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이승만]]'''이 1946년 6월 3일 전라북도 정읍에서 남한만의 임시정부라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을 처음 제기한 발언이다. 당시 북한에는 사실상의 정부조직인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출범하고, 공산화 정책인 무상몰수의 토지개혁 등을 이미 단행했으며, 서울서 열린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는 등 분단이 이미 현실화 되어가고 있을 때였다. 하지만 누구도 공개적으로 그런 발언을 하기는 꺼려할 때였고, '''[[이승만]]'''은 그 발언 때문에 비판도 많이 받았다. 오늘날 종북화된 역사학계에서는 그 발언으로 분단의 주범으로 몰리기도 한다.
'''[[이승만]]'''이 1946년 6월 3일 전라북도 정읍에서 남한 단독의 임시정부라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을 처음 제기한 발언이다. 당시 북한에는 사실상의 정부조직인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출범하고, 공산화 정책인 [[북한의 토지개혁|무상몰수의 토지개혁]] 등을 이미 단행했으며, 서울서 열린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는 등 분단이 이미 현실화 되어가고 있을 때였다. 하지만 누구도 공개적으로 그런 발언을 하기는 꺼려할 때였고, '''[[이승만]]'''은 그 발언 때문에 비판도 많이 받았다. 오늘날 종북화된 역사학계에서는 그 발언으로 분단의 주범으로 몰리기도 한다.


==발언 당시의 상황==
==발언 당시의 상황==
'''[[이승만]]'''의 발언 당시 북한에서는 1946년 2월 9일 사실상의 정부조직인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출범하고, 3월 5일에 공산화 정책인 무상몰수의 토지개혁 등을 이미 단행했다. 5월에는 서울에서 열린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는 등 분단이 이미 현실화 되어가고 있을 때였다. [[소련]]이 북한에 단독의 공산정권을 세우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을 때이므로, 이러한 현실에서 남한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을 뿐이다. 당시 '''[[이승만]]'''은 유력 정치인 중의 한명일 뿐 [[김일성]]처럼 권력을 가진 당사자도 아니었기 때문에 단순한 개인적 의견을 말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미군정청도 그 발언에 반대의사를 표명했으므로 미군정의 정책으로 받아들여진 것도 아니다. 후일에 '''[[이승만]]'''이 대통령이 된 것을 이용하여 좌파 역사학자들이 발언 당시도 '''[[이승만]]'''이 그러한 지위에 있었던 것처럼 속이며, '''[[이승만]]'''의 발언 때문에 분단이 된 것처럼 그를 분단의 주범으로 몰아가는 것은 넌센스이다.
'''[[이승만]]'''의 발언 당시 북한에서는 1946년 2월 9일 사실상의 정부조직인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출범하고, 3월 5일에 공산화 정책인 [[북한의 토지개혁|무상몰수의 토지개혁]] 등을 이미 단행했다.<ref name="nk">[http://db.history.go.kr/item/front.do?levelId=ch_008&frontTitle=%ED%95%B4%EC%84%A4%EB%AA%A9%EB%A1%9D&elName=commentary&elType=%ED%95%B4%EC%84%A4%EB%AA%A9%EB%A1%9D 북한연표 해설목록] 국사편찬위원회</ref> 5월에는 서울에서 열린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는 등 분단이 이미 현실화 되어가고 있을 때였다. [[소련]]이 북한에 단독의 공산정권을 세우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을 때이므로, 이러한 현실에서 남한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을 뿐이다. 당시 '''[[이승만]]'''은 유력 정치인 중의 한명일 뿐 [[김일성]]처럼 권력을 가진 당사자도 아니었기 때문에 단순한 개인적 의견을 말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미군정청도 그 발언에 반대의사를 표명했으므로 미군정의 정책으로 받아들여진 것도 아니다. 후일에 '''[[이승만]]'''이 대통령이 된 것을 빌미로 좌파 역사학자들이 교묘하게 발언 당시에도 '''[[이승만]]'''이 마치 권력자였던 것으로 혼동하도록 하여, '''[[이승만]]'''의 정읍 발언 때문에 분단이 된 것처럼 그를 분단의 주범으로 몰아가는 것은 넌센스이다.


