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역대 국왕
제1대태조 제10대연산군 제19대숙종
제2대정종 제11대중종 제20대경종
제3대태종 제12대인종 제21대영조
제4대세종 제13대명종 제22대정조
제5대문종 제14대선조 제23대순조
제6대단종 제15대광해군 제24대헌종
제7대세조 제16대인조 제25대철종
제8대예종 제17대효종 제26대고종
제9대성종 제18대현종 제27대순종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왕관 dark.png
태종
太宗
지위
재위
1400년 11월 13일 ~ 1418년 8월 10일 (음력)
즉위식
개경 수창궁
조선국 상왕

상왕 정종

상왕 단종
재위
1418년 8월 11일 ~ 1421년 9월 12일 (음력)
이름
방원(芳遠)
묘호
태종(太宗)
존호
건천체극대정계우예철성렬
(建天體極大正啓佑睿哲成烈)
시호
공정성덕신공문무광효대왕
(恭定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
능호
헌릉(獻陵)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42
신상정보
출생일
1367년 6월 21일 (양력)
출생지
고려 동계 함흥 부 귀주 사제
사망일
1422년 6월 8일 (양력)
사망지
조선 한성부 연화방 수강궁
배우자
원경왕후 민씨
자녀
12남 17녀 (18남 19녀)

태종(太宗, 1367년 6월 21일 ~ 1422년 6월 8일)은 조선의 제3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400년 11월 28일 부터 1418년 9월 9일까지이며 조선의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이방언으로 알려져있다.

이방원은 아버지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이방원은 척을 지고 있던 정몽주등과는 함께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으나, 이성계는 정몽주와 함께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이방원은 정몽주를 만나서 설득하기로 한다. 그는 《하여가》를 지어 불렸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이러꿍 저러쿵 무엇이 문제인가? 새로운 시대를 함께 만들어 가십시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 백 년까지 누리리라

— 이방원, 〈하여가〉

이방언의 제안에 정몽주는 《단심가》로 거절의 뜻을 밝힌다. 이 몸이 일백번을 죽는다해도... 고려를 향한 나의 마음은 변함이 없소이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 정몽주, 〈단심가〉

결국 정몽주는 이방언이 보낸 자객에게 산죽교에서 암살된다. 이방언은 정몽주를 제거하고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진 세력을 기반으로 조선을 세우는데 큰 공을 세웠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