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신칸센(新幹線; 신간선)은 일본에서 1964년 일본국유철도(日本国有鉄道, JNR)가 개통하여, 1987년 4월 분할・민영화된 후 새로이 출범한 JR그룹이 승계 운영하고 있는 고속철도의 명칭이다. 문자 그대로 '새로운 간선(幹線; 중심 철도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신칸센은 기존의 협궤(레일 사이가 좁은)를 쓰는 재래선과는 아주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 완전히 분리된 고속전용선(표준궤)으로만 달린다.
참고로 ktx는 재래선 구간과 고속전용선 둘 다 사용한다. 한국은 재래선도 표준궤를 쓴다.
원래는 협궤를 깔려고 했는데 일본 신권 1만엔권 지폐 도안에도 들어간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표준궤로 깔았다.
대륙과의 연계를 생각한 것 같다.)
신칸센은 전후 일본 경제 부흥의 상징이자, 세계 최초의 고속철도 시스템이다.
신칸센이 후지산 옆을 지나가는 장면은 일본과 일본 경제의 부흥을 상징하는 장면으로 쓰이곤 한다.
탄환(총알)열차 계획은 사실 전쟁전에도 있었고, 일본 외에도 다른 나라에서도 그런 계획 자체는 있었지만,
세계 최초로 실현 시킨 것이 신칸센이다.
세계최초의 고속열차로 가장 오래 운영했고, 일본은 지진 등 자연 재해가 많은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신칸센 사고로 죽은 사람은 현재까지 0명이다. 정시성(제시간에 와서 정해진 시간에 도착)도 일본 철도 답게 매우 우수한편.
(평소에 아무 문제가 안 생겼을 때 한정. 일본 철도 전체로 보면 지진은 물론이고 차량에 뛰어내려서 자살하거나 이런 경우로 지연 되는 경우도 은근히 많은편.
일본교통 시스템이 철도에 거의 몰빵수준이기에, 철도가 지연되면 일대 교통 자체가 마비되기도 한다.
일본 철도의 정시성에는 빛과 그림자도 있는데, JR서일본에서 철도운전사에서 철도를 지연시키거나 하면 패널티를 주는 식으로 운영을 하다가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
전체가 노란색으로 도색된 신칸센 차량은 선로 등을 정비 체크하는 신칸센 차량으로 애칭으로 닥터 옐로우 으로 불리는데, 상대적으로 자주 볼 수 없는 차량이라서 인기가 많고, 이 차량을 보면 운이 좋아진다는 속설도 있다.
차량은 뒤로 갈수록 소위 '코' 부분이 길어지고 있다. 코가 길어지는 건 터널에 들어 갔을 때 소음과 진동을 줄이고 위해서 라고
역대 신칸센 차량
노선 종류
도카이도 신칸센 (552.6km) 산요 신칸센 (644.0km) 토호쿠 신칸센 (674.9 km) 야마가타 신칸센 (148.6km) - 미니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127.3km) - 미니 신칸센 조에츠 신칸센 (303.6km) 호쿠리쿠 신칸센(345.4km) 큐슈 신칸센 (256.8 km) - 분기 노선 공사중 홋카이도 신칸센 (148.4 ㎞) - 카이쿄선 구간은 재래선과의 듀얼게이지 적용 츄오 신칸센 (290km) 공사중
개통 연혁
1964년 10월 1일: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1972년 3월 15일: 산요 신칸센 1차 구간(신오사카-오카야마) 개통 1975년 3월 10일: 산요 신칸센 2차 구간(오카야마-하카타) 개통 및 직결 1982년 6월 13일: 토호쿠 신칸센 1차 구간(모리오카-오미야) 개통 1982년 11월 15일: 조에츠 신칸센 개통 1985년 3월 14일: 토호쿠 신칸센 2차 구간(오미야-우에노) 연장 개통 1991년 6월 20일: 토호쿠 신칸센 3차 구간(우에노-도쿄) 연장 개통 1992년 7월 1일: 야마가타 신칸센 1차 구간(도쿄-후쿠시마-야마가타) 개통 1997년 3월 22일: 아키타 신칸센 개통 1997년 10월 1일: 호쿠리쿠 신칸센 1차 구간(도쿄-타카사키-나가노) 개통, 당시 명칭은 나가노 신칸센. 1999년 12월 4일: 야마가타 신칸센 2차 구간(야마가타-신조) 연장 개통 2002년 12월 1일: 토호쿠 신칸센 4차 구간(모리오카-하치노헤) 연장 개통 2004년 3월 13일: 큐슈 신칸센 1차 구간(가고시마츄오-신야츠시로) 개통 2010년 12월 4일: 토호쿠 신칸센 5차 구간(하치노헤-신아오모리) 연장 개통 2011년 3월 12일: 큐슈 신칸센 2차 구간(하카타-신야츠시로) 연장 개통 및 직결 2015년 3월 14일: 호쿠리쿠 신칸센 2차 구간(나가노-카나자와) 연장 개통, 동시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1차 구간(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개통 2022년: 호쿠리쿠 신칸센 3차 구간(카나자와-츠루가) 연장 개통 예정, 큐슈 신칸센 나가사키 구간(하카타-타케오온천-나가사키) 개통 예정 2027년: 츄오 신칸센 1차 구간(시나가와-나고야) 개통 예정 2031년: 홋카이도 신칸센 2차 구간(신하코다테호쿠토-삿포로) 연장 개통 예정 2037년: 츄오 신칸센 2차 구간(나고야-신오사카) 연장 개통 예정 2046년: 호쿠리쿠 신칸센 4차 구간(츠루가-신오사카) 연장 개통 예정
열차일람 및 도입 시기
1964년 : 신칸센 0계 전동차 도입 1982년 : 신칸센 200계 전동차 도입 1985년 : 신칸센 100계 전동차 도입 1992년 : 신칸센 300계 전동차, 신칸센 400계 전동차 도입 1994년 : 신칸센 E1계 전동차 도입 1997년 : 신칸센 E2계 전동차, 신칸센 E3계 전동차, 신칸센 E4계 전동차, 신칸센 500계 전동차 도입 1999년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입 2004년 : 신칸센 800계 전동차 도입 2007년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도입 2011년 : 신칸센 E5계 전동차 도입 2013년 : 신칸센 E6계 전동차 도입 2014년 : 신칸센 E7계 전동차 도입 2024년 : 신칸센 E8계 전동차 도입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