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직(金亨稷, 1894년 7월 10일~1926년 6월 5일[1])은 북한 김일성의 부친이다.
개요
김형직(金亨稷)은 평범한 농부였던 김보현(金輔鉉, 1871~1955)과 이보익(李寶益, 1876~1959)의 세 아들 중 장남이고, 북한 김일성의 부친이다.
평양의 숭실중학교를 중퇴하고, 평안남도 강동군에서 서당(순화학교) 교사를 하면서 1917년 3월 23일 장일환(張日煥, 1886 ~ 1918.04.09) 등이 평양에서 조직한 「조선국민회(朝鮮國民會)」에 참여했다.
이 일로 일경에 검거되어 옥고를 치른 후 출감한 뒤 평안북도 중강진으로 이주했고 거기서 1919년 3.1운동에 참여했다가 검거를 피해 압록강 맞은 편 만주 임강현(臨江縣)으로 이주했다. 이후 장백현 8도구(長白縣 八道溝), 무송현(撫松縣) 등지로 이주하면서 무면허 한의사 개업으로 상당한 재산을 모았다고 한다. 민족주의 계열 항일 단체 정의부 사람들과 관련을 맺고 후원도 하며 치료도 해 주었다고 한다. 1926년 무송에서 사망했다.
- 김일성 회고록에 김형직이 만주에서 가짜 세브란스 의전 졸업장을 걸어두고 무면허 의사를 했다고 밝히고 있다.
- 김형직은 무면허 의사를 하면서 아편(阿片, opium) 밀매를 통해 큰 돈을 벌었다는 증언이 많다.
- 만주 시절 김형직의 친구였던 이도일(李道日)의 후일 증언에 의하면 김형직은 공산주의를 싫어하여 공산주의자들이 병원에 찾아오면 치료도 해주지 않고 박대했기 때문에 그들의 미움을 사서 살해당했다고 한다.
- "김일성 관련 후일 증언 또는 기록" 참고.
- 김형직은 정의부(正義府) 사람들과 관련을 맺고 있었는데, 그의 사후 1930년경 정의부는 국민부(國民府)로 개편된다. 아들 김성주(김일성)도 정의부나 국민부와 관련을 맺기는 하지만 이종락(李鐘洛, 1907~1940)을 따라 국민부를 탈퇴하고 반국민부 세력에 가담한다.
김형직의 결혼 배경과 유언
탈북 작가 장해성과 탈북 기자 김길선의 아래 유튜브 방송 대담에 관련 내용이 나온다,
- 김일성 우상화는 어떻게 시작됐는가? 김길선's평양만사 (유튜브 방송, 2025년 7월 15일)
- 9분 34초 : 김형직 유언
북한은 김형직이 민족해방운동을 공산주의 운동으로 전환시킨 선각자라고 선전하지만 김형직이 김일성에게 남긴 유언은 "첫째로 절대로 공산주의는 하지 말라, 둘째로 김일성 장군과 같은 사람이 되라"는 것이었다고 한다. 또 실제의 김일성은 여러 사람이 있지만 그중에 많은 사람들이 김일성이라 칭하는 사람은 일본 육사를 나오고 만주와 연해주에서 항일투쟁을 했으며, 스탈린 치하 소련의 탄압을 받아 투옥된 사람이라 했는데 이는 김경천(金擎天, 1888~1942) 장군을 가리킨다. - 11분 04초 : 김일성 부모 결혼 배경.
김형직이 살던 고평면 남리에 김경식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이 사람이 칠골에 있는 교회를 다니면서 강돈욱과도 잘 알게 되었고, 자기 마을 고평면 남리에 교회를 세우면서 그 과정에 김형직과 강반석의 결혼을 주선했다고 한다.
일설에 빌리 그레이엄(Billy Graham, 1918~2018) 목사의 장인인 넬슨 벨(Nelson Bell, 1894~1973) 선교사가 김형직과 강반석의 중매를 섰다고 주장하나 이는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넬슨 벨 선교사가 동양(중국 상해 인근)으로 처음 온 것은 1916년으로 북한 김일성이 태어난 4년 뒤이다. - 12분 04초 : 강반석의 재혼.
