong
Kim_dubong_1919.PNG
전문학교 국어 교사 시절의 김두봉
북한 국기.png 북한의 제1대 국가수반

초대

최용건(제2대)
부통령
홍명희 (1948 ~ 1957)
김원봉 (1957 ~ 1958)
총리
김일성 (1948 ~ 1972)
개인 정보
출생
1889년 02월 16일
출생지
조선 경상도 기장현 읍내면 동부동(現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사망
1960년 04월 04일?
사망지
북한 평안남도 맹산군 노동교화소(맹산목장)에서 병사(뇌일혈 등이 사인)?
국적
정당
조선로동당
경력
조선독립동맹 주석
조선신민당 고문
북조선신민당 고문
북조선로동당 고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겸 초대 국가수반
조선로동당 고문
학력
배재학당 중퇴(1913년)
사후 1984년 배재대학교 명예 졸업장 추서
부모
김돈홍(아버지)
자녀
김해엽(딸), 김상엽(아들)
종교
대종교
별명
호는 백연(白淵), 배못, 백련(帛連). 별칭은 태항산 호랑이
군사 정보
복무기간
계급
조선인민군 책임고문
지휘
조선의용군 최고사령관
근무
조선의용군 총본부
참전

김두봉(金枓奉, 1889년 2월 16일 출생 ~ 1960년 4월 4일?[1] 사망 추정)은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글학자(일제 시대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북한정치인이다. 경상도 기장현(現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출생이다.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백연(白淵)·백련(帛連)이며, 별명은 태항산의 호랑이였다.

친인척 관계로는 사촌 누이동생 김맹련, 5촌 외종질녀 박차정, 5촌 외종질서 김원봉, 6촌 남동생 김약수(본명은 김두전) 등이 있었다.

구한말기에는 한글학자 주시경의 수제자로 유명했다. 일제강점기 시절 중국으로 망명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잠시 활동하였다.

약력

РГАСПИ, ф. 495, оп. 228, д. 3, лл. 40-41.

김두봉
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두봉은 1889년 (조선) 경상남도 기장읍 사상리 빈농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교육수준 ― 고등. 서울대학을 졸업했다.[註 001] 언어학 박사이다. 조선민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정회원이다. 중국어와 일본어를 구사한다.

  1. 1920~1923년 중국공산당 당원, 1927~1928년 한국독립당 당원, 1935~1937년 조선민족혁명당 당원, 1940~1945년 조선독립동맹 회원, 1945~1946년 조선신민당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2. 1946년부터 북조선노동당 당원이었다. 1908년부터 혁명운동에 참가하였다.
  3. 1910~1919년 비밀민족청년 단체 ‘대동청년당’, ‘조선광문회’ 회원이었고 서울대학(원문 그대로) 학생이었으며, 이후 중등학교 교사로 근무하였다.
  4. 1919년 3월 반일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중국으로 망명하여 1945년까지 거주하였다.
  5. 1920~1932년 중국에 거주하면서 출판사를 설립하여 잡지 『신대한』, 『정보』, 『독립신문』을 발행했고 조선독립동맹 조직자의 일인이다.
  6. 1932~1934년 상하이에 위치한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총서기였다.
  7. 1935~1938년 조선민족혁명당 조직자의 일인이며 상하이에 위치한 ‘대일전선통일동맹’ 대표였다.
  8. 1935~1938년 조선민족혁명당의 결성을 주도했으며 당수였고 상하이에 위치한 ‘대일전선통일동맹’ 대표였다.
  9. 1938~1945년 광둥 중국 군관학교 산하에 조선 지파 설립을 주도하였으며 중국 인민혁명군 소속에 3개 지대를 결성하였다. 일본에 맞서 싸운 의용군에 있었으며, 옌안에서 조선독립동맹을 결성했다. 중국공산당의 지시로 옌안 조선혁명군정학교를 이끌었으며 빨치산운동의 지도부였다.
  10. 1945년 조선으로 돌아와서 조선독립동맹을 기반으로 1946년 조선신민당을 결성하여 위원장이 되었다.
  11. 1946년 조선신민당과 북조선공산당의 합당을 기반으로 북조선노동당 창설을 주도했다.
  12. 1946~1947년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13. 1946~1949년 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과 정치위원, 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장, 북조선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중앙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14. 1947~1948년 북조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지냈다.
  15. 1948년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지냈다.
  16. 1949년부터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위원회와 상무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같은 해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회 위원장 및 조직국원으로 활동했다.
  17. 1949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단을 이끌고 소련을 방문했다.
  18. 1952년 민족해방전쟁에서 조국과 인민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조선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국기훈장 1급을 받았다.
  19. 1953년 조국해방전쟁에서 조선 인민의 승리를 달성한 공로로 국기훈장 1급을 받았다.
  20. 1955년 12월~1956년 1월 정부 대표단을 이끌고 독일민주공화국 대통령 빌헬름 피크 탄생 80주년 기념식에 참가했으며 귀국 길에 폴란드를 방문하였다.
  21. 1955년 12월 소련 최고소비에트 상임위원회 위원장 보로실로프로부터 환대를 받았다.

조선에서는 어문학자로 알려져 있다. 조선의 문학과 역사 문제에 관한 다수의 저술을 발표하였다.

[註 001]역주: 당시 서울대학은 존재하지 않았다. 김두봉은 배재학당을 중퇴한 바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