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대학교 [1] Harvard University | |||
|
|||
표어 |
Veritas(라틴어:진리) |
||
상징물 |
크림슨 |
||
국가 |
|||
분류 |
사립 |
||
개교 |
1636년 |
||
총장 |
로렌스 바카우 (Lawrence Seldon Bacow) |
||
학부생 |
5,222명 (2020년) |
||
대학원생 |
13,996명 (2020년) |
||
교원 |
4,846명 (2021년) |
||
위치 |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
||
웹사이트 |
개요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는 미국 매사추세츠(Massachusetts)주 케임브리지(Cambridge)에 위치한 사립 대학으로, 1636년에 설립된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미국을 넘어 세계 최고의 명문대학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하버드대가 패ㅁ니즘과 PC주의에 경도되었으며, 중국공산당과 밀착하는등 여러 문제를 안고 있다. (구체적 내용은 아래 #논란 참조.)
대학의 상징 색은 크립슨레드다. 고려대도 이 색을 채택하고 있다.
논란
페미니즘
2005년 하버드 대학 총장이었던 로렌스 서머스는 "여성의 과학 능력은 선천적으로 남성에 비해 떨어진다"고 일반론적인 이유기를 하였는데 이것이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 발언으로 페미니즘과 PC(Political Correctness)주의에 경도된 학생들과 교수진들의 비난이 쏟아지며 결국 총장직에서 사임하였다.[2] 그만큼 학교내의 페미니즘이 만연해 있다는 방증이다.
로렌스 서머스는 28세에 하버드 최연소 종신 교수가 될 만큼 실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세계은행과 클린턴 행정부 재무부 장관을 역임하는 등 탁월한 능력을 갖춘 인물이다. 현재는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서 경제학을 강의하며 칼럼 기고와 헤지펀드 회사 자문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중국과의 유착문제
하버드 대학은 최근 중국과 너무 밀착하다 망신살이 뻗쳤다. 대학이 특정 국가와 너무 밀착하면 그 국가의 간섭으로 학문의 자유도 침해받고, 독립성도 훼손된다는 생생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고 지성의 전당이라는 하버드가 중국 공산당 전체주의 지도자 양성기관으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면할 수 없게 되었다. 과거 나치에 부역했던 독일 대학들의 전철을 밟고 있는 것인가?[3]
하버드 대학의 막대한 중국 지원금 수령 논란
중국공산당은 미국 대학들에게 10억불 가량을 살포했는데 이중 하버드 대학이 1억불 가까이 받았다고 한다.
- 1900년과 2020년/"영토할양으로 배상해야"/달라지는 미국대학 박상후의 문명개화 2020. 5. 7.
하버드 대학의 코로나 지원금 수령 논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대가 코로나19 지원금을 수령했다고 비판하였다. 그러자 하버드대는 연방 지원금 870만 달러(한화 약 100억 원)를 받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는 하버드대가 막대한 기부금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해당 지원금은 소상공인과 근로자를 위한 것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하버드대는 애초 이 지원금을 재정적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에게 전액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정치적 논란을 우려하여 결국 지원금을 반납하기로 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스탠퍼드대와 프린스턴대 등 다른 부유한 대학들도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 Harvard won't 'seek or accept' federal stimulus money after calls from Trump to return cash Fox News 2020.04.22
- Trump says he'll ask Harvard to return coronavirus relief money Fox News 2020.04.22
- Charles Payne blasts Harvard for taking COVID-19 relief funds Fox News 2020.04.22
하버드 대학과 중국 공산당의 유착
- ‘총장 감염’ 하버드대 공공정책 대학원, 中 공산당 간부 1천명 배출한 ‘제2 당교’ 에포크타임스 2020년 3월 31일
![]() 하버드대 배카우 총장의 시진핑 중공 총서기 접견을 보도한 2019년 3월 21일자 인민일보 1면,
화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 자신이 힘있고 자신감 넘친다고 생각하면 쩍벌 자세로 의자에 걸터앉게 된다. 반대이 자신보다 상대방이 높은 사람이거나 잘 보여야할 상대라고 생각하면 다리를 가지런히 모으고 손을 무릍위에 올려놓는 ㅏ세를 취한다. |
배카우 총장은 취임 후 첫 해외 순방지로 중국을 방문하여 시진핑 총서기를 찾아가 조아리는 모습이 중국 인민일보에 공개가 되면서 의구심을 들 갖게하고 있다.