미군정은 이승만보다는 김규식과 여운형의 좌우합작 정권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했으나, 1947년 7월 19일 여운형이 암살되어 수포로 돌아가고, 그 무렵 열렸던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마저 아무런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결렬되자, 정부수립 문제를 UN으로 가져가게 되므로, 이승만의 정읍 발언은 이후의 정국 추이에 실제로는 아무 영향도 주지 못했다.
미군정은 이승만보다는 [[김규식]]과 [[여운형]]의 좌우합작 정권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했으나, 1947년 7월 19일 여운형이 암살되어 수포로 돌아가고, 그 무렵 열렸던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마저 아무런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결렬되자, 정부수립 문제를 UN으로 가져가게 되므로, 이승만의 정읍 발언은 이후의 정국 추이에 실제로는 아무 영향도 주지 못했다.
 
===좌파들의 이중성===
당시 북한은 이미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임시인민위원회]]라는 단독의 임시 정부가 조직되어 있었는데도<ref name="prov"/> 좌파들은 이것은 문제삼지 않고, 소련군은 조선인([[김일성]])을 내세워 북한을 간접통치한 반면에 미군은 자신들이 남한을 직접통치를 했으니 나쁘다고 주장한다. 이는 결국 소련이 북한에 단독의 임시정부를 만든 것은 칭찬할 일이고, 그렇게 하지 않은 미군은 나쁘다는 말이다.
 
이런 논리대로라면 미군도 남조선 단독의 임시정부를 세우고 조선인을 내세워 간접통치를 했어야 하므로, 이승만의 정읍 발언은 그런 것을 요구한 것이니 오히려 칭찬받을 일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도 남한 단독의 임시정부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는 현실화 되지도 않은 이승만의 발언만 문제삼아 그를 분단의 원흉으로 모는 것은 그냥 미군과 [[이승만]]은 무조건 싫다는 말을 에둘러 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북한은 1947년 2월말 임시라는 말도 떼어내고 '''[[북조선인민위원회]]'''로 바꾸었다.<ref name="nk"/> 이는 임시가 아닌 공식 정부로 탈바꿈했다는 의미이다.


==언론에 보도된 발언의 내용==
==언론에 보도된 발언의 내용==


* [http://db.history.go.kr/id/dh_002_1946_06_03_0080 이승만, 정읍환영강연회에서 단정수립 필요성 주장 (李承晩, 井邑歡迎講演會에서 單政樹立 必要性 主張) : 1946년 06월 03일] 서울신문 1946년 06월 04일
* [http://db.history.go.kr/id/dh_002_1946_06_03_0080 이승만, 정읍환영강연회에서 단정수립 필요성 주장 (李承晩, 井邑歡迎講演會에서 單政樹立 必要性 主張) : 1946년 06월 03일] 서울신문 1946년 06월 04일<ref>[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srchTarget=total&pageNum=1&pageSize=10&kwd=LG+%EC%83%81%EB%82%A8%EC%9E%AC%EB%8B%A8+%EC%84%9C%EC%9A%B8%EC%8B%A0%EB%AC%B8#viewKey=54505003&viewType=AH2&category=%EC%8B%A0%EB%AC%B8&pageIdx=1&jourId= 서울신문 (1945년8월15일-1950년6월27일)] 서울: LG상남언론재단, 2005 [권두표제: 해방공간 4대신문 1945년8월15일-1950년6월27일]</ref><ref>[https://dlps.nanet.go.kr/SearchDetailView.do?cn=SERL1000015428 해방공간 4대신문] 서울: LG상남언론재단, 2005 (국회도서관)</ref>
[[파일:1946-06-03 이승만 정읍발언.jpg|290픽셀|섬네일|오른쪽|이승만의 정읍발언을 보도한 1946-06-05 서울신문 기사]]
[[파일:1946-02-08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성립 경축 대회.jpg|290픽셀|섬네일|오른쪽|소련군정은 1946년 2월 9일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를 발족시켰다.<ref name="prov">[http://contents.history.go.kr/mfront/ti/view.do?treeId=evn_060&levelId=ti_030_0250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 우리역사넷, 국사편찬위원회</ref> 사진의 현수막에 "(임시인민위원회)는 우리에 政府(정부)이다."라고 씌어 있다. 북한은 이미 단독의 임시정부를 만들어 토지개혁까지 실행했어도 소련은 남한을 직접 통치한 미국과 달리 조선인(김일성)을 내세워 간접통치를 했다고 찬양받는다. 하지만, 이승만은 남한 단독의 임시정부가 필요하다고 한 그의 발언이 실현되지도 않았는데도 분단의 원흉으로 몰린다. 이것이 한국 학계의 수준이다.]]
 
