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조선로동당 [1] | |
기본 정보 |
|
영어명 |
|
약칭 |
남로당 |
이념 |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
스펙트럼 |
극좌 |
당직자 |
|
대표 |
|
역사 |
|
창당 |
1946년 11월 23일 |
해산 |
1949년 6월 30일 |
이전당 |
|
이후당 |
조선로동당 |
기타 |
|
주소 |
대한민국 서울시 |
개요
남조선로동당 줄여서 남로당은 남한에 있었던 공산주의 정당으로 제주 4.3 사건에 관여했다.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다.[2] 당수는 초대 여운형, 2대 허헌, 3대 박헌영이 맡았다. 기관지로 노력인민이 있었다.
관련 사건
2·7 파업-

제주 4·3 사건-

여순 14연대 반란사건

남로당의 몰락

남로당은 대구폭동, 제주4.3폭동, 여순반란사건, 지리산(智異山) 등(等)의 투쟁(鬪爭)에서 연전연패하면서 1949년 말에는 세력이 현저히 약화되고, 내부에서 박헌영에 반대하는 반당의 움직임도 강해지기 시작한다. 박헌영은 김일성과의 권력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남한에서 다수의 폭력 사태를 일으켰는데,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면서 당내에서도 그에 대한 반감이 커져 전향자도 다수 발생하고, 김일성으로부터도 비판을 받아 궁지로 몰리게 된다.
이런 대남 공작의 실패로 박헌영은 더욱 초조해져 김일성과 경쟁적으로 전면적 남침 전쟁을 주장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남은 남로당 세력은 6.25 때 지리산으로 들어가 빨치산 투쟁을 벌이지만 휴전 후 얼마 못 가서 완전히 소탕된다. 일부 잔존 세력은 끝까지 전향하지 않고 지하로 잠적했겠지만 표면적으로는 아무 활동도 할 수 없게 되어 남로당은 사실상 소멸하게 된다.
1949년말 남로당이 처한 상황이 아래 동아일보 기사에 나와 있다. 박헌영이 자신의 권력을 위해 남한에서 다수의 폭력사태를 야기시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기 때문에 "박헌영(朴憲永)의 백골(白骨)의 왕좌(王座)"라고 칭하고 있다.
- 남로당 전향파(南勞黨 轉向派)의 활동(活動)을 여하(如何)히 추진(推進)시킬것인가 - 남로당(南勞黨)의 위기(危機) 1949.10.03 동아일보 1면
“ |
남로당 전향파(南勞黨 轉向派)의 활동(活動)을 여하(如何)히 추진(推進)시킬것인가 정계단층(政界断層)
확실(確實)히 남로당(南勞黨)과 박헌영(朴憲永)은 고민(苦悶) 하고있고 남한 모지하(南韓某地下)에서 질식(窒息)하고 있는 김삼룡(金三龍)은 불안(不安)에 떨고 있다. 북한국가(北韓國家)에서 공급(供給)하는 자금(資金)과 폭력(暴力)으로 유지(維持)해 오던 박헌영(朴憲永)의 국제노선(國際路線)은 점차(漸次) 조직화(組織化) 되여가는 반당세력(反黨勢力)을 수습(收拾)하지 못하고 백골(白骨) 우에 왕좌(王座)를 쌓을려는 그의 야망(野望)은 이제 중대(重大)한 기로(岐路)에서 회의(懷疑)와 모색(摸索)으로의 전동(轉動)을 여지(餘地)없게 하고만 것이다. 서상(敍上)의 남북노동당간(南北勞動黨間)의 감정적(感情的)인 반발(反撥)과 대립(對立)은 남한(南韓)에서의 희생(犧牲)의 증가(增加)와 아울러 남로당내부(南勞黨內部)에 있어서의 반박헌영(反朴憲永) 노선투쟁(路線鬪爭)을 유치(誘致)하는 결과(結果)로 나타난 것이다.
그 일례(一例)로 더월(去月) 서울 시당상임위원회(市黨常任委員會)의 대거(大擧) 반당성명사건(反黨聲明事件)을 들 수 있으니 군사총사령(軍事總司令) 조병수군(趙병水君)이 말하기를 "남로당(南勞黨)은 폭동(暴動)을 일으켜 무고(無辜)한 민중(民衆)을 살상(殺傷)하는데 시종(始終)하고 있다", "완전(完全)히 탈당(脫黨)한 것이 아니고 그대로 당(黨)에 머물러 있으며 그네들의 지시(指示)를 거부(拒否)하는 한편 반대투쟁(反對鬪爭)하겠다"라고 하였다. 오도(誤導)된 공산주의(共産主義) 청년(靑年)은 이상(以上) 고백(告白)에서 전술(前述)한 박헌영살륙정책(朴憲永殺戮政策)의 표면(表面)을 단적(端的)으로 표시(表示)하는 한편 남로당(南勞黨) 고민(苦悶)의 일면(一面)을 암시(暗示)하고 있다. 더욱히 전향공산주의자(轉向共産主義者) 또는 반당 공산주의 대중(反黨 共産主義 大衆)의 힘을 대한민국(大韓民國)의 테두리 속에서 정치적(政治的)으로 발전(發展)시킴에 있어서 현재(現在)의 구상(構想)에는 허다(許多)한 불비(不備)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들이 대한민국(大韓民國)을 지지 하는것은 사실(事實)이지만 대한민국(大韓民國)의 현상(現狀)을 시인(是認)하지 아니하는 것도 또한 사실(事實)인 것이다. |
” |
각주
- ↑ 자세한 사용법은 틀:정당 정보 참조.
- ↑ 韓輿協會調査(한여협회조사) 左翼合黨(좌익합당)은 頹勢挽回(퇴세만회)의 謀略(모략) 동아일보 3면 1946-08-13
관련 인물 |
|
관련 항목 |
김달삼모가지잘린골 • 노력인민 •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 • 여수·순천 10.19 반란사건 ·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 제주 4·3 사건 • 조선공산당 •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 혁명의용군 사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