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대ㆍ태조 | 제10대ㆍ연산군 | 제19대ㆍ숙종 | |
제2대ㆍ정종 | 제11대ㆍ중종 | 제20대ㆍ경종 | |
제3대ㆍ태종 | 제12대ㆍ인종 | 제21대ㆍ영조 | |
제4대ㆍ세종 | 제13대ㆍ명종 | 제22대ㆍ정조 | |
제5대ㆍ문종 | 제14대ㆍ선조 | 제23대ㆍ순조 | |
제6대ㆍ단종 | 제15대ㆍ광해군 | 제24대ㆍ헌종 | |
제7대ㆍ세조 | 제16대ㆍ인조 | 제25대ㆍ철종 | |
제8대ㆍ예종 | 제17대ㆍ효종 | 제26대ㆍ고종 | |
제9대ㆍ성종 | 제18대ㆍ현종 | 제27대ㆍ순종 | |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
![]() 明宗[1] | |
지위 |
|
재위 |
1545년 7월 6일 ~ 1567년 6월 28일 (음력) |
즉위식 |
경복궁 근정전 |
이름 |
|
휘 |
이환(李峘) |
묘호 |
명종(明宗) |
군호 |
경원대군(慶源大君) |
시호 |
공헌헌의소문광숙경효대왕 (恭憲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 |
능호 |
|
신상정보 |
|
출생일 |
1534년 6월 28일 (음력) |
출생지 |
|
사망일 |
1567년 6월 28일 (음력) |
사망지 |
|
배우자 |
인순왕후 심씨 |
자녀 |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조선의 국왕(재위 : 1545년 ~ 1567년)이다.
중종의 아홉째 아들이자 막내아들이며, 어머니는 문정왕후 윤씨이다.
즉위 초반에는 어머니인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했고, 명종이 친정을 한 이후에도 어머니가 막후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설이 있다.
(실록에는 수렴청정을 거두고 명종이 친정을 시작한 이후에는 문정왕후가 직접 정치에 개입했다는 기록은 없다.)
윤원형 같은 외척이 마구 전횡을 일삼고 부정부패를 저지르던 시대이기도 했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날뛰던 윤원형은 명종 친정 때 영의정 까지 오르지만, 이후 정난정에게 정실부인을 뺏긴 본처가 윤원형의 온갖 비리와 전횡을 고발하면서 몰락하게 된다.
세간의 이미지는 그냥 어머니 등쌀에 시달려 실권이 없던 왕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당대 명망이 높던 인물인 남명 조식은 문정왕후를 과부로, 명종을 고아로 비판하는 강도높은 상소를 올렸는데 명종은 격노해서 조식을 죽일려고 했지만, 신하들이 이런 상소 때문에 사람을 죽인다면 언로가 막힐거라며 반대해서 넘어갔다.
(조식은 당대에도 명망이 높았고, 조정에서 여러번 벼슬을 하라고 권유했지만 거절했다. 이 상소도 단성 현감에 제수되었는데 그걸 사양하면서 쓴 상소다. 그래서 단성소라고도 한다. )
도적으로 유명한 임꺽정이 활동했던 시기가 이 명종 때다.
(임꺽정이 한창 활개를 칠 때 역사를 기록하는 사관이 본인의 사담 비슷한 평가를 적어 놨는데, 사관이 논한다 라면서, 벼슬아치들이 가렴주구로 백성을 착취하고 정치가 개판이니까 임꺽정 같은 도적이 활동하는 게 아니냐며 당대의 정치를 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