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 - 한국의 성씨 |
|
---|---|
ㄱ |
|
ㄴ |
|
ㄷ |
|
ㄹ |
|
ㅁ |
|
ㅂ |
|
ㅅ |
|
ㅇ |
|
ㅈ |
|
ㅊ |
|
ㅌ |
|
ㅍ |
|
ㅎ |
|
김(金, 钅, 琻, 鍂)씨는 동아시아 성씨의 하나이다. 한국의 김(金)씨는 대부분 경주 김씨 등 신라계와 김해 김씨 등 가야계에서 유래한다. 한국의 김(金)씨는 거의 대부분이 신라의 김알지를 시원으로 하는 경주 김씨계와 가야의 수로왕을 시원으로 하는 김해 김씨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에서는 김(琻), 김(鍂)으로 발음되는 여러 다른 김씨가 존재하나, 대한민국에도 존재하는지는 확인된 바 없다.
김씨는 한국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0,689,959명으로 전체인구의 21.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주로 많이 분포하는 지역으로는 경기도, 서울시, 부산시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신라계
김알지계
- 경주 김씨(慶州 金氏): 시조는 신라 대보공 김알지이다.
- 강릉 김씨(江陵 金氏): 시조 김주원(金周元)은 신라 태종무열왕의 후예.
- 선산 김씨(善山 金氏. 일선 김씨): 시조 김선궁(金宣弓)은 신라 대보공 김알지의 후예.
- 선산 김씨(善山 金氏. 들성 김씨): 시조 김한충(金漢忠)은 신라 원성왕(元聖王)의 후예.
- 광산 김씨(光山 金氏): 시조 김흥광(金興光)은 신라의 왕자 후예.
- 연안 김씨(延安 金氏): 시조 김섬한(金暹漢)은 신라의 왕자 후예.
- 순천 김씨(順天 金氏): 시조 김총(金摠)은 신라 종성(宗姓. 대보공 김알지)의 후예
경순왕계
- 나주 김씨(羅州 金氏): 시조 김운발(金雲發)
- 의성 김씨(義城 金氏): 초기 족보에 시조 김용비(金龍庇)는 경순왕의 후예.
- 언양 김씨(彦陽 金氏): 초기 족보에 시조 김수(金壽)는 경순왕의 후예.
- 삼척 김씨(三陟 金氏): 초기 족보에 시조 김위(金偉)는 경순왕 후예.
- 울산 김씨(蔚山 金氏): 시조 김덕지(金德摯)
- 구 안동 김씨(舊 安東 金氏): 시조 김일긍(金日兢)은 경순왕의 후예.
- 수원 김씨((水原 金氏): 시조 김품언(金稟言)은 경순왕의 후예.
- 김녕 김씨(金寧 金氏)): 시조 김시흥(金時興)은 경순왕의 후예.
- 상산 김씨(商山 金氏): 시조 김수(金需)는 경순왕의 후예.
- 부안 김씨(扶安 金氏): 시조 김경수(金景修)는 경순왕의 후예.
가야계
금관가야계
- 진주 김씨 (晉州 金氏): 수로왕 후예인 김유신(金庾信)의 아들 김원술(金元述)을 시조로 한다.
- 남양 김씨(南陽 金氏): 수로왕(首露王)의 후예(後裔)이다.
- 무장 김씨(茂長 金氏): 수로왕의 후손 충절공 김선(金璇)을 시조로 한다.
- 금릉 김씨(金陵 金氏): 금관가야 구형왕(仇衡王. 마지막 왕)의 셋째 아들 김무득(金武得)을 시조로 한다.
고령가야계
- 함창 김씨(咸昌 金氏): 김해(金海)의 구지봉(龜旨峰)에서 수로왕과 함께 금합(金盒)에서 태어난 고령가야 왕의 후손이다.
소가야계
- 고성 김씨(固城 金氏): 시조 김말로는 서기 42년 소가야국을 세워 왕
기타
고려계
- 동주 김씨: 고려사에 따르면 황해도 호족 출신 김행파(金行波)가 왕건에게 김씨 성을 하사 받았다. 후손으로는 천추태후의 정부 김치양(金致陽)이 있다.
흉노계
- 몽골의 흉노족 출신 김일제(金日磾)는 한 무제에게 김(金)씨를 사성 받았다. 후한 말 인물 김선, 김위는 김일제 후손이라고 전한다.
여진족
- 귀화한 야인(野人)들 중 조선에 귀화한 김씨 중 가장 많은 것은 여진족에 뿌리를 둔 김씨이다.
중국계
일본계
- 김해 김씨: 시조는 1592년 임진왜란 때 왜군으로 참전하였다가 조선에 귀화한 김충선(金忠善)
본관
김씨의 본관
전국 분포
자료: 한국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1]
지역 | 인구 | 퍼센트 | 퍼센트 |
---|---|---|---|
전국분포 | 10,689,959 | 21.5% | |
서울특별시 | 2,025,779 | 19.0% | |
부산광역시 | 757,159 | 7.1% | |
대구광역시 | 521,160 | 4.9% | |
인천광역시 | 598,187 | 5.6% | |
광주광역시 | 338,304 | 3.2% | |
대전광역시 | 309,274 | 2.9% | |
울산광역시 | 262,050 | 2.5% | |
세종특별자치시 | 39,432 | 0.4% | |
경기도 | 2,523,923 | 23.6% | |
강원도 | 338,077 | 3.2% | |
충청북도 | 315,919 | 3.0% | |
충청남도 | 423,510 | 4.0% | |
전라북도 | 382,281 | 3.6% | |
전라남도 | 413,805 | 3.9% | |
경상북도 | 603,188 | 5.6% | |
경상남도 | 697,357 | 6.5% | |
제주특별자치도 | 140,554 | 1.3% |
주요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