{{인용문|'''이승만, 정읍환영강연회에서 단정수립 필요성 주장''' (李承晩, 井邑歡迎講演會에서 單政樹立 必要性 主張) : 1946년 06월 03일<br>
{{인용문|'''이승만, 정읍환영강연회에서 단정수립 필요성 주장''' (李承晩, 井邑歡迎講演會에서 單政樹立 必要性 主張) : 1946년 06월 03일<br>


井邑歡迎講演會에 임석한 李承晩은 共委再開의 가망이 없는 경우의 南朝鮮臨時政府樹立과 民族主義統一機關設置에 관하여 주목되는 연설을 하였는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br>
정읍 환영 강연회(井邑歡迎講演會)에 임석한 이승만 박사(李承晩 博士)는 공위 재개(共委 再開)의 가망이 없는 경우의 남조선 임시정부 수립(南朝鮮臨時政府樹立)과 민족주의 통일기관 설치(民族主義統一機關設置)에 관하여 주목되는 연설을 하였는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br>
“이제 우리는 무기휴회된 共委가 재개될 기색도 보이지 않으며 統一政府를 고대하나 여의케 되지 않으니 우리는 南方만이라도 臨時政府 혹은 委員會 같은 것을 조직하여 38이북에서 蘇聯이 철퇴하도록 세계공론에 호소하여야 될 것이니 여러분도 결심하여야 될 것이다. 그리고 民族統一機關設置에 대하여 지금까지 노력하여 왔으나 이번에는 우리 민족의 대표적 統一機關을 歸京한 후 즉시 설치하게 되었으니 각 지방에 있어서도 中央의 지시에 순응하여 조직적으로 활동하여 주기 바란다.”<br>《서울신문 1946년 06월 04일》}}
“이제 우리는 무기 휴회된 공위(共委)가 재개될 기색도 보이지 않으며 통일정부(統一政府)를 고대하나 여의케 되지 않으니 우리는 남방(南方)만이라도 임시정부(臨時政府) 혹은 위원호(委員會) 같은 것을 조직하여 38 이북에서 소련(蘇聯)이 철퇴하도록 세계공론에 호소하여야 될 것이니 여러분도 결심하여야 될 것이다. 그리고 민족통일기관 설치(民族統一機關設置)에 대하여 지금까지 노력하여 왔으나 이번에는 우리 민족의 대표적 통일기관(統一機關)을 귀경(歸京)한 후 즉시 설치하게 되었으니 각 지방에 있어서도 중앙(中央)의 지시에 순응하여 조직적으로 활동하여 주기 바란다.”<br>《서울신문 1946년 06월 04일》<br>
 
<i>공위(共委) : [[미소공동위원회|미소공동위원회(美蘇共同委員會)]]</i>}}
다른 신문의 보도
* [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63247085 民族統一機關을 設置, 全州서 李承晩博士講演.] 獨立新報 1946년 06월 05일 1면
* [http://db.history.go.kr/id/npfp_1946_06_05_v0001_0030 대표적 민족통일 기관을, 李承晩 박사 井邑서 중대 강연] 자유신문 1946년 06월 05일 1면
* [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65299029 民族分裂의 單獨政府, 李承晩博士井邑서 大衆에 絶叫.] 중앙신문, 1946.06.05


다른 신문들도 유사한 내용의 보도를 했으나, 신문의 좌우파 정치적 성향에 따라 논조는 차이를 보인다.<ref>[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63247085 民族統一機關을 設置, 全州서 李承晩博士講演.] 獨立新報 1946년 06월 05일 1면</ref><ref>[http://db.history.go.kr/id/npfp_1946_06_05_v0001_0030 대표적 민족통일 기관을, 李承晩 박사 井邑서 중대 강연] 자유신문 1946년 06월 05일 1면</ref><ref>[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65299029 民族分裂의 單獨政府, 李承晩博士井邑서 大衆에 絶叫.] 중앙신문, 1946.06.05</ref>




* [http://db.history.go.kr/id/dh_002_1946_06_04_0090 이승만, 남조선단정설에 관해 기자회견 : 1946년 06월 04일] 서울신문 1946년 06월 06일   
* [http://db.history.go.kr/id/dh_002_1946_06_04_0090 이승만, 남조선단정설에 관해 기자회견 : 1946년 06월 04일] 서울신문 1946년 06월 06일   
{{인용문|'''이승만, 남조선단정설에 관해 기자회견''' : 1946년 06월 04일<br>   
{{인용문|'''이승만, 남조선 단정설(南朝鮮單政說)에 관해 기자회견''' : 1946년 06월 04일<br>   


