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30번째 줄: 30번째 줄:
===김일성(金一星)===
===김일성(金一星)===
1930년 말 ~ 1931년 초 만주 회덕현 오가자 시절 [[최형우]]가 지어준 별호
1930년 말 ~ 1931년 초 만주 회덕현 오가자 시절 [[최형우]]가 지어준 별호
* [[최형우|최형우(崔衡宇, 1905~1950)]], [[:파일:해외조선혁명운동소사 제1집.pdf|《해외조선혁명운동소사(海外朝鮮革命運動小史)》 제1집(第一輯)]] (漢城 : 東方文化社, 檀紀 4278[1945]년 12월 10일 발행) p.28 : "9. ㅌ·ㄷ와 김일성"


===홍종환(洪鍾煥)은 누구인가?===
===홍종환(洪鍾煥)은 누구인가?===

2020년 7월 30일 (목) 13:13 판

북한 김일성의 본명은 김성주(金聖柱), 김성주(金成柱), 김성주(金誠柱) 등으로 기록에 나타나고, 1930년 경에 김일성(金一成), 김일성(金一星) 등의 별명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1938년경부터 한자로 金日成이라 쓰는 이름을 사용한 것이 확인되나, 동북항일연군에서 중국인들 틈에 섞여 활동하며 이름을 김일성 아닌 중국어 발음으로 읽었으며, 1940년 10월 소련으로 도주한 이후 해방될 때까지 소련군에서의 공식적 이름은 金日成의 중국어 발음을 러시아어로 표기한 진지첸(Цзин Жи Чен, 또는 Цзин Жичэн, Jing Zhichen)이었다. 해방 직후 원산항으로 입북할 때는 자신을 본명 김성주로 소개했고, 평양에 와서는 또다른 가명 김영환(金永煥)을 사용하다 1945년 10월 14일 평양의 대중 앞에 김일성 장군의 이름으로 처음나섰다.

하지만 당시 그의 정확한 신분은 소련군 진지첸 대위였을 뿐 해방전 어디에서도 그가 김일성 장군으로 불렸던 적은 없다. 국내인들은 소련군이 데려와 지도자로 내세운 그가 어디서 무엇을 하다 온 사람인지 아무도 몰랐으며, 진지첸 자신도 해방직전 5년간 항일투쟁을 한 것이 아니라 소련군에서 복무하다 왔다는 사실을 끝까지 숨겼다. 또 국내에서 완전한 무명인사였던 약점을 감추기 위해 1920년경부터 조선인들 사이에 유명했던 실체가 불분명한 전설적인 항일영웅 김일성 장군 행세를 하여 가짜 김일성이라는 꼬리표를 달게 된다.

본명

그의 본명 김성주의 정확한 한자 표기를 두고는 상당한 논란이 있어 왔다.

김성주(金聖柱)

김성주(金成柱)

김성주(金誠柱)

김성주(金成周)

공개가 금지된 소학교 학적부

별명

김일성(金一成)

1931년 3월 및 5월 동아일보 기사

김일성(金一星)

1930년 말 ~ 1931년 초 만주 회덕현 오가자 시절 최형우가 지어준 별호

홍종환(洪鍾煥)은 누구인가?

만주 공산 유격대의 김일선과 김일성

  • 검거된 김일성은 명백히 다른 인물

조국광복회와 김동명

보천보 사건의 김일성(金日成)

보천보 사건의 주역인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2군 6사장 김일성(金日成)은 1937년 11월 13일 전사했으며, 북한 김일성과는 명백히 다른 인물이다.

항일연군 1로군 제2방면군장 김일성(金日成)

소련군 88여단 진지첸 대위

해방 후

원산항 입북 당시 본명 김성주로 소개

해방 후 하바로프스크 인근 뱌츠코예 마을의 88여단을 떠나 1945년 9월 19일 소련군함 푸가초프호로 원산항에 입북할 때 배에서 내리면서 마중나온 인사들에게 자신을 본명 김성주로 소개했다고 한다.

평양에 와서 가명 김영환(金永煥)을 사용

소련군 문서에 1945년 10월 2일부터 진지첸을 김일성으로 바꾸어 적어

전설의 항일영웅 김일성 장군을 자칭

함께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