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景宗[1] | |
지위 |
|
재위 |
1720년 6월 13일 ~ 1724년 8월 25일 (음력) |
즉위식 |
경희궁 숭정문 |
재위 |
1690년 6월 16일 ~ 1720년 6월 12일 (음력) |
이름 |
|
휘 |
이윤(李昀) |
묘호 |
경종(景宗) |
시호 |
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 (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 |
능호 |
|
신상정보 |
|
출생일 |
1688년 10월 28일 (음력) |
출생지 |
|
사망일 |
1724년 8월 25일 (음력) |
사망지 |
|
부친 |
|
모친 |
|
배우자 |
|
자녀 |
없음 |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국왕(재위: 1720년 7월 17일(음력 6월 13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이다. 숙종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희빈 장씨이며 영조의 이복형이다.
치세도 매우 짧았고 후사인 아들도 없이 죽어서
(야사로는 희빈 장씨가 죽을 때 일부러 어린 당시 왕세자 경종의 불알을 움켜 쥐어 고자로 만들었다는 설이 있는데 물론 어디까지나 야사다)
이복동생인 영조로부터 독살을 당했다는 설이 돌았다.
영조가 바친 게장과 단감을 바쳤는데, 그걸 먹고 경종이 죽었다는 것이다.
둘이 한의학적으로 궁합이 맞지 않는다나 물론 현대과학적으로는 게장과 단감을 같이 먹어도 전혀 문제 되지 않는다. 게장이 상했을 수는 있다.
하여간 요절한 왕이다. 영조가 경종을 독살 했다는 이야기는 당대에도 퍼져 영조 때 반란의 명문이 되기도 하는 등. 영조를 굉장히 괴롭혔다.
각주
- 내용주
추존왕 목조 소생 |
|
추존왕 익조 소생 |
|
추존왕 도조 소생 |
|
추존왕 환조 소생 |
|
태조 소생 |
|
정종 소생 |
|
태종 소생 |
|
세종 소생 |
|
문종 소생 |
왕세자 홍위(단종) |
단종 소생 |
- |
세조 소생 |
|
추존왕 덕종 소생 |
|
예종 소생 |
|
성종 소생 |
|
연산군 소생 |
|
중종 소생 |
|
인종 소생 |
- |
명종 소생 |
|
선조 소생 |
|
광해군 소생 |
|
추존왕 원종 소생 |
|
인조 소생 |
|
효종 소생 |
왕세자 연(현종) |
현종 소생 |
왕세자 순(숙종) |
숙종 소생 |
|
경종 소생 |
- |
영조 소생 |
|
추존왕 진종 소생 |
정조(양자) |
추존왕 장조 소생 |
|
정조 소생 |
|
순조 소생 |
|
추존왕 문조 소생 |
|
헌종 소생 |
- |
철종 소생 |
|
고종 소생 |
|
순종 소생 |
- |
의민황태자 소생 |
제1대ㆍ태조 | 제10대ㆍ연산군 | 제19대ㆍ숙종 | |
제2대ㆍ정종 | 제11대ㆍ중종 | 제20대ㆍ경종 | |
제3대ㆍ태종 | 제12대ㆍ인종 | 제21대ㆍ영조 | |
제4대ㆍ세종 | 제13대ㆍ명종 | 제22대ㆍ정조 | |
제5대ㆍ문종 | 제14대ㆍ선조 | 제23대ㆍ순조 | |
제6대ㆍ단종 | 제15대ㆍ광해군 | 제24대ㆍ헌종 | |
제7대ㆍ세조 | 제16대ㆍ인조 | 제25대ㆍ철종 | |
제8대ㆍ예종 | 제17대ㆍ효종 | 제26대ㆍ고종 | |
제9대ㆍ성종 | 제18대ㆍ현종 | 제27대ㆍ순종 | |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