'''[[李承晩]]'''은 4일 하오 3시 반 기자단과 회견하고 작일 井邑에서 행한 연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1문 1답을 하였다.<br>
'''[[이승만|이승만(李承晩)]]'''은 4일 하오 3시 반 기자단과 회견하고 작일 정읍(井邑)에서 행한 연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1문 1답을 하였다.<br>
(問) 작일 井邑에서 연설한 가운데 南朝鮮만의 政府 云云의 말이 있었는데 그것은 南朝鮮單獨政府樹立을 의미하는 것인가?<br>
(問) : 작일 정읍(井邑)에서 연설한 가운데 남조선(南朝鮮)만의 정부(政府) 운운(云云)의 말이 있었는데 그것은 남조선 단독정부 수립(南朝鮮單獨政府樹立)을 의미하는 것인가?<br>
(答) 내 생각으로 말한 것인데 南方에서 만이라도 무슨 조직이 있기를 一般民衆이 희망하고 있다.<br>
(答) : 내 생각으로 말한 것인데 남방(南方)에서 만이라도 무슨 조직이 있기를 일반민중(一般民衆)이 희망하고 있다.<br>
(問) 금반 歸京하여 民族統一機關을 설치한다 하였는데 구성은 어떠한가?<br>
(問) : 금반 귀경(歸京)하여 민족통일기관(民族統一機關)을 설치한다 하였는데 구성은 어떠한가?<br>
(答) 작년 10월에는 72단체를 합동해서 統一을 형성하였던 것인데 그 후에 새 단체가 생겨서 원만한 결과를 보지 못하므로 부득이하여 다시 協議的으로 統一戰線의 성취를 희망한다.<br>《서울신문 1946년 06월 06일》}}
(答) : 작년 10월에는 72단체를 합동해서 통일(統一)을 형성하였던 것인데 그 후에 새 단체가 생겨서 원만한 결과를 보지 못하므로 부득이하여 다시 협의적(協議的)으로 통일전선(統一戰線)의 성취를 희망한다.<br>《서울신문 1946년 06월 06일》}}


==미군정청의 대응 발언==
==미군정청의 대응 발언==
당시의 미군정장관 [http://www.usmilitariaforum.com/forums/index.php?/topic/65621-portrait-of-a-us-army-major-general-korean-war-era/ 러취(Archer Lynn Lerch, 1894 – 1947)] 소장은 이승만 발언이 나온 며칠 후의 기자회견에서 남조선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다고 명백히 밝혔다. 미군정이 그럴 의사가 없다고 했는데 당시 실권자도 아닌 이승만이 무슨 힘으로 남북을 분단시켰다는 것인지 알 수 없다.


* [http://db.history.go.kr/id/dh_002_1946_06_11_0110 러취, 이승만의 단정설 등 당면문제에 대해 기자회견 : 1946년 06월 11일] 서울신문 1946년 06월 11일
* [http://db.history.go.kr/id/dh_002_1946_06_11_0110 러취, 이승만의 단정설 등 당면문제에 대해 기자회견 : 1946년 06월 11일] 서울신문 1946년 06월 11일
{{인용문|'''러취, 이승만의 단정설 등 당면문제에 대해 기자회견''' : 1946년 06월 11일<br>
{{인용문|'''러취, 이승만의 단정설(單政說) 등 당면문제에 대해 기자회견''' : 1946년 06월 11일<br>