김형직 사후에 강반석은 만주 안도현(安圖縣)의 지주 조광준과 재혼하여 5~6개월 가량 함께 살았다고 하며, 조광준은 지주라서 해방 직후 살해 당했다고 한다. 중국 조선족 출신 재미작가 유순호도 같은 주장을 하는데[3][4] 둘 중 한 사람은 다른 쪽의 말을 옮긴 것으로 보인다. 넬슨 벨 선교사가 김일성 부모의 결혼 중매를 했다는 유순호의 주장은 명백히 틀린 것이라 그의 말은 믿기 어렵다.
방송에 나오는 탈북작가 장해성은 김일성 우상화를 담당하는 북한 조선중앙방송위원회 정치교양국 혁명1부에서 기자겸 작가로 20여년간 재직했고, 김길선은 제2자연과학출판사에서 정책담당 기자로 17년간 활동했다. 이들은 북한에서 일반인이 접할 수 없는 여러 김일성, 김정일 관련 역사 서적과 문건들을 많이 접했고, 들은 바도 많은 사람들이라서 믿을만한 증언으로 판단된다.
김형직은 아들들에게 김일성 장군과 같은 사람이 되라고 가르쳐
김형직이 아들들에게 김일성 장군과 같은 사람이 되라고 가르쳤다는 것은 셋째 아들 김영주의 증언과 위에서 소개한 탈북 기자겸 작가 장해성의 김형직 유언에 관한 증언에서 교차 검증이 된다.
북한 김일성은 부친으로부터 김일성 장군과 같은 사람이 되라는 가르침을 받고, 같은 이름을 가명으로 쓰며 마치 자신이 그 유명한 김일성 장군인 것처럼 행세한 사기꾼에 지나지 않는다.
해방 후 김형직과 강반석 묘의 이장
해방 후 김일성이 북한의 권력자가 된 뒤 안도현에 있던 모친 강반석의 묘는 1947년 6월 3일에, 무송현에 있던 부친 김형직의 묘는 한달 뒤인 7월 4일에 만경대 뒷산으로 이장했다고 한다.
- 한설야(韓雪野), 《將軍의 아버님과 어머님》, 『조선여성』 1947년 7월호 (평양:조선여성사,1947.07.30) pp.70~74.
- 주로 김일성의 어머니를 중심으로 서술되며, 김일성의 유년기에서부터 부모의 사망과 해방 후 이장(移葬)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5]
만경대 김형직, 강반석의 묘
아래 기사에 평양의 만경대에 있는 김형직과 강반석의 묘 사진과 흉상의 사진이 나와 있다. 흉상 왼편 봉분이 김형직, 흉상 오른 쪽 뒤편 봉분이 강반석의 묘로 보인다.
- [평양NOW] '김일성 모친' 강반석 생일 131주년…北 "모성보다 애국심" 연합뉴스 2023-04-21
- 만경대 김형직의 묘 연합뉴스 2012-06-06
- [경제와 우리 생활] 국경도시 김형직 군의 변화 RFA 2023.07.14
김형직이 교사를 했던 강동군 봉화리에 김형직의 전신 동상이 있다.
- [평양NOW] '김일성 父' 김형직 사망 97주기…백두혈통 띄우기 연합뉴스 2023-06-05
평양 칠골에 있는 김일성의 외가이자 강반석의 친정집 인근은 칠골혁명사적지로 조성되어 강반석의 전신 좌상이 세워져 있다.
