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대ㆍ태조 | 제10대ㆍ연산군 | 제19대ㆍ숙종 | |
제2대ㆍ정종 | 제11대ㆍ중종 | 제20대ㆍ경종 | |
제3대ㆍ태종 | 제12대ㆍ인종 | 제21대ㆍ영조 | |
제4대ㆍ세종 | 제13대ㆍ명종 | 제22대ㆍ정조 | |
제5대ㆍ문종 | 제14대ㆍ선조 | 제23대ㆍ순조 | |
제6대ㆍ단종 | 제15대ㆍ광해군 | 제24대ㆍ헌종 | |
제7대ㆍ세조 | 제16대ㆍ인조 | 제25대ㆍ철종 | |
제8대ㆍ예종 | 제17대ㆍ효종 | 제26대ㆍ고종 | |
제9대ㆍ성종 | 제18대ㆍ현종 | 제27대ㆍ순종 | |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
×
![]() 仁祖[1] | |
지위 |
|
재위 |
1623년 3월 14일 ~ 1649년 5월 8일 (음력) |
즉위식 |
경운궁 |
이름 |
|
휘 |
이종(李倧) |
묘호 |
인조(仁祖) |
군호 |
능양군(綾陽君) |
존호 |
개천조운정기선덕 (開天肇運正紀宣德) |
시호 |
헌문열무명숙순효대왕 (憲文烈武明肅純孝大王) |
능호 |
|
신상정보 |
|
출생일 |
1595년 11월 7일 (음력) |
출생지 |
|
사망일 |
1649년 5월 8일 (음력) |
사망지 |
|
배우자 |
|
자녀 |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음력 5월 8일))는 조선의 제16대 국왕(재위: 1623년 ~ 1649년)이다.
쿠데타 반정으로 광해군을 끌어내리고 집권했다. 이런 식으로 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조선의 왕은 중종과 함께 인조가 유이하다.
반정에 대한 기여가 하나도 없던 중종과는 달리[2] 인조는 능양군 시절에 적극적으로 반정에 참가했기에 반정에 대한 기여도가 꽤나 있었고, 반정공신들에게 의해 일방정으로 옹립된 중종과는 달리 충분한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중종처럼 원래 재위계승권과는 멀어서 제왕학 장차 왕이 될 교육을 받지는 못했다.
병자호란 이른바 삼전도의 굴욕 정축하성 남한산성에서 농성하다 청나라 황제에게 항복해서 성을 나와 머리를 조아린 왕이 인조다.
이후 신하들에게 오랑캐에게 머리를 조아린 왕으로 인기가 없었다. 척화파 즉 오랑캐와 싸우자는 주장을 핀 신하들에게 오군(汚君) 오랑캐에게 항복한 더러운 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괄의 난 때도 도성을 떠나 피난을 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