軍政長官 러취小將과 軍政廳出入記者團과의 정례회견이 있었는데 그 석상에서 기자단으로부터 (1) '''[[李承晩]]'''博士는 지난 3일 井邑에서 美蘇共同委員會가 무기휴회된 이후 재개될 기색은 보이지 않으므로 남방만이라도 臨時政府 혹은 委員會같은 것을 조직할 것을 언명하였는데, 세칭 民主議院과 軍政當局에서 南朝鮮單獨政府樹立에 관한 계획이 있다고 전하는 이때 民主議院 議長으로서의 李博士의 이러한 강연은 그 계획실현에 어느 단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2) 來 7월 중에 軍政廳 全 行政部門을 전면적으로 朝鮮人에게 이관한다는 말이 있고, 또 현재 行政官으로 있는 美軍將校는 다수 귀국한다는 말이 있는데 長官의 의견은 어떠한가 라는 질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응답하였다.<br>
군정장관(軍政長官) 러취 소장(小將)과 군정청 출입기자단(軍政廳出入記者團)과의 정례회견이 있었는데 그 석상에서 기자단으로부터 (1) '''[[이승만|이승만(李承晩)]]'''박사(博士)는 지난 3일 정읍(井邑)에서 [[미소공동위원회|미소공동위원회(美蘇共同委員會)]]가 무기 휴회된 이후 재개될 기색은 보이지 않으므로 남방만이라도 임시정부(臨時政府) 혹은 위원회(委員會) 같은 것을 조직할 것을 언명하였는데, 세칭 민주의원(民主議院)과 군정당국(軍政當局)에서 남조선 단정 수립(南朝鮮單獨政府樹立)에 관한 계획이 있다고 전하는 이때 민주의원(民主議院) 의장(議長)으로서의 이박사(李博士)의 이러한 강연은 그 계획실현에 어느 단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2) 來 7월 중에 군정청(軍政廳) 전 행정부문(行政部門)을 전면적으로 조선인(朝鮮人)에게 이관한다는 말이 있고, 또 현재 행정관(行政官)으로 있는 미군장교(美軍將校)는 다수 귀국한다는 말이 있는데 장관(長官)의 의견은 어떠한가 라는 질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응답하였다.<br>
나는 李博士가 어떠한 말을 하였는지는 모른다. 만일 李博士가 南朝鮮에 따로 정부를 세워야 된다고 하였다면 그것은 그의 입장에서 한 말이고, 軍政廳을 위해서 한 말은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직접 李博士에게 물어보는 것이 좋을 줄로 생각한다. 나는 軍政長官으로서 南朝鮮單獨政府樹立에 대해서는 전연 반대한다.<br>
나는 이박사(李博士)가 어떠한 말을 하였는지는 모른다. 만일 이박사(李博士)가 남조선(南朝鮮)에 따로 정부를 세워야 된다고 하였다면 그것은 그의 입장에서 한 말이고, 군정청(軍政廳)을 위해서 한 말은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직접 이박사(李博士)에게 물어보는 것이 좋을 줄로 생각한다. '''<i>나는 군정장관(軍政長官)으로서 남조선 단독정부 수립(南朝鮮單獨政府樹立)에 대해서는 전연 반대한다.</i>'''<br>
내가 아는 한에는 이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 계획도 없다는 것 이에는 아무 것도 근거없는 말이다. 그리고 내가 着任한 이래 美軍將校는 늘 감원되어 왔다. 나는 朝鮮人이 맡아볼 수 있는 일은 전부 朝鮮人에게 맡기라는 지시를 내렸다. 앞으로도 美軍將校의 歸國이 점차로 늘겠으나 일시에 復員될 수는 없으며 일방 美國으로부터 그리 많지는 않으나 來朝할 사람도 있겠으므로 그것은 誤說이다.<br>《서울신문 1946년 06월 11일》
내가 아는 한에는 이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 계획도 없다는 것 이외에는 아무 것도 근거없는 말이다. 그리고 내가 착임(着任)한 이래 미군장교(美軍將校)는 늘 감원되어 왔다. 나는 조선인(朝鮮人)이 맡아볼 수 있는 일은 전부 조선인(朝鮮人)에게 맡기라는 지시를 내렸다. 앞으로도 미군장교(美軍將校)의 귀국(歸國)이 점차로 늘겠으나 일시에 복원(復員)될 수는 없으며 일방 미국(美國)으로부터 그리 많지는 않으나 내조(來朝)할 사람도 있겠으므로 그것은 오설(誤說)이다.<br>《서울신문 1946년 06월 11일》
}}
}}
[http://www.usmilitariaforum.com/forums/index.php?/topic/65621-portrait-of-a-us-army-major-general-korean-war-era/ 러취(Archer Lynn Lerch, 1894 – 1947)] 소장은 1945년 12월 18일 ~ 1947년 9월 11일 기간에 미군정청 제2대 장관으로 재직했으며, 재임중 작고했다.<ref>[https://prabook.com/web/archer_lynn.lerch/1094085 Archer Lynn Lerch] army officer , Judge Advocate General’s Department</ref><ref>[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Army_Provost_Marshal_General United States Army Provost Marshal General] Wikipedia</ref><ref>[https://ko.wikipedia.org/wiki/%EC%9E%AC%EC%A1%B0%EC%84%A0%EB%AF%B8%EC%9C%A1%EA%B5%B0%EC%82%AC%EB%A0%B9%EB%B6%80%EA%B5%B0%EC%A0%95%EC%B2%AD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위키백과</ref>


