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 - 한국의 성씨 |
|
---|---|
ㄱ |
|
ㄴ |
|
ㄷ |
|
ㄹ |
|
ㅁ |
|
ㅂ |
|
ㅅ |
|
ㅇ |
|
ㅈ |
|
ㅊ |
|
ㅌ |
|
ㅍ |
|
ㅎ |
개요
양(梁)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460,600명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전체인구의 약 0.93%에 해당한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 순위 24위이다.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는 경기도, 서울시, 부산시, 인천시 순이다.
양(楊))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69,101명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전체인구의 약 0.14%에 해당한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 순위 62위이다.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는 경기도, 서울시, 부산시, 인천시 순이다.
본관
들보 량 梁
한국
양(梁)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460,600명으로 조사되어, 대한민국 성씨 인구 24위이다.
- 제주 양씨(濟州 梁氏)의 시조는 탐라개국설화에 등장하는 양을나(良乙那)이다. 그의 후손 양탕(良宕)은 559년에 사신으로 신라에 방문하여, 진흥왕에게 양(梁)씨 성을 사성받았다. 2015년 인구 142,200명이다.
- 남원 양씨(南原 梁氏) 중시조 양우량(梁友諒)이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공을 세워 남원부백(南原府伯)에 봉해지자 후손들이 제주 양씨에서 분적하였다고 한다. 2015년 인구는 307,724명이다.
- 충주 양씨(忠州 梁氏) 중시조 양능길(梁能吉)은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할 때에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삼중삼한대장군(三重三韓大將軍)으로 국가의 대업을 이룩하여 예성군(蘂城君)에 봉해지자 제주 양씨에서 분적하였다고 한다. 인물로는 조선 세종 때 병조정랑을 지낸 양여공(梁汝恭)과 그의 손자 이조정랑 양순경(梁舜卿), 순조 때 양종간(梁宗幹) 등이 있다. 2015년 인구는 751명이다.
중국
중국 양(梁)씨는 약 1800만명으로 중국 성씨 인구 20위이다.
버들 양 楊
양(楊)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69,101명으로 조사되었다.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는 경기도, 서울시, 대구시, 전라북도 순이다. 본관은 중화(中和), 남원(南原), 청주(淸州), 안악(安岳) 등이 있다.
- 중화 양씨(中和 楊氏)의 시조 양포(楊浦)는 고려 고종 때 정승(政丞)을 지냈으며 나라에 공을 세워 당악군(唐岳君)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7,287명이다. 현대 인물로는 야구 감독 양상문이 있다.
- 남원 양씨(南原 楊氏)의 시조 양경문(楊敬文)은 고려조에 지영월군사(知寧越郡事)를 지냈다. 인물로는 양공준(楊公俊), 양홍(楊洪), 양사형(楊士衡)이 있다. 2015년 인구는 17,332명이다.
- 청주 양씨(淸州 楊氏) 시조 양기(楊起)는 원나라에서 공민왕의 비 노국공주를 따라 고려에 들어왔다고 한다. 양기(楊起)의 손자 양백연(楊伯淵)이 공민왕 때 서북면부원수(西北面副元帥)로서 동녕부(東寧府)를 쳐서 공을 세웠다. 2015년 인구는 38,161명이다.
- 통주 양씨(通州楊氏)의 시조 양복길(楊福吉)은 원래 중국 통주(通州) 사람이다. 그는 명나라 9의사(義士)의 한 명으로 나라가 망하자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따라와서 북벌(北伐)을 꾀하였으나 실패하고 조선에 귀화해서 정착해 살았다. 후손들이 선조의 고향인 통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2000년 인구는 83명이다.
들보 량 樑
양(樑)씨는 1960년 국세조사 때 처음 나온 성씨로 당시에 16명이 있었다.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000년에 957가구, 3,211명으로 조사되었으나, 2015년에는 6명으로 조사되었다.
도울 양 襄
양(襄)씨는 조선씨족통보에 주나라 때 장공의 아들 양중이 시호를 성으로 삼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000년에 263가구, 823명으로 조사되으나, 2015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전국 분포
자료: 한국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1]
양(梁)씨
지역 | 인구 | 퍼센트 | 퍼센트 |
---|---|---|---|
전국분포 | 460,600 | 0.9% | |
서울특별시 | 91,018 | 19.8% | |
부산광역시 | 28,018 | 6.1% | |
대구광역시 | 11,186 | 2.4% | |
인천광역시 | 24,983 | 5.4% | |
광주광역시 | 23,109 | 5.0% | |
대전광역시 | 15,938 | 3.5% | |
울산광역시 | 7,153 | 1.6% | |
세종특별자치시 | 1,846 | 0.4% | |
경기도 | 109,352 | 23.7% | |
강원도 | 9,151 | 2.0% | |
충청북도 | 11,130 | 2.4% | |
충청남도 | 18,065 | 3.9% | |
전라북도 | 24,786 | 5.4% | |
전라남도 | 23,619 | 5.1% | |
경상북도 | 13,471 | 2.9% | |
경상남도 | 24,056 | 5.2% |
양(楊)씨
지역 | 인구 | 퍼센트 | 퍼센트 |
---|---|---|---|
전국분포 | 69,101 | 0.1% | |
서울특별시 | 14,292 | 20.7% | |
부산광역시 | 4,033 | 5.8% | |
대구광역시 | 5,915 | 8.6% | |
인천광역시 | 3,539 | 5.1% | |
광주광역시 | 1,171 | 1.7% | |
대전광역시 | 2,106 | 3.0% | |
울산광역시 | 1,585 | 2.3% | |
세종특별자치시 | 372 | 0.5% | |
경기도 | 17,570 | 25.4% | |
강원도 | 1,207 | 1.7% | |
충청북도 | 2,176 | 3.1% | |
충청남도 | 2,209 | 3.2% | |
전라북도 | 4,411 | 6.4% | |
전라남도 | 1,255 | 1.8% | |
경상북도 | 4,019 | 5.8% | |
경상남도 | 2,957 | 4.3% | |
제주특별자치도 | 284 | 0.4% |
주요인물

- 양계초(량치차오) - 청나라의 관료, 중화민국의 정치인
- 양사이(량스이) - 중화민국 국무총리
- 양세봉 - 독립운동가
- 양문명(즈엉반민) - 남베트남의 마지막 대통령
- 양향자 - 21대 국회의원
- 양금희 - 21대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