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정부 大韓民國 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
|
|||||
정부 형태 |
민주공화정 -대통령제 (1919-25) | ||||
임시 대통령 |
이승만 (1919-25) | ||||
국무령 |
이동녕 (1927-33) | ||||
주석 |
|||||
김규식 (1940-47) | |||||
기본 정보 |
|||||
수도 |
|||||
이전 이후 국가 |
|||||
존속기간 |
1919년 ~ 1948년 | ||||
이전 국가 |
|||||
이후 국가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는 1919년 3·1운동 이후 일본통치에 조직적으로 대항햐기 위하여 설립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수립 과정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주요 활동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수반
국무총리제 (1919. 4 ~ 1919. 9) |
|
대통령제 (1919. 9 ~ 1925. 7) |
|
국무령제 (1925. 7 ~ 1927. 4) |
|
국무위원제 (1927. 8 ~ 1940. 10) |
|
주석제 (1940. 10 ~ 1948. 8.) |
국무총리제 (1919. 4 ~ 1919. 9)
대통령제 (1919. 9 ~ 1925. 7)
국무령제 (1925. 7 ~ 1927. 4)
- 1대 국무령 이상룡 (1925년 7월 7일 ~ 1926년 2월 18일)
- 2대 국무령 홍진 (1926년 7월 7일 ~ 1926년 12월 9일)
- 3대 국무령 김구 (1926년 12월 10일 ~ 1927년 4월 11일)
국무위원제 (1927. 8 ~ 1940. 10)
- 1대 주석 이동녕 (1927년 8월 19일 ~ 1933년 3월 6일), 주석 겸 법무부장
- 2대 주석 송병조 (1933년 3월 6일 ~ 1933년 12월 30일), 주석 겸 재무부장
- 3대 주석 양기탁 (1933년 12월 30일 ~ 1935년 9월 1일), 주석 겸 군무부장
- 4대 주석 이동녕 (1935년 11월 2일 ~ 1940년 3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