==후대의 평가==
 
==남북 분단의 실제 과정==
 
소련은 1945년 9월 20일자의 스탈린 지령문에 따라 북한에 단독의 정부를 세우는 작업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었다. 이후의 모스크바 3상회의 신탁통치 결정이나 신탁통치 찬반 투쟁,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 등은 남한과 미군정이 소련의 기만적 협상술에 말려든 것이다.
 
* [[스탈린 지령문]]
* [[남북분단의 현실화 과정]]
 
 
==외부 링크==
* [https://news.joins.com/article/3229251 이승만 '정읍발언'은 소련 전략 꿰뚫은 현실적 대응] - 중앙일보 2008.07.18 종합 5면
* [https://news.joins.com/article/3229251 이승만 '정읍발언'은 소련 전략 꿰뚫은 현실적 대응] - 중앙일보 2008.07.18 종합 5면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452 정읍발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452 정읍발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한국사]] [[분류:근현대사]] [[분류:이승만]] [[분류:통일]] [[분류:비판]]
==각주==
<references/>
 
[[분류:한국사]] [[분류:근현대사]] [[분류:이승만]] [[분류:통일]] [[분류:비판]] [[분류:역사왜곡]] [[분류:미군정기]]

2022년 6월 14일 (화) 14:20 기준 최신판

이승만이 1946년 6월 3일 전라북도 정읍에서 남한 단독의 임시정부라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을 처음 제기한 발언이다. 당시 북한에는 사실상의 정부조직인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출범하고, 공산화 정책인 무상몰수의 토지개혁 등을 이미 단행했으며, 서울서 열린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는 등 분단이 이미 현실화 되어가고 있을 때였다. 하지만 누구도 공개적으로 그런 발언을 하기는 꺼려할 때였고, 이승만은 그 발언 때문에 비판도 많이 받았다. 오늘날 종북화된 역사학계에서는 그 발언으로 분단의 주범으로 몰리기도 한다.

발언 당시의 상황

이승만의 발언 당시 북한에서는 1946년 2월 9일 사실상의 정부조직인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출범하고, 3월 5일에 공산화 정책인 무상몰수의 토지개혁 등을 이미 단행했다.[1] 5월에는 서울에서 열린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는 등 분단이 이미 현실화 되어가고 있을 때였다. 소련이 북한에 단독의 공산정권을 세우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을 때이므로, 이러한 현실에서 남한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을 뿐이다. 당시 이승만은 유력 정치인 중의 한명일 뿐 김일성처럼 권력을 가진 당사자도 아니었기 때문에 단순한 개인적 의견을 말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미군정청도 그 발언에 반대의사를 표명했으므로 미군정의 정책으로 받아들여진 것도 아니다. 후일에 이승만이 대통령이 된 것을 빌미로 좌파 역사학자들이 교묘하게 발언 당시에도 이승만이 마치 권력자였던 것으로 혼동하도록 하여, 이승만의 정읍 발언 때문에 분단이 된 것처럼 그를 분단의 주범으로 몰아가는 것은 넌센스이다.

미군정은 이승만보다는 김규식여운형의 좌우합작 정권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했으나, 1947년 7월 19일 여운형이 암살되어 수포로 돌아가고, 그 무렵 열렸던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마저 아무런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결렬되자, 정부수립 문제를 UN으로 가져가게 되므로, 이승만의 정읍 발언은 이후의 정국 추이에 실제로는 아무 영향도 주지 못했다.

좌파들의 이중성

당시 북한은 이미 임시인민위원회라는 단독의 임시 정부가 조직되어 있었는데도[2] 좌파들은 이것은 문제삼지 않고, 소련군은 조선인(김일성)을 내세워 북한을 간접통치한 반면에 미군은 자신들이 남한을 직접통치를 했으니 나쁘다고 주장한다. 이는 결국 소련이 북한에 단독의 임시정부를 만든 것은 칭찬할 일이고, 그렇게 하지 않은 미군은 나쁘다는 말이다.

