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향 |
|||
시조 |
김선(金宣) |
||
중시조 |
김위(金爲) |
||
주요인물 |
|||
인구 |
4,567명 (1985년) |
수안 김씨 (遂安 金氏)는 황해도 수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
시조 김선(金宣, 또는 김선(金愃))은 신라 경순왕 김부의 후예로 안동 김씨(安東 金氏) 중시조 상락백(上洛伯) 김방경(金方慶)의 장자이다. 고려 때 삼별초와 왜구를 물리쳐 보정공신(保定功臣)에 오르고, 벼슬이 전법판서(典法判書)에 이르고, 상장군(上將軍) 수안군(遂安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삼고 관향(貫鄕)을 수안(遂安)으로 하였다. 후손 전리판서(典理判書) 김위(金爲)를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있다.
주요인물
주요 인물
고려 인물
- 김자(金資): 김선의 아들로 고려국 도첨의사사(都僉議司事)를 지냈다.
- 김위(金爲): 김선의 손자로 고려국 전리판서를 역임했다.
- 김득남(金得男): 김선의 증손자로 고려 황해도 수안 출생인 그도 고려국 전리판서를 역임했다.
- 김선영(金善英): 김선의 고손자로 고려 북계 지방 의주 출생인 그 또한 고려국 전리판서 직책을 지냈다.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 학천군 이징 (鶴川君 李澄, 1375년 ~ 1435년 8월, 태조 이복 아우 의안군의 아들)비 군부인 수안 김씨
- 이문용 궁주 (李文鎔 宮主, 1900년 2월 29일 ~ 1987년 3월 28일, 고종의 서녀) 부군이자 고종 부마 김희진(金熙晉, 1896년 2월 29일 ~ 1919년 4월 30일)
대한제국 인물
일제 인물
- 김명규 (일제 강점기 조선 총독부 부찬의 출신)
- 김희중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 김은식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예비역 대한독립군 중위)
- 김성규 (3·1 운동 무력 진압에 참여하였다가 시위대에게 살해된 일제 강점기 조선 주둔 일본군 헌병보조원)
현대 인물
- 김명학 (대한민국 관료, 정치가.)
- 김명진 (대한민국 독립운동가)
- 김홍 (대한민국 영화감독 겸 영화평론가.)
- 김백일 (대한민국 육군 중장.)
- 김창룡 (대한민국 육군 중장.)
- 김종명 (대한민국의 첼리스트, 대학 교수.)
- 김성주 (한국 전쟁 참전 전력이 있는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
- 김왕호 (한국 전쟁 참전 중 전사한 대한민국 육군 소령.)
- 김경오 (대한민국 여성 비행사 1세대 가운데 일원,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장교 여군 대위.)
- 김희갑 (대한민국 재즈 록 기타리스트 겸 작사가, 작곡가.)
- 김덕홍[1] (前 대한민국 탈북자 동지회 회장이며 예비역 조선인민군 지상군 중사 출신 탈북귀순자.)
- 김재현[2] (서울 성락교회 목사이며 예비역 조선인민군 지상군 소위 출신 탈북귀순자.)
- 김영애 (프리 랜서 아나운서 출신의 방송인 겸 연극배우이자 뮤지컬배우이며 前 민주한국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 김상철 (문민 정부 관선 시절 前 제26대 서울특별시 시장 직을 지낸 前 숭실대학교 법학과 겸임교수.)
- 김호영 (예비역 대한민국 해군 하사 출신인 前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제2차관.)
- 김주성[3] (탈북귀순자 출신이며 前 대한탈북망명작가센터 부이사장 겸 이사장 직무대리)
- 김알음 (연극배우, 뮤지컬배우, 텔레비전 연기자, 가수, 작사가, 미술가.)
같이보기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
성씨 - 한국의 성씨 |
|
---|---|
ㄱ |
|
ㄴ |
|
ㄷ |
|
ㄹ |
|
ㅁ |
|
ㅂ |
|
ㅅ |
|
ㅇ |
|
ㅈ |
|
ㅊ |
|
ㅌ |
|
ㅍ |
|
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