- 北, 김일성 생모 내세워 김정은에 충성 독려 연합뉴스 2017-04-21
김형직 관련 자료
조선국민회
- 1917년 3월 23일 장일환(張日煥, 1886 ~ 1918.04.09) 등이 평양에서 「조선국민회(朝鮮國民會)」를 조직했는데, 회원명단에 김형직(金亨稷)의 이름이 들어 있다.[6][7][8][9][10][11]
- 북한은 강덕상 편(姜德相編),「현대사 자료(現代史資料) 25」[7]에 실린 위 자료를 변조하여 장일환, 백세빈, 배민수를 삭제하고 김형직이 조선국민회 조직을 주도한 것처럼 조작하였다. 아래 기사에 會員氏名에 김형직만 부각시킨 조작한 문건 사진이 나온다.[13]
[김씨 일가의 숨겨진 진실] 조선국민회와 김형직의 진실 RFA 2023.08.09
김일성 회고록에도 같은 문건의 조작 사진이 나온다.[14] - 당시 김형직이 강동군에 거주했던 관계로 후일 강동군 봉화리에 봉화혁명사적지가 조성되고[15] 김형직의 동상과[13][16] 조선국민회 기념비가 세워졌다. 2004년 평양시 강동군에 봉화리 혁명박물관을 새로 개관했다.[17]
秘密結社發見處分ノ件(平安南道警務部長報告要旨)
今回在外不平鮮人ト通謀シ國權恢復ヲ企劃セル「朝鮮國民會」ナル秘密結社ヲ發見シ關係者ヲ檢擧シ刑事訴追ニ附シタリ其ノ顚末左ノ如シ
一. 會員氏名
本籍 平安南道平壤府黃金町 / 住所 同 櫻町 / 會長 張日煥 當三十二年
本籍平安北道義州郡枇峴面院洞 / 住所支那安東縣大和橋通 / 外國通信係 白世彬 當二十五年
本籍忠淸北道淸州郡四州內面金川里 / 耶蘇崇実中學校生徒 / 通信員裵書記 裵敏洙 當二十二年
만주 임강현(臨江縣)
- 1920년 3월에 손위 처남이자 백산무사단(白山武士團) 단원인 강진석(康晋錫)이 임강현 모아산(臨江縣 帽兒山)에 거주하는 매부 金亨穆(金亨稷의 오류)의 집에 잠시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18][19][20] 기록에는 없지만 김형직도 백산무사단(白山武士團) 단원이었다는 증언이 있다.[21][22][23]
장백현(長白縣) 팔도구(八道溝)
- 1925년 5월 5일자 김형직의 신상 및 재산 기록 : 장백현(長白縣) 팔도구(八道溝) 거주시
- 朝鮮人에 대한 施政關係雜件 一般의 部 3 > 陸軍側 調査에 관계된 鴨綠江 沿岸地方 支那地에서의 在住 朝鮮人의 戶口 其他에 관한 件 : p.24
- 第三 移住朝鮮人中 有力者 調査表 : 일본 외무성(日本 外務省) 간도 총영사(間島總領事) 기록
- 주소(住所) : 팔도구(八道溝)
- 직업(職業) : 의자(醫者)
- 이름 연령(氏名 年齡) : 김형직(金亨稷, 當三十三年)
- 친배일별(親排日別) : 배일(排日)
- 자산(資産) : 1,000엔(円)
- 적요(摘要) : 『平南 平壤 出身, 漢學의 素養이 있다. 大正 8년(1919년) 3월, 朝鮮獨立 騷擾事件의 주모자였다가 官憲의 체포가 두려워서 同年 5월, 對岸으로 도주하고 당시 不逞輩(불령배)의 牛耳를 잡고 있었으나, 改悛後 醫事에 종사함. 』
- 牛耳 : 우두머리 또는 수령.
김형직이 1919년 3월 조선독립운동의 주모자였다가 체포를 피해 5월에 대안(對岸)으로 도주했다고 하였다. 이는 김형직이 평안북도 중강진(中江鎭)[24]에서 3.1운동에 참여했다 체포를 피해 1919년 5월 압록강 맞은 편 만주 임강현(臨江縣, 帽兒山)으로 이주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25] 중강군(中江郡) 중강읍에 김형직을 기리는 '중강혁명사적관'(1977년), '김형직동상'(1968년) 등이 건립되어 있다.[26] 당시 김형직의 재산 1000엔(円)은 상당한 거액이라고 한다.
만주 무송현(撫松縣)
- 김형직은 1925년 3월에 무송현(撫松縣)으로 이주하여 무림의원을 차렸다고 하며, 그곳에서 1926년 6월 사망했다. 무송현 거주 사실은 당시 기록으로는 확인되지 않는다.
기타
- 1924~5년 무렵 장백현 8도구에 있었던 대한독립 광정단(大韓獨立光正団)[27] 제4서(第四署)의 총무 김형식(金亨植) 또는 김형주(金亨柱)가 김형직(金亨稷)일 가능성이 제기된다.[23]
- 아래 각 기록에 총무로 나오는 김형식(金亨植), 김향주(金享柱), 김형주(金亨柱) 등이 김형직(金亨稷)으로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출신지와 거주지는 같으나 연령이 다르고, 이름 글자가 차이가 난다. 광정단(光正團)은 정의부(正義府)에 흡수되는데, 김형직도 정의부와 관련을 맺고 있었다.
