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 仁荷大學校 INHA UNIVERSITY | |
![]() | |
교훈 |
진(眞) |
건학이념 |
인격도야ㆍ진리탐구ㆍ사회봉사 |
상징물 |
동물 비룡 |
교색 |
스카이블루 |
국가 |
|
종류 |
사립 |
개교 |
|
총장 |
조명우 |
설립자 |
|
재단 |
학교법인 정석인하학원 |
위치 |
|
대학기본역량진단 |
자율협약형 선정대학(2019년) |
웹사이트 |
인하대는 1954년 인천시로부터 시유지 41만여㎡와 국고보조 100만달러, 하와이 교포성금 및 이승만 전 대통령이 설립·운영하던 한인 기독교학교 매각대금 15만달러 등을 기부받아 '인하공과대학'으로 개교를 하였다.
학교 이름인 '인하'는 인천과 하와이의 첫 글자를 따서 지었다.
인하대학교는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12월 부산 피란 시절에 폐허가 된 국토를 보며 공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에 당시 김법린 문교부 장관에게 인천에 미국의 매사추세츠공과대(MIT) 같은 공과대학을 설립할 것을 지시했다.
하와이 교포 이주 50주년 기념사업으로 낙후된 한국의 공업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승만 대통령의 발의로 출범하였는다.
학교 설립에 필요한 재원으로는 국고 보조 100만달러, 하와이 교포의 2세 교육을 위하여 이승만 박사가 설립 운영하였던 한인기독학원(Korea Christian Institute)을 처분한 대금 15만달러, 인천시로부터 교지 41만여㎡를 기증 받았다.
1954년 2월 '재단법인 인하학원'의 설립과 함께 동년 4월 24일 인하공과대학으로 개교하였다.[1]
1971년에는 문교부로부터 종합대학 인가를 받아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었다. [3]
2015년 인하대학교의 당시 총장 최순자는 학교의 설립자인 이승만 전 대통령의 공로를 기리기 위하여 이승만 흉상 설치를 추진했다. [4] 그러나 학생들은 이 전 대통령의 독재 및 친일 행적을 문제 삼아 시위 때 마다 동상을 밧줄로 묶어 끌어내리거나 페인트 칠을 했고 학교측은 이를 다시 원상복구 하기를 되풀이했다. 결국 이승만 대통령을 비판하는 목소리에 흉상 설치를 포기하였다.
자신들의 나라를 세운 대통령을 부인하며 독재자라 깍아내리는 대한민국의 일부 국민들, 인하대학교를 세워서 지금의 자신들이 존재하는데 설립자를 부인하는 대학들과 교수들이 있는 학교, 정상적인 국민과 학생들은 아닌것 같다.
가 |
가야대학교 · 가천대학교 · 가톨릭관동대학교 · 가톨릭대학교 · 감리교신학대학교 · 강남대학교 · 강릉원주대학교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남대학교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경동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대학교 · 경성대학교 · 경운대학교 · 경인교육대학교 · 경일대학교 · 경주대학교 · 경찰대학 · 경희대학교 · 계명대학교 · 고려대학교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고신대학교 · 공군사관학교 · 공주대학교 · 공주교육대학교 · 광신대학교 · 광운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가톨릭대학교 ·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국군간호사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극동대학교 · 금강대학교 · 금오공과대학교 · 김천대학교 · 꽃동네대학교 |
나 · 다 |
|
라 · 마 · 바 |
|
사 |
|
아 |
|
자 |
|
차 |
|
카 · 파 |
|
하 |
한경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 한국교원대학교 · 한국교통대학교 · 한국국제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한국성서대학교 · 한국예술종합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한국체육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동대학교 · 한라대학교 · 한려대학교 · 한림대학교 · 한밭대학교 · 한서대학교 · 한성대학교 · 한세대학교 · 한신대학교 · 한양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 한일장신대학교 · 해군사관학교 · 협성대학교 · 호남대학교 · 호남신학대학교 · 호서대학교 · 호원대학교 · 홍익대학교 |