이런 논리대로라면 미군도 남조선 단독의 임시정부를 세우고 조선인을 내세워 간접통치를 했어야 하므로, 이승만의 정읍 발언은 그런 것을 요구한 것이니 오히려 칭찬받을 일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도 남한 단독의 임시정부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는 현실화 되지도 않은 이승만의 발언만 문제삼아 그를 분단의 원흉으로 모는 것은 그냥 미군과 이승만은 무조건 싫다는 말을 에둘러 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북한은 1947년 2월말 임시라는 말도 떼어내고 북조선인민위원회로 바꾸었다.[1] 이는 임시가 아닌 공식 정부로 탈바꿈했다는 의미이다.

언론에 보도된 발언의 내용

이승만의 정읍발언을 보도한 1946-06-05 서울신문 기사
소련군정은 1946년 2월 9일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를 발족시켰다.[2] 사진의 현수막에 "(임시인민위원회)는 우리에 政府(정부)이다."라고 씌어 있다. 북한은 이미 단독의 임시정부를 만들어 토지개혁까지 실행했어도 소련은 남한을 직접 통치한 미국과 달리 조선인(김일성)을 내세워 간접통치를 했다고 찬양받는다. 하지만, 이승만은 남한 단독의 임시정부가 필요하다고 한 그의 발언이 실현되지도 않았는데도 분단의 원흉으로 몰린다. 이것이 한국 학계의 수준이다.
이승만, 정읍환영강연회에서 단정수립 필요성 주장 (李承晩, 井邑歡迎講演會에서 單政樹立 必要性 主張) : 1946년 06월 03일

정읍 환영 강연회(井邑歡迎講演會)에 임석한 이승만 박사(李承晩 博士)는 공위 재개(共委 再開)의 가망이 없는 경우의 남조선 임시정부 수립(南朝鮮臨時政府樹立)과 민족주의 통일기관 설치(民族主義統一機關設置)에 관하여 주목되는 연설을 하였는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이제 우리는 무기 휴회된 공위(共委)가 재개될 기색도 보이지 않으며 통일정부(統一政府)를 고대하나 여의케 되지 않으니 우리는 남방(南方)만이라도 임시정부(臨時政府) 혹은 위원호(委員會) 같은 것을 조직하여 38 이북에서 소련(蘇聯)이 철퇴하도록 세계공론에 호소하여야 될 것이니 여러분도 결심하여야 될 것이다. 그리고 민족통일기관 설치(民族統一機關設置)에 대하여 지금까지 노력하여 왔으나 이번에는 우리 민족의 대표적 통일기관(統一機關)을 귀경(歸京)한 후 즉시 설치하게 되었으니 각 지방에 있어서도 중앙(中央)의 지시에 순응하여 조직적으로 활동하여 주기 바란다.”
《서울신문 1946년 06월 04일》

공위(共委) : 미소공동위원회(美蘇共同委員會)

다른 신문들도 유사한 내용의 보도를 했으나, 신문의 좌우파 정치적 성향에 따라 논조는 차이를 보인다.[5][6][7]


이승만, 남조선 단정설(南朝鮮單政說)에 관해 기자회견 : 1946년 06월 04일

이승만(李承晩)은 4일 하오 3시 반 기자단과 회견하고 작일 정읍(井邑)에서 행한 연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1문 1답을 하였다.
문(問) : 작일 정읍(井邑)에서 연설한 가운데 남조선(南朝鮮)만의 정부(政府) 운운(云云)의 말이 있었는데 그것은 남조선 단독정부 수립(南朝鮮單獨政府樹立)을 의미하는 것인가?
답(答) : 내 생각으로 말한 것인데 남방(南方)에서 만이라도 무슨 조직이 있기를 일반민중(一般民衆)이 희망하고 있다.
문(問) : 금반 귀경(歸京)하여 민족통일기관(民族統一機關)을 설치한다 하였는데 구성은 어떠한가?

답(答) : 작년 10월에는 72단체를 합동해서 통일(統一)을 형성하였던 것인데 그 후에 새 단체가 생겨서 원만한 결과를 보지 못하므로 부득이하여 다시 협의적(協議的)으로 통일전선(統一戰線)의 성취를 희망한다.
《서울신문 1946년 06월 06일》

미군정청의 대응 발언

당시의 미군정장관 러취(Archer Lynn Lerch, 1894 – 1947) 소장은 이승만 발언이 나온 며칠 후의 기자회견에서 남조선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다고 명백히 밝혔다. 미군정이 그럴 의사가 없다고 했는데 당시 실권자도 아닌 이승만이 무슨 힘으로 남북을 분단시켰다는 것인지 알 수 없다.