- 臨時報 第71號(大韓獨立光正團 및 長白縣光復支團 組織表) : 1924년 02월 15일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대한독립 광정단(大韓獨立光正団) 및 장백현 광복지단(長白縣 光復支団)조직표 : 1924년 2월 15일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
p.11에 대한독립 광정단(大韓獨立光正団) 제4서(第四署) 조직원 명단이 나온다.大韓獨立光正団 第四署
(所在 八道溝 佳財水里)役名 氏名 年齡 原籍 住所 署長 朴萬碩(박만석) 四一 咸興郡 八道溝 總務 金亨植(김형식) 四二 平南道 〃 財務 金德萬(김덕만) 三八 北靑郡 〃 書記 金允七(김윤칠) 〃 - 『준동(蠢動)을 계속하고 있는 재외불령단(在外不逞團)과 책원지(策源地)』 《요동신보(遼東新報)》 1925년 3월 21일 ~ 4월 11일 연재기사 4번째[23]
大韓獨立光正團 第四署 署長 朴萬碩, 總務 金亨植, 財務 金相萬, 書記 金德七 -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 41 > 南北滿洲一帶에 있어서 不逞鮮人團 調査의 件 : 1925년 04월 15일 한국사데이터베이스
p.19에 대한독립광정단(大韓獨立光正團) 제4서(第四署) 총무(總務) 김향주(金享柱)가 나온다. 출신 평남(平南), 연령 43세
大韓獨立光正團 第四署 署長 孫鳳赫, 總務 金享柱, 書記 李奉奎, 財務 金仁洙 : 요동신보 기사와 인명이 상당히 다름. - 대한정의부(大韓正義府) 간부 명단 및 조직상황 : 자료번호 3-005399-000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
p.5 대한독립광정단(大韓獨立光正團) 제4서(第四署) 총무(總務) 김형주(金亨柱), 書記 李奉奎, 財務 金仁洙
김형주(金亨柱) : 출신 평남(平南), 연령 당 43세, 소재지 장백현(長白縣) 팔도구(八道溝) 가재수리(佳財水里)
이 자료의 연대는 적혀있지 않으나 김형주(金亨柱)의 나이가 앞의 기록과 같으므로 같은 해인 1925년 작성으로 보임. - 길림성 당안관(吉林省 檔案館) 자료 : 大韓光復團件 (자료번호 3-005692-00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
p.23 在滿不逞鮮人團体一覽表 : 大正十四年(1925년) 九月末 現在 平安北道警察部
p.55 大韓獨立光正團 第四署 署長 鄭鳳赫, 總務 金享柱, 書記 李奉奎, 財務 金仁洙
참고 자료
- 김형직읍 포평혁명사적관 본관 양강도>김형직군>김형직읍 : 북한지역정보넷
- 김형직읍 포평혁명사적관 광장 양강도>김형직군>김형직읍 : 북한지역정보넷
- 김일성 아버지 김형직을 기리는 우상화 공간 - 김형직군 포평혁명사적관 : 네이버 블로그
가계도
김일성 가계도 |
||||||||||||||||||||||||||||||||||||||||||||||||||||||||||||||||||||||||||||||||||||||||||||||||||||||||||||||||||||||||||||||||||||||||||||||||||||||||||||||||||||||||||||||||||||||||||||||||||||||||||||||||||||||||||||||||||||||||||||||||||||||||||||||||||||||||||||||||||||||||||||||||||||||||||||||||||||||||||||||||||||||||||||||||||||||||||||||||||||||||||||||||||||||||||||||||||||||||||||||||||||||||||||||||||||||||||||||||||||||||||||||||||||||||||||||||||||||||||||||||||||||||||||||||||||||||||||||||||||||||||||||||||||||||||||||||||||||||||||||||||||||||||||||||||||||||||||||||||||||||||||||||||||||||||||||||||||||||||||||||||||||||||||||||||||||||||||||||||||||
