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켈라우제도 | ||
일반 정보[1] |
||
토켈라우어, 영어 |
||
토켈라우 국가 |
||
위치 |
![]() |
|
10km² / 228위 |
||
(UTC+14) |
||
뉴질랜드의 해외영토 |
||
집권당 |
- (참고: 나라별 지도자) |
|
여왕 |
||
기타 정보 |
||
토켈라우 조약 1948년 / 뉴질랜드 |
||
772, TK, TKL |
||
.tk |
||
+690 |
||
보기 • 편집 • 본문 |
개요
토켈라우(Tokelau)는 오세아시아 지역의 태평양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는 뉴질랜드령의 해외 섬이다.
주민 대부분 폴리네시아계이며(토켈라우인 65.3%, 사모아인 6.7%, 투발루인 2.8%), 전통 문화와 언어가 강하며, 기독교가 주요 종교를 차지하고 있다. 종교의 구성은 회중교회 58.5%, 가톨릭 36.8%, 장로회 1.8%, 기타 기독교 2.8%를 차지하고 있다.
지리
토켈라우제도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작은 군도로, 뉴질랜드 북동쪽에 자리 잡고 있다. 세 개의 환초(아타푸, 누쿠노누, 파파에아루)가 모여 구성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12㎢ 정도로 매우 작다. 낮은 산호섬과 환초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수면 상승에 취약하다.
역사
토켈라우제도는 폴리네시아인들이 처음 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세기에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고, 1926년부터 뉴질랜드 행정권 아래 놓였다. 1979년 뉴질랜드와의 자유연합 관계가 공식화되며 자치권을 일부 확보하였다.
- 13세기경 – 폴리네시아인들이 토켈라우에 처음 정착하였다.
- 1840년대 – 유럽인들이 환초를 발견하고 탐험하기 시작하였다.
- 1889년 – 영국이 토켈라우를 보호령으로 지정하였다.
- 1926년 – 토켈라우 행정권이 뉴질랜드에 이양되었다.
- 1948년 – 토켈라우 자치 제도가 부분적으로 도입되었다.
- 1979년 – 뉴질랜드와 자유연합 관계를 공식화하며 자치권을 강화하였다.
- 1980년대 이후 주민 투표를 통해 독립 여부를 논의했으나 독립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안건은 쿡 제도 및 니우에처럼 자치권을 가진 채로 뉴질랜드와 자유연합을 할 것인가였다.
정치
토켈라우제도는 뉴질랜드의 해외 영토로, 자치 정부가 존재한다. 행정 수장은 토켈라우 총독이며, 뉴질랜드 총독이 대표로 지정된다. 주민들은 지방회의를 통해 지역 사안을 결정하며, 뉴질랜드 정부가 외교와 국방을 담당한다.
경제
토켈라우제도 경제는 매우 제한적인데 어업과 외부 원조에 의존한다. 코코넛과 해산물 제품이 주요 생산품이며, 관광 산업은 미미하다.
함께보기
지구의 대륙 | ||||||
---|---|---|---|---|---|---|
아시아 | 아프리카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유럽 | 오세아니아 | 남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