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건 髙建 [1] | |
![]() |
|
출생일 |
1938년 1월 2일 (87세) |
출생지 |
|
본관 |
|
국적 |
대한민국 |
정당 |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
경력 |
|
학력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 석사 |
부모 |
고형곤(부), 장정자(모) |
배우자 |
조현숙[2] |
자녀 |
3남 |
종교 |
개요
국무총리를 두 번, 서울시장을 두 번 역임했다. 2004년 총리시절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에서 가결되어 2004년 3월 12일 ~ 5월 14일 기간에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었다.
노무현의 평가
제가 이것 한번 해 보자고 맨 처음에 고건 총리를 기용했었지요. 그래서 고건 총리가 다리가 되어서 그 쪽하고 나하고 가까워질 것이라는 희망으로 그랬는데, 오히려 저하고 저희 정부에 참여한 사람들이 다 왕따가 되는 그런 체제에 있는 것이지요. 중간에 선 사람이 양쪽을 끌어당기질 못하고 스스로 고립되는 그런 결과가 되기도 하고요, 하여튼 실패한 인사다. 결과적으로 실패해 버린 인사지요.[3]
노무현은 2006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에서 고건에 대해 위와 같이 혹평했다. 이에 대해 고건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다음과 같이 반박했다.
노 대통령 스스로 고립된 거예요. 나는 총리 그만둔 지 몇 년 후 얘기에요.
― 고건 회고록: 공인의 길, p.45
이런 갈등으로 노무현 대통령이 시간이 흐를수록 각료들과 사이가 틀어졌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약력
년도 | 약력 |
---|---|
1956 ~ 1960 | 서울대학교 정치학과(학사) |
1961 |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 |
1975 | 전라남도 도지사 |
1979 | 대통령비서실 정무제2수석비서관 |
1981 | 교통부 장관 |
1981 |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
1985.4 | 제12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소속) |
1987 | 내무부 장관 |
1988.12 ~ 1990.12 | 제22대 서울특별시장 |
1994 | 명지대학교 총장 |
1997 | 제30대 국무총리 |
1998.7 ~ 2002.6 | 제31대 서울특별시장 |
2003.2 ~ 2004.5 | 제35대 국무총리 |
2004.03.12 ~ 2004.05.14 | 대통령 권한대행 |
소속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민주정의당 | 1981 - 1990 | 정계 입문 |
민주자유당 | 1990 - 1994 | 합당[4] |
무소속 | 1994 - 1997 | 탈당 |
신한국당 | 1997 | 복당[5] |
한나라당 | 1997 - 1998 | 합당[6] |
무소속 | 1998 | 탈당 |
새정치국민회의 | 1998 - 2000 | 입당 |
새천년민주당 | 2000 - 2002 | 합당[7] |
무소속 | 2002 - 현재 |
참조
제1공화국 (1948 ~ 1960) |
|
제2공화국 (1960 ~ 1963) |
|
제3공화국 (1963 ~ 1972) |
|
제4공화국 (1972 ~ 1981) |
|
제5공화국 (1981 ~ 1988) |
|
노태우 정부 (1988 ~ 1993) |
|
김영삼 정부 (1993 ~ 1998) |
|
김대중 정부 (1998 ~ 2003) |
|
노무현 정부 (2003 ~ 2008) |
|
이명박 정부 (2008 ~ 2013) |
|
박근혜 정부 (2013 ~ 2017) |
|
문재인 정부 (2017 ~ 2022) |
|
윤석열 정부 (202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