---|---|---|---|---|---|---|---|---|---|---|---|---|---|---|---|---|---|---|---|---|---|---|---|---|---|---|---|---|---|---|---|---|---|---|---|---|---|---|---|---|---|---|---|---|---|---|---|---|---|---|---|---|---|---|---|---|---|---|---|---|---|---|---|---|---|---|---|---|---|---|---|---|---|---|---|---|---|---|---|---|---|---|---|---|---|---|---|---|---|---|---|---|---|---|---|---|---|---|---|---|---|---|---|---|---|---|---|---|---|---|---|---|---|---|---|---|---|---|---|---|---|---|---|---|---|---|---|---|---|---|---|---|---|---|---|---|---|---|---|---|---|---|---|---|---|---|---|---|---|---|---|---|---|---|---|---|---|---|---|---|---|---|---|---|---|---|---|---|---|---|---|---|---|---|---|---|---|---|---|---|---|---|---|---|---|---|---|---|---|---|---|---|---|---|---|---|---|---|---|---|---|---|---|---|---|---|---|---|---|---|---|---|---|---|---|---|---|---|---|---|---|---|---|---|---|---|---|---|---|---|---|---|---|---|---|---|---|---|---|---|---|---|---|---|---|---|---|---|---|---|---|---|---|---|---|---|---|---|---|---|---|---|---|---|---|---|---|---|---|---|---|---|---|---|---|---|---|---|---|---|---|---|---|---|---|---|---|---|---|---|---|---|---|---|---|---|---|---|---|---|---|---|---|---|---|---|---|---|---|---|---|---|---|---|---|---|---|---|---|---|---|---|---|---|---|---|---|---|---|---|---|---|---|---|---|---|---|---|---|---|---|---|---|---|---|---|---|---|---|---|---|---|---|---|---|---|---|---|---|---|---|---|---|---|---|---|---|---|---|---|---|---|---|---|---|---|---|---|---|---|---|---|---|---|---|---|---|---|---|---|---|---|---|---|---|---|---|---|---|---|---|---|---|---|---|---|---|---|---|---|---|---|---|---|---|---|---|---|---|---|---|---|---|---|---|---|---|---|---|---|---|---|---|---|---|---|---|---|---|---|---|---|---|---|---|---|---|---|---|---|---|---|---|---|---|---|---|---|---|---|---|---|---|---|---|---|---|---|---|---|---|---|---|---|---|---|---|---|---|---|---|---|---|---|---|---|---|---|---|---|---|---|---|---|---|---|---|---|---|---|---|---|---|---|---|---|---|---|---|---|---|---|---|---|---|---|---|---|---|---|---|---|---|---|---|---|---|---|---|---|---|---|---|---|---|---|---|---|---|---|---|---|---|---|---|---|---|---|---|---|---|---|---|---|---|---|---|---|---|---|---|---|---|---|---|---|---|---|---|---|---|---|---|---|---|---|---|---|---|---|---|---|---|---|---|---|---|---|---|---|---|---|---|---|---|---|---|---|---|---|---|---|---|---|---|---|---|---|---|---|---|---|---|---|---|---|---|---|---|---|---|---|---|---|---|---|---|---|---|---|---|---|---|---|---|---|---|---|---|---|---|---|---|---|---|---|---|---|---|---|---|---|---|---|---|---|---|---|---|---|---|---|---|---|---|---|---|---|---|---|---|---|---|---|---|---|---|---|
