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번째 줄: 19번째 줄:


* [[매일신보]]
* [[매일신보]]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094593238 獨山서 壯烈戰死한 三警官의 遺骨 금十三일 아침 경성역 도착 눈물 새로운 燒香]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14일 2면 6단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094594705 獨山事件現場과 犧牲]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23일 7면 6단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094594705 獨山事件現場과 犧牲]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23일 7면 6단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094595030 獨山事件犧牲者 合同署葬擧行]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25일 7면 6단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094595030 獨山事件犧牲者 合同署葬擧行]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25일 7면 6단
24번째 줄: 25번째 줄:


* [[조선신문]]
* [[조선신문]]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109002930 咸鏡南道, 田中高等課長獨山事件で出張, 壯熱なる警察官の殉職, 激烈なるその戰鬪]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08일 3면 1단
:土肥茂雄, 吉川正一, 岩崎淸次, 松本源市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109004870 咸鏡南道, 獨山事件の殉職警察官盛大に署葬執行]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14일 4면 8단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109005261 咸鏡南道, 一千餘名の盛大な見送り, 獨山事件殉職警官遺骨十二日咸興通過]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15일 4면 11단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109006512 咸鏡南道, 獨山事件と一般被害者戰死三名拉去二名, 負傷者も頗る多い]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0일 3면 3단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109006931 咸鏡南道, 咸南對岸でも警戒を嚴に, 獨山事件に鑑みて]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1일 4면 8단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109006932 咸鏡南道, 獨山事件遭難]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1일 4면 8단
#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id=CNTS-00109006932 咸鏡南道, 獨山事件遭難]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1일 4면 8단



2020년 8월 6일 (목) 09:26 판

독산사건(獨山事件)은 1933년 6월 5일에 있었던 혜산진(惠山鎭) 경찰서 독산(獨山) 주재소 경관과 대안(對岸) 만주 장백현(長白縣)의 마적(馬賊)으로 추정되는 무장단 50여명 사이에 있었던 교전을 말한다. 경관 6명이 전사하는 등 일본측 피해가 컸다. 조선일보는 호외를 발행하며 이 사건을 보도했다.[1] 이로부터 정확히 4년 후인 1937년 6월 4일 인근에서 보천보 사건이 일어났다.

당시 국경 지역에는 만주로부터 마적단인지 독립군인지 구분하기도 힘든 무장단의 침입이 헤아릴 수 없이 잦았는데, 그 중에서도 규모가 큰 것이 1934년 1월의 토성습격사건, 1935년 2월의 동흥사건 등이다. 이처럼 유사한 사건이 자주 있었음에도 모두 다 잊혀졌는데, 유독 특별할 것도 없는 보천보 사건만 엄청난 항일 전과로 터무니없이 과대포장되어 알려져 있는 이유는 북한 김일성이 집권 후 자신의 항일업적이라며 대대적으로 선전했기 때문이다. 남한에서도 1990년대 들어 학계가 좌경화되면서 북한의 주장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보천보 사건을 교과서에까지 싣는 한심한 작태를 보이고 있다. 보천보 사건 자체도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지만, 그 사건의 주역 동북항일연군의 1로군 6사장 김일성은 1937년 11월 13일 전사했으며 북한 김일성과는 전혀 다른 사람이다.

독산(獨山)은 오늘날 양강도 삼지연군 이명수노동자구이다.[2][3]

언론 보도

  1. 혜산진 대안(惠山鎭 對岸)에도 마적부대(馬賊部隊)가 출현(出現) 조선일보 1933.06.06 조간 2면
  2. 무장단 오십명 출현(武裝團 五十名 出現) 경관 4명(警官 四名)을 살상(殺傷) 조선일보 1933.06.07 석간 2면
    혜산진 관내 독산 대안(惠山鎭 管內 獨山 對岸)에서 오일(五日) 아침 격전(激戰) 끗헤
    호외재록(號外再錄)
  1. 山上(산상)에서 突然 射擊(돌연 사격) 警官 四名 戰死(경관 4명 전사) 1933.06.07 동아일보 석간 2면
  2. 越境(월경)한 應援 警官隊(응원 경관대) 共產軍 討伐(공산군 토벌)을 開始(개시) 長白縣 事件(장백현 사건)의 顚末(전말) 1933.06.07 동아일보 조간 2면
  • 조선중앙일보
  1. 국경방면(國境方面)의 무장단(武裝團), 경관대(警官隊)를 포위사격(包圍射擊), 경관 고전(警官苦戰), 전사 6명(戰死六名) 조선중앙일보 1933년 06월 07일 02면
    5일(五日) 함남 혜산진 대안(咸南 惠山鎭 對岸)의 사변(事變)
  2.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경관대 전멸 상태(警官隊全滅狀態), 혜산진 대안 2호언(惠山鎭 對岸 二號堰)에서의 마적(馬賊)과의 충돌상보(衝突詳報) 조선중앙일보 1933년 06월 08일 02면
  1. 獨山서 壯烈戰死한 三警官의 遺骨 금十三일 아침 경성역 도착 눈물 새로운 燒香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14일 2면 6단
  2. 獨山事件現場과 犧牲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23일 7면 6단
  3. 獨山事件犧牲者 合同署葬擧行 매일신보 [每日申報] 1933년 06월 25일 7면 6단


土肥茂雄, 吉川正一, 岩崎淸次, 松本源市
  1. 咸鏡南道, 獨山事件の殉職警察官盛大に署葬執行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14일 4면 8단
  2. 咸鏡南道, 一千餘名の盛大な見送り, 獨山事件殉職警官遺骨十二日咸興通過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15일 4면 11단
  3. 咸鏡南道, 獨山事件と一般被害者戰死三名拉去二名, 負傷者も頗る多い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0일 3면 3단
  4. 咸鏡南道, 咸南對岸でも警戒を嚴に, 獨山事件に鑑みて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1일 4면 8단
  5. 咸鏡南道, 獨山事件遭難 조선신문 [朝鮮新聞] 1933년 06월 21일 4면 8단

마적단의 평북 의주(義州) 침입

독산사건과 거의 같은 때에 평북 의주(義州)에서도 마적단의 침입이 있었다.

함께 보기

각주

  1. 무장단 오십명 출현(武裝團 五十名 出現) 경관 4명(警官 四名)을 살상(殺傷) 조선일보 1933.06.07 석간 2면
    혜산진 관내 독산 대안(惠山鎭 管內 獨山 對岸)에서 오일(五日) 아침 격전(激戰) 끗헤 : 호외재록(號外再錄)
  2. 양강도 삼지연군 이명수노동자구 개요 - 북한지역정보넷
  3. 獨山 노동자구 -> 이명수 노동자구
    獨山 노동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