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經(불경), 佛典(불전)
영어: Buddhist texts

개요

불경이란 불교의 성전을 말한다. 율, 경, 론이라는 세 가지 분류가 있으며(경은 말그대로 가르침 경전이고, 론이 이에 대한 해설 주석에 해당하고, 율은 승려와 신자가 지켜야 할 계율을 말한다) 이를 바탕으로 삼장(三藏)이라고도 칭한다. (서유기에 나오는 삼장법사라는 건 이 삼장에 모두 능총한 승려를 말한다) 대게 팔리어범어로 작성되었으나 동아시아 각지에서 중국어, 티베트어, 몽골어, 만주어, 서하어 따위로 쓰였거나 이를 바탕으로 다시 산스크리트어로 재번역된 문헌또한 적지 않다.

크게는 원시불교, 대승불교의 구분과 그에 따른 경전이 나뉘어진다. 원시불교 경전으로는 아함경이 대표적이다. (한문으로 번해서 전해지는 아함경과 팔리어로 전해오는 남방불교 경전은 구성은 비슷한 게 많지만 엄밀히 따지면 차이도 많은 편이다) 한편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경정들로는 반야경, 유마경, 열반경, 화엄경, 법화경, 금강경 등이 있다. 대승불교는 서력기원 이후에 대승불교의 교단이 산스크리트어로 편찬한 것으로 석가모니가 직접 말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대승비불설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부처가 직접 설한것이라는 불설과 자주 대비된다.


남방경전 중에서 수타니파타야를 학자에 따라서는 가장 석가모니의 원시적 가르침에 근접한 초창기 형태의 경전이 아닌가 하는 견해도 있다. 문답형식으로 내용 자체가 간결한 편이고, 팔정도 라든지 이런 용어 자체는 안 나오지만,(팔정도, 고집멸도 이런 용어 자체는 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물론 석가모니 가르침에 그런 개념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걸 용어로 정리한 건 엄밀히 말헤서 후대이다) 내용에는 은유적으로 시적 표현을 빌려 이런 불교의 근본 가르침을 초보적이지만 엄연히 그런 개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용 자체는 원시적이고 초보적이며 후대의 불교 용어가 등장하지 않지만,그럼에도 그 안에는 불교의 근본 가르침이 녹아들어 있다.


개신교 등과 같이 엄밀하게 종교회의 투표로 위경 등을 추리거나 하지는 않아서 경전이 방대한 편이다. (가장 방대한 건 반야부다 금강경도 반야부에 속하는데 반야부 경전을 모으면 서가를 가득 채우고 남을 정도로 분량이 많다.화엄경도 내용이 방대하다 그렇기에 승려중에도 반야부 포함 모든 경전을 읽어본 사람은 극소수다 물론 남방불교에서는 대승경전을 인정하지 않는다)위경을 어떻게 정의하는 냐에 따라 다르지만 아예 이건 누가봐도 중국에서 만든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경전은 위경으로 추려내기도 했는데(대표적으로 부모은중경이 있다. 중국에서 만든 경전이지만, 주제가 효이기 때문에 지금도 많이 읽히는 불경이다) 중국에서는 남방 대승경전이 거의 구별없이 무차별적으로 수입 되었기에 나름 이걸 교상판석이라고 분류하기는 했지만 분류 방법은 자의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석가모니가 설한 시기를 기준으로 분류했다 화엄경 내에서 서술된 대로 이 경은 깨달음을 얻은 직후의 가르침으로 분류하고, 법화경은 석가모니의 인생의 후반기 열반경은 당연히 열반하기 직전. 근데 화엄경만 해도 화엄경 안에서는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직후에 설한 내용이라 하는데, 그 설법 대상 중에는 석가모니가 이미 교단을 만들고 한참 지난 이후에 불교에 귀의한 사람들의 이름들이 나온다. 뭐 이렇게 따지면 대승경전 전체가 석가모니가 직접 설한 게 아닌 대승비불설이 학계에 정설이긴 하지만서도) 그래서 교상판석에 의한 분류가 대승문화권에서는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지금도 쓰이고 있기는 하지만, 불경이 서구의 학문적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된 현시점에서는 학계에서는 전통적인 교상판석에 의한 분류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한 편이다.


일정한 틀 문법이 있는데. 시작은 여시야문 나는 이와같이 들었다로 시작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결집 과정에서 석가모니에 비서였던 아난다 기억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그 이후에는 석가모니가 설한 장소와 청중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예를 들어 어떤 스승이 있었는데 스승 사후에 스승에 가르침을 정리하면서 그 비서의 기억에 의존해서 제 기억으로는 저는 이렇게 들었습니다. 스승님께서는 동대문 어디 강당에서 누구를 대상으로 이런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이런 식으로 시작하는 것이랑 비슷하다. 또 마지막에는 촉루품이라고 이 경의 가치와 이 경을 독송 읽거나 사경 베껴서서 전파하면 공덕이 있다는 배포 장려의 내용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법화경에는 이 촉루품이 마지막이 아니라 중간에 들어가는데 그래서 학자에 따라 법화경을 1류 2류 3류 부분으로 나누기도 하고 촉루품 이후는 후대에 추가 되었다고 보는 편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