|
각주
- ↑ 北 김일성 아버지 김형직 사망 90돌 행사 : 평양시 강동군 봉화리의 김형직 동상 헌화 CBS노컷뉴스 2016-06-06
- ↑ 김성주가 김일성 장군 이름을 접한 시기
- ↑ 유순호, 김일성 평전 (상), (지원출판사, 2017년) pp.163~166; 김일성 1912~1945 (상), (서울셀렉션, 2020년)
- ↑ [김씨 일가의 숨겨진 진실] 김일성 회고록에 나오지 않는 강반석의 재혼 RFA 2023-08-16
- ↑ 최강미, 웃음 웃는 지도자 - 해방 직후 북한소설의 ‘김일성’ 형상, 『상허학보』 59집, pp.355~399, Dec 2020
- ↑ 不逞團關係雜件 朝鮮人ノ部 在內地 二 > 秘密結社發見處分ノ件 (1918년 02월 18일) : 한국사데이터베이스(국사편찬위원회)
- ↑ 7.0 7.1 7.2 강덕상 편(姜德相編),「현대사 자료(現代史資料)」 25, 조선(朝鮮) (一) 3.1運動 (一) (みすず書房, 1967)
- ↑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 7雜 > 朝鮮人槪況 送付에 관한 건 (1919년 03월 26일) p.60 : 한국사데이터베이스(국사편찬위원회)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 7雜 > 朝鮮人槪況 第二 壹部 參考 送付 (1919년 03월 26일) p.61 : 한국사데이터베이스(국사편찬위원회) - ↑ 金日成의 父 金亨稷 조선국민회활동 사실로 확인돼 연합뉴스 1998년 3월 25일
- ↑ [內報] 국미회와 련락이 잇다고 신한민보 (新韓民報) 1918년 09월 12일 2면 1단 : 국민회와 련락이 잇다고...평양 공쥬 지사를 포박 : 「신흥학우보(新興學友報)」에 게재하얏스제 소위 총독부 왜놈들은 우리 내지인사들이 북미주에 잇난 국민회와 련락하야 광복을 꾀하난 음모가 잇다는 - 증거업난 말을 만들어 가지고 三月부터 평양, 경셩, 공쥬 등 각처에서 다슈한 인사를 포박하얏난데 잡한이 듕에 예슈교를 밋는 신쟈가 만타더라.
- ↑ 한국근대지리정보 (국사편찬위)에 나옴. - 좌표: (126.03006580389102, 39.17762615632604)
- ↑ 13.0 13.1 [평양NOW] '김일성 父' 김형직 사망 97주기…백두혈통 띄우기 연합뉴스 2023-06-05
- ↑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1권 p.27
- ↑ 봉화혁명사적지 북한지역정보넷
- ↑ [란코프] 우상화되지 않은 진짜 김형직을 생각하며 RFA 2022.07.14
- ↑ [주성하의 서울살이] 북한의 황당한 6.25전쟁 진실 조작 RFA 2010.07.23
- ↑ 白山武士團員 逮捕의 件 : 1921년 05월 12일 조선소요사건관계 서류 > 大正8年乃至同10年 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 共7冊 其3 : 康晋錫(變名 金在龍, 韓成龍, 白山武士團 第二部 外務員), 大正 9년 (1920) 음력 2월.....임강현 모아산(臨江縣 帽兒山)의 매부 金亨穆(金亨稷의 오류)의 집에 잠시 체류하다 같은 해 음력 4월 2일 임강현 천금동에서 목재 벌채 종사...
- ↑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6권 > 1921년 4월 24일 > 白山武士團 第二部 外務員 康晋錫 (국사편찬위원회, 1971년)
- ↑ 새 전기 「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 김일성자서전연구:8) - 서울신문 1992-10-27 4면
새전기「세기와 더불어」허동찬씨의 분석(신고 김일성자서전연구:19) 1992. 12. 08 (화) 서울신문 - ↑ 이명영, 김일성 열전(金日成 列傳) - 그 傳說과 神話의 眞相糾明을 위한 硏究 (新文化社, 1974) pp.96~97.
- ↑ 《조선전사》 現代篇의 分析·批判(許東粲) > Ⅱ. 抗日武裝闘爭史(16〜22권)批判 > 1. 金亨稷 國史館論叢 第4輯 (국사편찬위원회, 1989-10-09)
- ↑ 23.0 23.1 23.2 허동찬(許東粲, 1932~ ), 『김일성 평전(金日成 評傳) - 허구와 실상』, (북한연구소, 1987) pp.63, 84~90
- ↑ 중강진(中江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만경대 방문 北주민이 듣는 김일성 관련 거짓 선전들 DailyNK 2018.04.13
- ↑ 중강군(中江郡) NK조선 2013-10-04
- ↑ 광정단 - 세계한민족문화대전
- ↑ 김만일(金萬日, 金萬一, 金万一), Kim Man-il 등으로 알려져있으나 그의 한국식 이름이 김만일이라는 어떤 근거 문헌도 찾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