러취, 이승만의 단정설(單政說) 등 당면문제에 대해 기자회견 : 1946년 06월 11일

군정장관(軍政長官) 러취 소장(小將)과 군정청 출입기자단(軍政廳出入記者團)과의 정례회견이 있었는데 그 석상에서 기자단으로부터 (1) 이승만(李承晩)박사(博士)는 지난 3일 정읍(井邑)에서 미소공동위원회(美蘇共同委員會)가 무기 휴회된 이후 재개될 기색은 보이지 않으므로 남방만이라도 임시정부(臨時政府) 혹은 위원회(委員會) 같은 것을 조직할 것을 언명하였는데, 세칭 민주의원(民主議院)과 군정당국(軍政當局)에서 남조선 단정 수립(南朝鮮單獨政府樹立)에 관한 계획이 있다고 전하는 이때 민주의원(民主議院) 의장(議長)으로서의 이박사(李博士)의 이러한 강연은 그 계획실현에 어느 단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2) 來 7월 중에 군정청(軍政廳) 전 행정부문(全 行政部門)을 전면적으로 조선인(朝鮮人)에게 이관한다는 말이 있고, 또 현재 행정관(行政官)으로 있는 미군장교(美軍將校)는 다수 귀국한다는 말이 있는데 장관(長官)의 의견은 어떠한가 라는 질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응답하였다.
나는 이박사(李博士)가 어떠한 말을 하였는지는 모른다. 만일 이박사(李博士)가 남조선(南朝鮮)에 따로 정부를 세워야 된다고 하였다면 그것은 그의 입장에서 한 말이고, 군정청(軍政廳)을 위해서 한 말은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직접 이박사(李博士)에게 물어보는 것이 좋을 줄로 생각한다. 나는 군정장관(軍政長官)으로서 남조선 단독정부 수립(南朝鮮單獨政府樹立)에 대해서는 전연 반대한다.

내가 아는 한에는 이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 계획도 없다는 것 이외에는 아무 것도 근거없는 말이다. 그리고 내가 착임(着任)한 이래 미군장교(美軍將校)는 늘 감원되어 왔다. 나는 조선인(朝鮮人)이 맡아볼 수 있는 일은 전부 조선인(朝鮮人)에게 맡기라는 지시를 내렸다. 앞으로도 미군장교(美軍將校)의 귀국(歸國)이 점차로 늘겠으나 일시에 복원(復員)될 수는 없으며 일방 미국(美國)으로부터 그리 많지는 않으나 내조(來朝)할 사람도 있겠으므로 그것은 오설(誤說)이다.
《서울신문 1946년 06월 11일》

러취(Archer Lynn Lerch, 1894 – 1947) 소장은 1945년 12월 18일 ~ 1947년 9월 11일 기간에 미군정청 제2대 장관으로 재직했으며, 재임중 작고했다.[8][9][10]


남북 분단의 실제 과정

소련은 1945년 9월 20일자의 스탈린 지령문에 따라 북한에 단독의 정부를 세우는 작업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었다. 이후의 모스크바 3상회의 신탁통치 결정이나 신탁통치 찬반 투쟁,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 등은 남한과 미군정이 소련의 기만적 협상술에 말려든 것이다.


외부 링크

각주

  1. 1.0 1.1 북한연표 해설목록 국사편찬위원회
  2. 2.0 2.1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 우리역사넷, 국사편찬위원회
  3. 서울신문 (1945년8월15일-1950년6월27일) 서울: LG상남언론재단, 2005 [권두표제: 해방공간 4대신문 1945년8월15일-1950년6월27일]
  4. 해방공간 4대신문 서울: LG상남언론재단, 2005 (국회도서관)
  5. 民族統一機關을 設置, 全州서 李承晩博士講演. 獨立新報 1946년 06월 05일 1면
  6. 대표적 민족통일 기관을, 李承晩 박사 井邑서 중대 강연 자유신문 1946년 06월 05일 1면
  7. 民族分裂의 單獨政府, 李承晩博士井邑서 大衆에 絶叫. 중앙신문, 1946.06.05
  8. Archer Lynn Lerch army officer , Judge Advocate General’s Department
  9. United States Army Provost Marshal General Wikipedia
  10.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