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jpg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서울시 휘장n.png
서울특별시
부산시 휘장.png
부산광역시
인천시 휘장.png
인천광역시
대구시 휘장.png
대구광역시
광주시 휘장.png
광주광역시
대전시 휘장.png
대전광역시
울산시 휘장.png
울산광역시
세종시 휘장.png
세종특별자치시
강원도 휘장.png
강원특별자치도
제주시 휘장.png
제주특별자치도
경기도 휘장.png
경기도
충청북도 휘장.png
충청북도
충청남도 휘장.png
충청남도
경상북도 휘장.png
경상북도
경상남도 휘장.png
경상남도
전라북도 휘장.gif
전라북도
전라남도 휘장.png
전라남도
전라북도 휘장.gif 전라북도 기초자치단체
전라북도의 휘장


개요

전라북도는 대한민국 서남부에 위치한 광역자치단체이다. 북쪽으로 충청남도 서천군, 부여군, 논산시, 금산군충청북도 영동군과 접하고, 동쪽으로 경상북도 김천시경상남도 거창군, 함양군, 하동군과 접하며, 남쪽으로는 전라남도 영광군, 장성군,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과 접한다.

전라북도의 인구는 1,808,802명, 826,134세대, 남여 비율은 0.99이다.

전라북도에 가장 큰 도시이며 도청소재지는 전주시이다.


전북특별자치도

2024011801002012000111431.jpg

2024년 1월 전북이 128년만에 전라도가 전라남북도로 나뉜 상태에서 전북특별자치도로 바뀐 것이다.

광역자치단체에 특자가 붙은 지자체는 제주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전북특별자치도, 그리고 서울특별시세종특별자치시가 있다. 그 동안 전북의 노력으로 '특별'자를 붙인것이다. 이러한 결정에 힘입어 다음은 충청북도가 인구도 감소하고 있어서 특별자치도로의 변경을 요청할 것 같다. 이와같이 인구도 감소하고 소위되어 뭔가 중앙정부로 부터 특별한 지원이라도 받기위해서 필요할것 같다. 그렇게 몇십년후에 지자체 모두가 광역시나 특별자치도가 될 것 같은데 가만히 있으면 뭔가 손해 본다는 생각이 작용한 듯도 하다.

이처럼 한국에는 유독 특자가 많이 붙는다. 수원특례시등등도 최근에 100이 되면서 생겼다. 다른분야까지 확대하면 정말로 특별히 '특'자를 좋아하는 나라다.


전북특벌자치도로 바뀌는 것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ㅠㅠ..

첫째 자치권이 확대됐단다. 통합 건의권자에 전북자치도지사가 포함되는 것으로 확대됐고, 통합 시 폐지되는 각 시군간 세출예산 비율 유지 기간도 기존 4년에서 조례에 따라 최대 10년까지 조정 가능하다.

두번째는 농생명 특례제도다.

세번째로 고령친화산업·의생명산업 거점 조성을 위한 특례가 적용된다.

네번째 국제케이팝학교와 새만금 무인이동체 산업 육성을 위한 특례가 적용된다.

다섯번째 외국인 인력 유치 특례와 새만금 고용특구 지정을위한 특례도 적용된다.

여섯번째 야간관광산업 육성 및 친환경 산악관광진흥지구 지정 특례도 지정됐다.

일곱번째 민생경제 활력을 위한 특례도 지정됐다.

전라북도의 기초자치단체

전라북도의 기초자치단체
전주시 익산시 군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완주군 고창군 부안군 임실군
순창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전라북도는 6개의 자치시와 8개의 자치군 등 14개의 기초자치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정치

국회의원 선거구

전라북도의 국회의원 선거구
전주시 갑 전주시 을 전주시 병 군산시 익산시 갑
익산시 을 정읍시·고창군 남원시·임실군·순창군 김제시·부안군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전라북도는 10석의 국회의원 선거구가 있다.


역대 선거결과

해방후 치루어진 전라북도에서의 선거 결과는 보수주의 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이 비등하게 당선되어왔다. 5.18 광주 사태 이후 1987년 대선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부터는 지역색이 민주당계의 텃밭으로 변했다.민주당계 정당의 후보가 99% 당선되는 지역으로 변했다.

법례: 진보 좌파 정당 , 보수 우파 정당

역대 선거 1위 의석/득표율
1948년 총선 무소속 8석
1950년 총선 무소속 15석
1952년 대선 이승만 65.9%
1952년 부통령 이범석 32.5%
1954년 총선 자유당 10석
1956년 대선 이승만 60.2%
1956년 부통령 장면 51.0%
1958년 총선 민주당 11석
1960년 총선 민주당 17석
1960년 지선 김상술 41.7%
1963년 대선 박정희 49.4%
1963년 총선 민주공화당 7석
1967년 대선 윤보선 48.7%
1967년 총선 민주공화당 11석
1971년 대선 김대중 61.5%
1971년 총선 민주공화당 6석
1973년 총선 민주공화당 4석
1978년 총선 민주공화당 6석
1981년 총선 민주정의당 7석
1985년 총선 민주정의당 7석
1987년 대선 김대중 83.5%
1988년 총선 평화민주당 14석
1992년 총선 민주당 12석
1992년 대선 김대중 89.1%
1995년 지선 유종근 67.2%
1996년 총선 새정치국민회의 13석
1997년 대선 김대중 92.3%
1998년 지선 유종근 100%
2000년 총선 새천년민주당 9석
2002년 지선 강현욱 74.6%
2002년 대선 노무현 91.6%
2004년 총선 열린우리당 11석
2006년 지선 김완주 48.1%
2007년 대선 정동영 81.6%
2008년 총선 통합민주당 9석
2010년 지선 김완주 68.7%
2012년 총선 민주통합당 9석
2012년 대선 문재인 86.3%
2014년 지선 송하진 69.2%
2016년 총선 국민의당[1] 7석
2017년 대선 문재인 64.8%
2018년 지선 송하진 70.6%
2020년 총선 더불어민주당 9석
2022년 대선 이재명 83.0%
2022년 지선 김관영 82.1%


도지사

역대 전라북도지사
대수 성명 정당 재임기간
민선(民選)
29대 유종근   민주당 1995년 07월 01일 ~ 1998년 06월 30일
30대   새정치국민회의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31대 강현욱   새천년민주당 2002년 07월 01일 ~ 2004년 04월 29일
32대 김완주   열린우리당 2006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33대   민주당 2006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34대 송하진   새정치민주연합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35대   더불어민주당 2018년 07월 01일 ~



학교


틀:전라북도시의 대학교


각주

  1. 이 목록이 보인다면 틀 이름을 다음 목록중 하나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예) {{국민의당}} → {{국민의당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