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산사건(獨山事件)은 1933년 6월 5일에 있었던 혜산진(惠山鎭) 경찰서 독산(獨山) 주재소 경관과 대안(對岸) 만주 장백현(長白縣)의 마적(馬賊)으로 추정되는 무장단 50여명 사이에 있었던 교전을 말한다. 경관 3명 전사, 민간인 사망 3명, 중상 4명, 피납 2명 등 피해가 컸다.[1] 조선일보조선중앙일보는 호외를 발행하며 이 사건을 보도했다.[2][3] 이로부터 정확히 4년 후인 1937년 6월 4일 인근에서 보천보 사건이 일어났다.

1933년 6월 21일자 조선신문(朝鮮新聞)의 독산사건(獨山事件) 현장 사진.

당시 국경 지역에는 만주로부터 마적단인지 항일군인지 구분하기도 힘든 무장단의 침입이 헤아릴 수 없이 잦았는데, 그 중에서도 규모가 큰 것이 1934년 1월의 토성습격사건, 1935년 2월의 동흥사건 등이다. 이처럼 유사한 사건이 자주 있었음에도 모두 다 잊혀졌는데, 유독 특별할 것도 없는 보천보 사건만 엄청난 항일 전과로 터무니없이 과대포장되어 알려져 있는 이유는 북한 김일성이 집권 후 잊혀져 있던 이 사건을 끌어내어 자신의 항일업적이라며 대대적으로 선전했기 때문이다. 남한에서도 1990년대 들어 학계가 좌경화되면서 북한의 주장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보천보 사건을 교과서에까지 싣는 한심한 작태를 보이고 있다. 보천보 사건 자체도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지만, 그 사건의 주역 동북항일연군의 1로군 6사장 김일성은 1937년 11월 13일 전사했으며 북한 김일성과는 전혀 다른 사람이다.

이 사건이 일어난 몇달 후 독산에 주재소가 신설되고, 1936년에는 망루(望樓)가 세워진다.

1937년 6월 4일 보천보 사건이 일어났을 때 1935년의 동흥사건과 함께 만4년 전 같은 날 일어났던 독산사건도 거론되었다.

독립사건(獨立事件)이라 잘못 표기했으나 만4년전 1933년 같은 날이라 하여 독산사건(獨山事件)을 말하는 것이 명확하다.

독산(獨山)은 오늘날 양강도 삼지연군 이명수노동자구이다.[4][5]

독산사건(獨山事件)을 보도한 조선신문(朝鮮新聞)1933.06.08 일자 3면 기사.[6]
백두산과 보천보 사이를 확대하면 독산(獨山) 지명이 나옴,

