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남위키 네모.png 우남위키는 자유민주주의, 공정한 세계시장 그리고 북한해방을 지향합니다.
진실, 공정, 인간 존엄성을 위한 파수꾼 (真実、公正、人間の尊厳のための番人, a watchman for truth, fairness, and human dignity.)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부국강병 박정희와 경제성장을 이끈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 그리고 반국가 세럭과 부정선거 카르텔을 밝히려 했던 윤석열 대통령, 이들은 대한민국의 진정한 영웅입니다.

울리히 츠빙글리
Ulrich Zwingli
500px-Ulrich-Zwingli-1.jpg
출생
1484년 1월 1일
출생지
스위스 서약 동맹 빌트하우스
사망
1531년 10월 11일
사망지
스위스 카펠
교파
개신교, 츠빙글리주의

독일어: Ulrich Zwingli

(1484년 1월 1일 ~ 1531년 10월 11일)

1. 개요

울리히 츠빙글리스위스의 종교개혁가이다. 그는 마르틴 루터와 함께 아울러서 종교 개혁의 양대산맥이다.

츠빙글리가 역설한 신학의 핵심은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된 말씀이며 그 권위는 어떠한 종교회의나 교부들의 주장보다도 더 높다 는 것이다.


2. 사상

츠빙글리의 신학은 성경에 기초하며 성경을 하나님의 영감된 말씀으로 받아들였다.

그는 믿는 자들이 성령을 통해 하나님께 가르침을 받을 때 성경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츠빙글리는 에큐메니칼 회의나 교부들의 문헌보다 성경의 권위를 절대적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그는 복음서들 사이에 차이점이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성경의 영감성과 인간적 요소를 함께 받아들였다.

츠빙글리의 신학 사상은 제자 하인리히 불링거를 비롯한 동료들과 함께 1536년에 작성한 제1 헬베틱 신앙고백서에서 체계화되었다.

이후 1549년 장 칼뱅이 참여한 제2 헬베틱 신앙고백서에 기반하여 개혁주의 신학이 완성되었다.


세례에 대한 그의 견해는 재세례파에 대한 반론 속에서 드러내는데, 유아세례를 하나님과 기독교인 사이의 언약의 표로 이해하였으며 이를 지지하였다. 이 세례에 대한 입장은 장 칼뱅의 신학과도 일치하는 견해이다.


3. 츠빙글리와 루터의 비교

3.1. 공통점

울리히 츠빙글리와 마르틴 루터는 같은 시기인 16세기 유럽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고 종교개혁을 이끈 인물들이다.

두 사람 모두 성경을 신앙의 최종 권위로 보았으며, 로마가톨릭의 면죄부 판매와 교황권 남용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성직자의 결혼 허용, 라틴어 대신 자국어 예배, 성경 번역 등의 활동을 하였다.

인간의 구원은 오직 믿음에 의해 은헤로 구원받는다는 이신칭의 교리를 따랐다. 가톨릭의 일곱 성례 중에서 세례와 성찬만을 유효한 성례로 인정하였다. 성상 숭배와 미사 제사 개념을 비판하고 폐지하였다. 모든 신자는 하나님 앞에서 평등하다는 만인제사장설을 수용하여 평신도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성경의 권위 성경을 신앙과 삶의 최고 권위로 인정 성경만이 유일한 권위로 인정
구원관 오직 믿음으로 의롭게 됨 오직 믿음으로 구원받음
은혜 중심 인간의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의함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의함
교황권 반대 교황의 절대 권위를 부정함 교황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음
면죄부 반대 면죄부 판매를 정면으로 비판 면죄부는 성경에 근거 없는 것이라 봄
성직자 결혼 허용 사제의 결혼 허용 사제의 결혼을 지지
성례전 축소 2가지 성례(세례, 성찬)만 인정 2가지 성례(세례, 성찬)만 인정
전통 예배 개혁 라틴어 대신 독일어, 설교 중심 예배 도입 라틴어 철폐, 말씀 중심 단순 예배 시행
성직자와 평신도 구분 폐지 만인제사장설 주장 만인제사장설에 동의
종교개혁 필요성 교회는 부패했으며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 교회의 구조와 신학 모두 개혁이 필요함


3.2. 차이점

루터는 성찬에서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실제로 존재한다 고 믿는 공재설을 주장하였다. 반면, 츠빙글리는 성찬을 단지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념하는 상징적 행위로 보았으며, 이는 내 몸이니 라는 말씀을 상징으로 해석하였다. 이 차이로 인해 루터와 츠빙글리는 1529년 마르부르크 회담에서 만났지만 신학적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결별하였다.#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출신 지역 독일 국기.jpg 독일 스위스 국기.jpg 스위스 취리히
개혁 시작 배경 1517년 면죄부 반박(95개조 반박문) 1519년 성경 강해와 군목 경험을 통한 개혁 시작
성찬 이해 공재설: 빵과 포도주 안에 예수의 실제 임재 상징설: 성찬은 예수의 희생을 기념하는 상징
성례전 수 세례, 성찬(두 가지만 인정하나 실제로 은혜의 수단으로 봄) 세례, 성찬(의미 있는 외적 표지로 보되 은혜 수단은 아님)
교회와 국가 관계 양왕국론: 교회와 국가의 분리 신정정치: 교회와 국가의 협력 강조
개혁 방식 신학 중심, 점진적 개혁 시의회와 협력하여 제도적이고 급진적 개혁 추진
성직자 결혼 허용 허용
예배 형식 전통 예식 일부 유지, 독일어 사용 간결한 말씀 중심 예배, 라틴어 사용 철폐
성상 사용 제한적으로 허용 철저히 금지하고 파괴
음악에 대한 태도 찬송가 작곡, 예배 음악 적극 활용 예배 음악에 소극적, 제한 또는 배제
재세례파에 대한 태도 비판하지만 일정한 거리 유지 강경 탄압
신학 전승 루터교로 계승 불링거, 칼뱅 등 통해 개혁주의(장로교)로 계승

4. 함께 보기


5.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