특히 하버드대 케네디 스쿨은 지난 20년간 천 명 이상의 중국 공산당 간부를 교육하며 '제2의 당교'라는 별칭을 얻기도 하였다. 또한 미국 법무부가 중국의 '천인계획'과 관련되어 하버드 교수가 체포되는등, 하버드대가 중국의 기술 절도 활동의 표적이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 하버드대 총장 부부, 중공 바이러스 양성 반응 에포크타임스 2020년 3월 25일
- Harvard's president tests positive for coronavirus CNN March 24, 2020
- 中에 포섭된 하버드 교수, 수입액 탈루도 CBS노컷뉴스 2020-07-30
- 중국 공산당 인재 포섭 프로그램 관련 거짓 진술해 1월 기소
- 美 ‘우한 연구소’ 세운 하버드대 교수 체포 조선일보 2020.02.19
- Harvard University Professor and Two Chinese Nationals Charged in Three Separate China Related Cases U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Public Affair, January 28, 2020
- U.S. prosecutor leading China probe explains effort that led to charges against Harvard chemist Science Magazine Feb. 3, 2020
- Harvard chemistry chief’s arrest over China links shocks researchers Nature 03 FEBRUARY 2020
- Nanoscientist Charles Lieber allegedly lied about his involvement in China’s Thousand Talents Plan.
- Harvard Professor's Arrest Raises Questions About Scientific Openness npr February 19, 2020
- 하버드에서 무슨일이! 박상후의 문명개화 2020. 3. 26.
졸업증명서 위조에 대한 학교의 대응
- 하버드대학교는 미국내에서도 허위학위 위조 사건이 많다보니 졸업과 동시에 성적증명서를 같이 제공하고 있다.
- 최근에는 성적증명사까지 위조를 하다보니 학위증이나 성적증명서에도 학교당국의 직인이 찍히고 공증까지 받는다고 한다.
- 2022년 학교당국은 복수전공에 대한 니즈가 있다보니 복수전공을 한다는 뉴스가 미국언론에 나왔다. 그러니까 2022년 이전에는 북수전공자체가 없다는 것이다.이봉규TV / 폴리티코 정치언구소장
평가
하버드 대학교는 아이비 리그에 소속된 미국의 최상위 명문 사립 대학교중의 하나 이다.
학교명 | School | U.S. News[4] | Forbes[5] | WSJ/THE[6] |
---|---|---|---|---|
다트머스 칼리지 | Dartmouth | 13 | 11 | 13 |
예일 대학교 | Yale | 5 | 2 | 4 |
컬럼비아 대학교 | Columbia | 2 | 5 | 16 |
코넬 대학교 | Cornell | 17 | 13 | 11 |
유펜 대학교 | University of Pennsylvania | 8 | 9 | 12 |
브라운 대학교 | Brown | 14 | 26 | 6 |
프린스턴 대학교 | Princeton | 1 | 3 | 8 |
하버드 대학교 | Harvard | 2 | 7 | 1 |
출신인물
- 존 애덤스 - 미국 제2대 대통령
- 존 퀸시 애덤스 - 미국 제6대 대통령
- 러더퍼드 B. 헤이스 - 미국 제19대 대통령
- 시어도어 루스벨트 - 미국 제26대 대통령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미국 제32대 대통령
- 존 F. 케네디 - 미국 제35대 대통령
- 버락 오바마 - 미국 제44대 대통령
- 앨 고어 - 미국 제45대 부통령
아이비 리그
아이비 리그 |
|
---|---|
1636년 |
하버드 대학교 Harvard University |
1701년 |
예일 대학교 Yale University |
1746년 |
프린스톤 대학교 Princeton University |
1754년 |
컬럼비아 대학교 Columbia University |
1755년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University of Pennsylvania |
1764년 |
브라운 대학교 Brown University |
1769년 |
다트머스 대학교 Dartmouth Colleg |
1865년 |
코넬 대학교 Cornell University |
함께 보기
각주
- ↑ 자세한 사용법은 틀:학교정보 대학교 참조.
-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5/18/2007051800612.html
- ↑ 이본 셰라트 저, 김민수 역, 히틀러의 철학자들 - 철학은 어떻게 정치의 도구로 변질되는가? 여름언덕 2014-05-31
- ↑ 2022년
- ↑ 2021년
- ↑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