관련 기사 이미지

언론 보도

  1. 惠山鎭對岸(혜산진대안)에도 馬賊部隊(마적부대)가 出現(출현) 1933.06.06 조선일보 조간 2면
  2. 무장단 오십명 출현(武裝團 五十名 出現) 경관 4명(警官 四名)을 살상(殺傷) 조선일보 1933.06.07 석간 2면
    혜산진 관내 독산 대안(惠山鎭 管內 獨山 對岸)에서 오일(五日) 아침 격전(激戰) 끗헤
    호외재록(號外再錄)
  1. 越境(월경)한應援警官隊(응원경관대) 共產軍討伐(공산군토벌)을開始(개시) 長白縣事件(장백현사건)의顚末(전말) 1933.06.07 동아일보 조간 2면
  2. 山上(산상)에서 突然 射擊(돌연 사격) 警官 四名 戰死(경관 4명 전사) 1933.06.07 동아일보 석간 2면
  3. 警官一名絕命(경관일명절명) 1933.06.08 동아일보 석간 2면
  • 조선중앙일보
  1. 국경방면(國境方面)의 무장단(武裝團), 경관대(警官隊)를 포위사격(包圍射擊), 경관 고전(警官苦戰), 전사 6명(戰死六名) 조선중앙일보 1933년 06월 07일 02면
    5일(五日) 함남 혜산진 대안(咸南 惠山鎭 對岸)의 사변(事變)
    호외재록(號外再錄)
  2.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경관대 전멸 상태(警官隊全滅狀態), 혜산진 대안 2호언(惠山鎭 對岸 二號堰)에서의 마적(馬賊)과의 충돌상보(衝突詳報) 조선중앙일보 1933년 06월 08일 02면
  1. 我警官隊賊匪와 交火 三名戰死 一名危篤 人夫三名도 被殺, 一名失踪 國境 니록석 壯烈戰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07일 2면 9단
  2. 衆敵을 相對로 勇敢히 獨山警官奮戰眞相 重傷不屈吉川巡査의 熱血 동료의 품에 안키어 만세부르며 절명 兩洞民壯烈한 죽엄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08일 2면 5단
  3. 獨山서 壯烈戰死한 三警官의 遺骨 금十三일 아침 경성역 도착 눈물 새로운 燒香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14일 2면 6단
  4. 獨山事件現場과 犧牲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23일 7면 6단
  5. 獨山事件犧牲者 合同署葬擧行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25일 7면 6단
  1. 討匪の我警官隊殆んど全滅す, 獨山駐在所員の一行, 白頭山麓の大激戰 경성일보 [京城日報] 1933년 06월 07일 2면 6단
  2. ああ!悲壯な最期ただ萬歲の一言で散る, 國境警備の華吉川巡査, 獨山事件の後聞 경성일보 [京城日報] 1933년 06월 14일 4면 5단
  3. 獨山事件で强い剌戟を與ふ, 國境警備陣は緊張, 丹下警察部長の話 경성일보 [京城日報] 1933년 06월 20일 4면 9단
  4. 大衝動の獨山事件, 厚い同情に遺族も感激 경성일보 [京城日報] 1933년 06월 21일 9면 4단
  5. 獨山事件の現場と犧牲 경성일보 [京城日報] 1933년 06월 21일 9면 3단
  1. 五十餘名の馬賊に警官四名の大苦戰, 遂に三名は壯熱殉職殘る一名は中傷を負ふ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07일 2면 1단
  2. 勇敢に賊團に肉薄, 彈丸を射盡して殪る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07일 2면 1단
  3. 五十餘名の馬賊團に惡戰苦鬪して全滅, 殪れ乍らも『攻擊』を叫ぶ, 獨山駐在所員の悲壯な殉職 조선신문 1933년 06월 08일 2면 1단
  4. 咸鏡南道, 田中高等課長獨山事件で出張, 壯熱なる警察官の殉職, 激烈なるその戰鬪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08일 3면 1단
    土肥茂雄, 吉川正一, 岩崎淸次, 松本源市
  5. 咸鏡南道, 四警官に對し弔慰の電報, 咸興通信聯盟より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09일 3면 1단
  6. 咸鏡南道, 獨山事件後報, 勇敢なる警察官の奮闘長白縣長一行惠山署を訪ひ三戦死者に弔辭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10일 3면 1단
  7. 咸鏡南道, 獨山事件戰死者告別式を擧行, 十一日午後一時より, 丹下警察部長出席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12일 3면 7단
  8. 咸鏡南道, 獨山事件の殉職警察官盛大に署葬執行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14일 4면 8단
  9. 咸鏡南道, 一千餘名の盛大な見送り, 獨山事件殉職警官遺骨十二日咸興通過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15일 4면 11단
  10. 咸鏡南道, 獨山事件と一般被害者戰死三名拉去二名, 負傷者も頗る多い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0일 3면 3단
  11. 咸鏡南道, 咸南對岸でも警戒を嚴に, 獨山事件に鑑みて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1일 4면 8단
  12. 獨山事件の現場 寫眞 조선신문(朝鮮新聞) 1933년 06월 21일 4면 1단
  13. 咸鏡南道, 獨山事件遭難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1일 4면 8단

독산사건 피납자의 마적굴 생환기

1933년 6월 5일의 독산사건 때 침입한 마적에게 납치되어 가서 7개월간 감옥생활을 하다 천신만고 끝에 생환한 김봉철(金鳳哲)씨가 기자에게 털어놓은 마적굴 체험담이 동아일보에 연재되었다.

【九死一生(구사일생)으로 脫出(탈출)한 金鳳哲氏(김봉철씨)의 實談(실담)】

유사한 마적 피납자의 생환기

독산사건과는 무관하지만 동아일보는 몇달 뒤 또다른 마적 피납자 장봉조(張鳳朝)씨의 마적굴 생환담을 실었다. 1933년 7월 27일 장봉조씨를 납치한 자들은 만주국 자위단이 마적화한 경우이다. 마적들도 명분이 필요하니 항일이나 애국을 내세웠다. 이런 점에서 항일구중국(抗日救中國)을 표방하며 약탈, 납치, 살인, 방화를 일삼던 동북항일연군도 다를 바 없었다. 동북인민혁명군이 실제로 다수의 마적단들까지 포섭하여 세력을 확대 개편한 것이 동북항일연군으로 이 때문에 명칭에서 공산주의 색채를 지웠지만, 실제로는 중공당의 영향력이 더 커졌다.

함께 보기

각주

  1. 咸鏡南道, 獨山事件と一般被害者戰死三名拉去二名, 負傷者も頗る多い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0일 3면 3단
  2. 무장단 오십명 출현(武裝團 五十名 出現) 경관 4명(警官 四名)을 살상(殺傷) 조선일보 1933.06.07 석간 2면
    혜산진 관내 독산 대안(惠山鎭 管內 獨山 對岸)에서 오일(五日) 아침 격전(激戰) 끗헤 : 호외재록(號外再錄)
  3. 국경방면(國境方面)의 무장단(武裝團), 경관대(警官隊)를 포위사격(包圍射擊), 경관 고전(警官苦戰), 전사 6명(戰死六名) 조선중앙일보 1933년 06월 07일 02면 : 호외재록(號外再錄)
  4. 양강도 삼지연군 이명수노동자구 개요 - 북한지역정보넷
  5. 獨山 노동자구 -> 이명수 노동자구
    獨山 노동자구
  6. 咸鏡南道, 田中高等課長獨山事件で出張, 壯熱なる警察官の殉職, 激烈なるその戰鬪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08일 3면 1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